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93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짜장면.png

 

 

밀알선교단 모임에서 “당장 죽음이 가까워 온다면 꼭 먹고 싶은 음식은 무엇입니까?”라는 화두로 대화의 광장을 열었다. 희한한 질문에 장애인들 대부분은 “짜장면”이라고 대답했다. 사람이 철이 나려면 세 가지 현상이 나타나야한단다. 첫째는 명절이 기다려지지 말아야 하고, 둘째는 명절이 되어도 담담해야하며, 셋째는 짜장면이 싫어져야 한다나. 어디서 나온 이야기인지는 모르지만 나를 돌아보았다. 어느 순간인가? 명절에 대해 초연해 졌고, 명절이 와도 오히려 번거롭게 느껴지기까지 하는 단계에 다다랐다.

 

그런데 짜장면은 아니다. 나이가 들어도 짜장면은 여전히 사무치게(?) 좋다. 삼단 논법을 펼쳐보면 “짜장면을 좋아하면 아직 철이 안 난 것이다. 나는 짜장면이 좋다. 고로 나는 아직 철이 안 났다?” 우리세대에는 특별한 날이 되어야 짜장면을 먹을 수 있었다. 요사이 한국에 가면 흔히 만날 수 있는 것이 짜장면집이다. 하지만 어린 시절에 먹던 그 맛이 아니다. 그 시절에는 별로 먹을 것이 없어서인지, 아니면 진짜 요리사들이 뛰어나서인지, 짜장면 맛이 기가 막혔다.

 

특별히 그때는 면을 손으로 뽑아내었다. 그래서 중학교를 진학하지 못한 아이들이 중국집(‘중화요리’ 집에 준말)에서 짜장면 배달을 하며 면 뽑는 기술을 배우곤 했다. 그 기술을 익히느라 2-3년을 궂은 일만하다가 겨우 기술을 배워 주방에서 일하게 되는데 그것도 지원한 모두에게 주어지는 혜택은 아니었다. 지금은 ‘수타면’(手打麵)이라는 거창한 이름이 붙었지만 어린 시절 면을 뽑아내는 장면은 처음 목격할 때에 신기함은 말로 표현이 안 된다. 마술 중에 마술이었다. 커다란 몽둥이처럼 생겼던 밀가루 반죽이 어느 순간 가늘어지고 가늘어져서 주방장 아저씨의 손가락 마디마디에서 여린 국수 줄기로 뽑아져 나오는 광경은 입을 못 다물게 했다.

 

20대 초반, 나는 자라난 홍릉교회의 어린이 성가대 지휘자로 임명받게 되었다. 장애를 가진 내가 기우뚱한 뒷모습을 보이며 지휘를 한다는 것은 결단하기 힘든 일이었다. 하지만 전도사님의 설득을 이기지 못해 어린이 성가대 지휘봉을 잡게 되었다. “어린이 성가대”라고 하니 글을 읽는 분들은 대수롭지 않게 여길지 모르지만 20대인 내가 “어린이성가대”에 쏟았던 열정과 집중력은 지금 생각해도 대견할 정도였다. 우선 한 달에 한번 마지막 월요일은 기도회로 모였다. 초등학교 4-6학년 어린이들. 겨우 30명. 그때는 먹을 것이 없어서인지(70년대 중반) 아이들도 키가 지금 아이들처럼 크지도 않았다.

 

처음 기도회로 모였을 때에는 분위기가 너무 어색했다. 통성기도를 시켜놓으면 나 혼자 기도를 하고 있는 형편이었다. 그러나 달이 지나가며 아이들은 변해갔다. 어느 순간, 그 어린 아이들이 눈물과 콧물을 유년부실 마루 바닥에 흘려가며 기도하는 열정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때 난 성령의 역사를 보았다. 하나님은 순수한 어린아이들에게 더욱 큰 은혜를 베풀어 주심을 그때 체험하였다. 기도회가 끝나고 나면 함께 저녁 먹는 시간을 가진다. 교회 앞에 일렬로 줄을 세우고 팔을 힘껏 저으며 우리는 간다. 짜장면 집으로!

 

짜장면이 나오는 동안 한 달 동안 빠지지 않고 성가대 연습에 임한 아이들에게 상품을 준다. 드디어 짜장면이 나오면 마냥 행복 해 하며 먹던 아이들의 천진한 표정을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걔중에 몇몇 남자 아이들은 얼마나 먹성이 좋았던지 남들이 먹다 남겨 놓은 것까지 깨끗이 먹어버렸다. 지금 아이들은 상상도 못할 일이다. 입가에 묻은 짜장면의 흔적을 보며 우리는 또 한 번 웃었고 그렇게 짜장면을 먹으며 우리는 하나가 되었다. 그해 동평양 노회 성가경연대회에서 2등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기도와 짜장면의 힘이었다.

 

그때 어리게만 보이던 아이들이 이제는 40대 중반의 엄마, 아빠가 되어 있고 가장 개구졌던 ‘동국’이가 러시아 선교사로 헌신하는 모습을 보며 세월의 빠름을 실감한다. 한국에서 목회 할 때 박동국 선교사가 내가서는 강단에서 말씀을 전하고 온 성도들이 은혜 받는 모습을 보며 만감이 교차했다. 남이 남긴 짜장면까지 먹어 치우던 장면이 생각나서 설교를 들으며 혼자 몰래 웃었다. 짜장면은 우리의 추억이다. 짜장면 한그릇 드실래예!


  1. 그것만이 내 세상

    우리 밀알선교단에는 다수의 장애인들과 장애아동들이 있다.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것은 힘겨운 일이다. 아울러 가족 중에 장애인이 있는 것도 삶이 평탄하지 않음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18년 전, 밀알선교단 단장으로 부임하였을때에 전신마비 장애인이 ...
    Views17463
    Read More
  2. 그 애와 나랑은

    갑자기 그 애가 생각났다. 아무것도 모른 채 무거운 책가방을 들고 진학의 꿈을 향해 달리던 그때, 그 애가 나타났다. 초등학교 6학년이 되면서 전근을 자주 다니던 아버지(경찰)는 4살 위 누이와 자취를 하게 했다. 그 시대는 중학교도 시험을 쳐서 들어가던...
    Views17591
    Read More
  3. 창문과 거울

    집의 경관을 창문이 좌우한다. 창문의 모양과 방향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진다. 창문 밖으로 펼쳐지는 장면은 시야로 흡수되고 느낌을 풍성히 움직인다. 영화의 한 장면처럼 통유리가 있는 집에 살고 싶었다. 창을 통해 시원하게 펼쳐진 정원을 바라보는 것이 ...
    Views18073
    Read More
  4. 나무야, 나무야

    초등학교 1학년. 당시 아버지는 경기도 양평 지제(지평)지서에 근무중이셨다. 이제 겨우 입학을 하고 학교생활에 흥미를 가지게 될 5월초였다. 방과 후 집에 돌아와 친구랑 자치기를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아버지가 나타나셨다. 그 시간이면 한창 근무할 때인...
    Views18163
    Read More
  5. 컵라면 하나 때문에 파혼

    팬데믹으로 인해 결혼식을 당초 예정일보다 5개월 늦게 치르게 된 예비 신부와 신랑. 결혼식 한 달을 앞두고 두 사람은 신혼집에 거주하면서 가구와 짐을 정리하며 분주한 일상을 보내고 있었다. 주말에 신혼집을 찾은 예비 신부가 집 정리를 끝낸 시간은 자...
    Views18116
    Read More
  6. 우리 애가 장애래, 정말 낳을 거야?

    결혼을 하고 자녀를 낳는 것은 모든 부부의 바램이다. 임신소식을 접하며 당사자 부부는 물론이요, 가족들과 주위 사람들이 다 축하하며 즐거워한다. 그런데 태아에게 장애가 발견되었을때에 부부는 당황하게 된다. ‘낳아야 하나? 아니면 다른 선택을 ...
    Views18103
    Read More
  7. 반 고흐의 자화상

    누구나 숨가쁘게 삶을 달려가다가 어느 한순간 묻는 질문이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위해 그토록 애를 쓰며 살아왔을까?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볼까?”라는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화가들이 최고의 경지에 이르면 자화상을 그린다. 뒤...
    Views18170
    Read More
  8. 버거운 이민의 삶

    교과서에서 처음 배운 미국, 스펙터클 한 허리우드 영화, ‘나성에 가면’이라는 노래로 그리던 L.A. ‘평생 한번 가볼 수나 있을까?’ 고등학교 때부터 함께 뒹굴던 친구가 졸업하자마자 미국으로 떠나버린 날, 강주와 나는 자취방에서 ...
    Views18254
    Read More
  9. 기찻길

    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자란 동네에서 어릴 때부터 익숙하게 접하는 것이 있다. 바닷가 근처에 살았다면 푸른 바다와 그 위를 유유히 가르며 다니는 크고 작은 배들. 비행장 근처에 살았다면 헬리콥터로부터 갖가지 모양과 크기에 비행기를 보며 살게 된다. 나...
    Views24727
    Read More
  10. “안돼” 코로나가 만든 돌봄 감옥

    코로나 19-바이러스가 덮치면서 우리 밀알선교단은 물론이요, 장애학교, 특수기관까지 문을 열지 못함으로 장애아동을 둔 가정은 날마다 전쟁을 치르고 있다.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복지관과 보호센터가 문을 닫은 몇 달간 발달장애인 돌봄 공백이 생기면서 ...
    Views18971
    Read More
  11. 인생은 집 짓는 것

    어쩌다 한국에 가면 좋기는 한데 불안하고 마음이 안정되지 않는다. 정든 일가친척들이 살고 있는 곳, 그리운 친구와 지인들이 즐비한 곳, 내가 태어나고 자라나며 곳곳에 추억이 서려있는 고국이지만 일정을 감당하고 있을 뿐 편안하지는 않다. 왜일까? 내 ...
    Views19820
    Read More
  12. 그러려니하고 사시게

    대구에서 목회를 하고 있는 절친 목사에게 짧은 톡이 들어왔다. “그려려니하고 사시게”라는 글이었다.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대형교회를 목회하고 있다. 부친 목사님의 연세가 금년 98세이다. “혹 무슨 화들짝 놀랄만한 일이 생기더라도...
    Views18789
    Read More
  13. 부부는 『사는 나라』가 다르다

    사람들은 결혼식을 올리고 혼인 신고만 하면 부부인 줄 안다. 그것은 부부가 되기 위한 법적인 절차일 뿐이다. 오히려 결혼식 이후가 더 중요하다. 결혼식은 엄청나게 화려했는데 몇 년 살지 못해 이혼하는 부부들이 얼마나 많은가? 왜 그럴까? 남편과 아내는...
    Views19337
    Read More
  14. 다시 태어나도 어머니는 안 되고 싶다

    장애를 가지고 생(生)을 산다는 것은 참으로 힘겨운 일이다. 건강한 몸을 가지고 살아도 힘든데 장애를 안고 산다는 것이 얼마나 버거운지를 당사자가 아니면 짐작하지 못한다. 나는 장애인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말한다. “목사님은 장애도 아니지요? ...
    Views18758
    Read More
  15. 지금 뭘 먹고 싶으세요?

    갑자기 어떤 음식이 땡길 때가 있다. 치킨, 자장면, 장터국수, 얼큰한 육개장, 국밥등. 어린 시절 방학만 하면 포천 고향 큰댁으로 향했다. 나이 차이가 나는 사촌큰형은 군 복무 중 의무병 생활을 했다. 그래서인지 동네에서 응급환자가 생기면 큰댁으로 달...
    Views19170
    Read More
  16. 인내는 기회를 만나게 된다

    건강도 기회가 있다. 젊을 때야 돌을 씹어 먹어도 소화가 된다. 그런데 나이가 들어가며 조금만 과식을 해도 속이 부대낀다. 그렇게 맛있던 음식이 땡기질 않는다. 지난 주간 보고 싶었던 지인과 한식당에서 얼굴을 마주했다. 5개월 만에 외식이었다. 얼굴이 ...
    Views19770
    Read More
  17. 오솔길

    사람은 누구나 길을 간다. 넓은 길, 좁은 길. 곧게 뻗은 길, 구부러진 길. 처음부터 길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 길이 생기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노고와 애씀이 있었는지를 생각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길의 종류는 많기도 많다. 기차가 다니는 ...
    Views20562
    Read More
  18. 백발이 되어 써보는 나의 이야기

    한동안 누구의 입에나 오르내리던 대중가요가 있다. 가수 오승근이 부른 “내 나이가 어때서”이다. “♬어느 날 우연히 거울 속에 비춰진 내 모습을 바라보면서 세월아 비켜라 내 나이가 어때서 사랑하기 딱 좋은 나인데~” 점점 희어지...
    Views19043
    Read More
  19. 말아톤

    장애아동의 삶이 세상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만든 영화제목(2005년)이다. 제목이 “말아톤”인 이유는 초원(조승우)이 일기장에 잘못 쓴 글자 때문이다. 영화 말아톤은 실제 주인공인 자폐장애 배형진이 19세 춘천마라톤 대회에 참가하여 서브쓰리...
    Views19534
    Read More
  20. 이제 문이 열리려나?

    어느 건물이나 문이 있다. 문의 용도는 출입이다. 들어가고 나가는 소통의 의미가 있다. 하지만 요사이 다녀보면 문이 다 닫혀있다. 상점도, 음식점도, 극장도, 심지어 열려있어야 할 교회 문도 닫힌 지 오래이다. COVID-19 때문이다. 7년 전, 집회 인도 차 ...
    Views2004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