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한강! 7/24/15

by 관리자 posted Dec 03,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강.png

 

 

필라에는 “아리수”라는 이름의 한식당이 있다. 누군가 물었다. “아리수가 무슨 뜻입니까?” 주워들은 이야기가 있어 자신 있게 대답했다. “아, 순수한 우리나라 말로 ‘한강’을 뜻합니다.” 상대방은 고개를 ‘끄덕’이며 “아, 그렇군요!” 반응을 보인다. 그런데 뒤져보니 꼭 맞는 말이 아니었다. “아리수”란 “크다.”는 의미의 한국어 '아리'와 한자 '수(水)'를 결합한 고구려 때 한강을 부르던 말이었다. 나는 어린 시절을 한강과 더불어 살았다. 바다는 만날 기회가 없었지만 북한강과 남한강을 오가며 성장을 했고 나중에는 한강이 가로지르는 서울에서 청· 장년기를 보냈다.

한강변에서 처제 가족들과 삼겹살을 구워먹고 목회여정에서 가끔 머리를 식히기 위해 한강변에 차를 대고 물끄러미 강물을 주시하던 기억까지 한강은 내 삶에 말없는 친구였다. 가까이 있기에 작아 보이지만 사실 한강은 우리나라에서 압록강 · 두만강 · 낙동강에 이은 네 번째 긴 강이라는 것이 이채롭다. 서울에서 조금 빠져 나가면 “양수리”를 만나게 되는데 이곳은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쳐져서 붙여진 이름이다. 양수리에서 북한강과 남한강을 합류한 한강은 계속 북서 방향으로 흐르면서 왕숙천(王宿川) · 중랑천(中浪川) · 안양천(安養川) 등의 소지류를 합류하여 김포평야를 지난 뒤 황해로 들어간다.

한강의 명칭에 ‘漢’이라는 글자를 쓴 것은 중국 문화를 도입한 이후의 일이다. ‘아리’, 즉 ‘알’은 고대에 ‘크다거나 신성하다.’는 의미로 쓰였으며, ‘한’도 이와 비슷한 뜻이다. 강은 심한 파도가 일지 않아 사람의 마음에 평온함을 준다. 나는 남한강을 먼저 만났다. 초등학교 시절. 양평과 강상 사이에는 다리가 없었다. 뱃사공이 노를 저어 나루를 건넜다. 배가 강물을 가로질러 건널 갈 때면 뱃전을 스치는 강물의 부딪힘과 사공의 노 젖는 소리가 묘한 조화를 이루며 편안함을 주었다.

그러던 내가 북한강을 만난 것은 경찰인 아버지가 서종면으로 전근을 하면서였다. 남한강은 흐름이 완만하고 도시스럽다(?)면 북한강은 산세가 험하고 깊을 뿐 아니라 강폭도 훨씬 넓었다. 초등학교 5학년 때 서울에서 어여쁜 여선생님이 부임해 오셨다. “정의봉 선생님”은 문예반을 맡아 아이들에게 글을 쓰는 훈련을 시켜주셨다. 수업을 마치고 우리 문예반은 갈대숲을 찾아가는 일이 잦아졌다. 여기저기 아이들을 흩어놓고 선생님은 속삭이듯 말씀하셨다. “무엇이 보이니? 어떤 느낌이 드니? 눈을 감아보렴.” 한참을 지나면 “자, 이제 떠오르는 것을 글로 써 보는거야!” 세월이 지나도 난 그때의 파아란 하늘과 낭랑한 선생님의 음성을 잊지 못한다. 북한강변 갈대숲에서 꿈을 꾸며 내 감성은 무한대로 성장해 갔다.

초등학교 6학년. 나는 아버지를 따라 양평으로 돌아왔고 다시 남한강을 만났다. 그때부터 남한강과의 밀회(?)는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중학교에 들어가 웅변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새벽이면 “정호”는 귀찮을 정도로 내방 창문을 두드렸다. 눈을 비비며 일어나 ‘칼산’(원명:갈산)에 올라 발성연습을 했다. “하나하면 하나요, 둘하면 둘이요∼” 한강을 바라보며 외치고 외치다가 목청이 트이고 성량은 날로 향상되어 갔다. 남한강은 어린 내 가슴에 미래에 대한 포부를 심어주었다.

사람은 누구나 눈을 감으면 떠오르는 아련한 장소가 있다. 그것이 바다라면 행운이다. 산이라면 싱그럽다. 들판이라면 미소를 부른다. 몸이 움직여야만 여행이 아니다. 마음이 움직이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멋진 여행을 할 수 있다. 삶이 곤고하고 피곤하다고 느낄 때에 나만의 공간에서 편한 자세를 취하자! 은은한 음악을 틀고 조용히 눈을 감자! 그리고 떠오르는 영상을 따라 나만의 여행을 떠나자! 보리밭, 시냇물, 내가 다니던 초등학교 교정, 산줄기, 들판을 달려보자! 당신의 한강은 어디입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