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어가니 어르신들을 만나면 묻는 것이 연세이다. 어떤 분은 “얼마 안 먹었습니다.”하고는 고령의 나이를 드러낸다. 분명히 나이를 물었는데 대답은 태어난 연도를 대답하는 분도 계시다. 머리로 계산을 하려면 복잡한데 말이다. 어제도 94세의 어르신을 만났다. 정정한 모습이 보기 좋았고, 은근한 희망사항이 되었다. 건강해 보이기는 하는데 귀가 절벽인 분을 만난다. 대화가 안 되니 답답하다. 반면, 아직도 한창인 나이인 60대에 생을 접는 분들이 있다. 어쩌다 마주치면 그렇게 좋아하며 달려오던 분이 ‘왜 요사이 뜸한가?’했는데 암으로 세상을 떠났단다. 불그스름한 홍안이 건강해 보였는데 말이다. 사람일은 참 모를 일이다.
왜 사람은 장수하기를 원할까? 한마디로 삶의 기회를 조금이라도 더 누리고 싶은 본능이요.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이별을 두려워하기 때문일 것이다. 문제는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행복하게 사는 것이다. “긴병에 효자 없다.”는 말처럼 병마에 시달리며 노년을 보내는 것은 당사자뿐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견디기 힘든 고통이다. 문제는 그게 사람 마음대로 안 된다는 데 있다. 회자되는 말처럼 “9988234”(99세까지 팔팔하게 살다가 이삼일만 앓고 죽는다)는 행운 중에 행운이다. 생명은 오직 그분에게 맡길 뿐이다.
늙은 남자가 당면하는 3苦가 있다. 첫째는, 빈고(貧苦)이다. 50~60년대의 지독한 경제난에서 허리띠를 졸라매고 가족을 부양했다. 나는 못 배우고 못 먹어도 자녀 교육에 온힘을 쏟았다. 장성하여 버젓한 직장에 다니며 가정을 이루고 사는 모습이 대견하기 이를 데 없다. 하지만 정작 자신은 빈껍데기 집 하나뿐이다. 생일이나 명절 때에 자녀들이 찾아와 “용돈하시라.”고 봉투를 내어민다. 그것도 어느 집은 어머니 쪽만 드리고 아버지에게는 시치미를 뗀다. 할아버지는 물만 먹고 사는가? 그래서 늙은 남자들은 외친다. “나이가 들면 돈이 있어야 한다.”고.
두 번째는, 병고(病苦)이다. 내가 다니며 자주하는 말이 있다. “나이 70이 넘으면 다 장애인”이라고. 질병에 장사는 없다. 돈 없고 몸은 아프고 이를 어쩌랴. 거동이 불편하면 퇴물이 되고 만다. 내가 존경하고 의지하던 분이 계셨다. 80 고령에도 청년 같은 패기로 귀감이 되어주셨다. 하지만 어느 날 뇌졸중이 찾아와 반신불수가 되며 널싱 홈으로 삶의 터전이 옮겨졌고 채 1년을 넘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셨다. 목소리가 ‘쩌렁쩌렁’하고 활동적이던 분이 그런 상황이 되니 더 못 견뎌 하는 모습을 보았다.
세 번째는, 고독고(孤獨苦)이다. 늙은 남자에게 고독은 견디기 힘든 언덕이다. 고산 “윤선도”는 비경이 펼쳐지는 ‘보길도’에서 귀양살이를 했다. 기약 없는 세월을 지내며 그는 호(號)를 “고산”<외로울 고(孤) 뫼 산(山)>이라 붙였다. 오우가(五友歌)에서 ‘물, 돌, 소나무, 대나무, 달’(水, 石, 松, 竹, 月)을 친구로 불렀다. 물은 언제나 변하지 않는 불변성을, 바위는 우직하게 자리한 영원성을 예찬한다. 소나무의 지조와 대나무의 절개, 그리고 달의 밝음과 과묵함을 그는 사랑하며 인고의 세월을 견뎌낸다. 거기에서 <어부사시사>라는 위대한 작품을 창출하게 된다. 그는 시인 · 문신 · 작가 · 정치인이자 음악가로서의 명성을 후대에 남긴다.
빈고(貧苦), 병고(病苦), 고독고(孤獨苦)를 피할 수 없는 것이 인생이라 해도 중년에 접어들면 자신의 노후에 대해서는 지혜를 모아야 할 것 같다. 지금 벌이가 ‘쏠쏠’(?) 할 때부터 준비를 해야 한다는 말이다. ‘어떻게 되겠지?’처럼 무식하고 용감한 생각은 없다. 나이가 들수록 건강을 자신하기보다 조심하고 유의해야 한다. ‘골골 80’이라는 말이 있다. 약한 사람은 건강관리를 하는데 건강한 사람은 방심하다가 한순간에 ‘훅’ 가버린다. 고독도 젊을 때부터 관리를 해야 한다. ‘나이가 들면 입은 다물고 지갑은 열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베풀고 산 사람은 결코 외로워지지 않는다.
늙는 것을 누가 막으랴! 나이에 걸 맞는 내 삶을 찾아가는 것이 빛나는 노년을 누리는 최대의 비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