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란 무엇일까?

by 관리자 posted Sep 27,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랑.png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요하다. 그 사랑 사이에서 새 생명이 잉태되고 아가는 세상에 태어난다. 그렇다고 모두 축복 속에 태어나는 것이나 정상적인 부부 사이에 태어나는 것도 아니다. 이렇게 표현하기는 껄끄럽지만 원치 않는 임신도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태어나는 과정부터 인생은 꼬이기 시작한다. 축복받지 못하고 시작하는 삶은 가엽기 그지없다.

 

 태어나서도 그렇다. 형제가 많으면 많아서, 없으면 없어서 아이는 힘들다. 많으면 그런 와중에도 부모의 사랑을 서로 차지하려고 힘을 쓰게 된다. 없으면 어울릴 공동체가 없어 외로움을 체득하며 살아야만 한다. 전문적인 용어로 어릴 때부터 사랑을 많이 받고 자라는 환경을 순기능 가정이라 한다. 반면, 악조건 속에서 성장하면 역기능가정이라 한다. 순기능 가정에서 자란 사람은 상처를 별로 받지 않는다. 사람이든 환경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순응하는 것이 체질화되어있다. 하지만 역기능가정에서 자란 사람은 원인을 모르는 피해의식과 열등감에 사로잡혀 살게 된다. 따라서 사람과 환경을 보는 시각이 평범하지 않다. 극한 표현으로 매사에 삐딱하다. 긍정적이기보다 비판적이고 어두운 쪽으로 치우치다보니 관계가 원만하지 않다.

 

 

 10대에 접어들면 자연스럽게 이성에 눈을 뜨게 된다. 그것은 하나님이 사람에게 주신 본능이요, 성장 과정이다. 내가 좋아하면 상대가 싫어하고 적극적으로 다가서는 이성은 내가 부담스러움이 사랑의 아이러니이다. “아픈 만큼 성장한다.”는 말처럼 뜨겁게 사랑을 해보기도 하고 이유도 없이 헤어지면서 마음의 근육이 붙어간다. 중년에 접어들어 추억의 노래를 들으면 눈물이 나는 것은 그 아픔과 그리움이 되새김질 되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그 누군가를 만나 부부의 연을 맺는다. 너무도 달콤하기에 허니문이라고 한다. 눈빛만 마주쳐도 찌릿찌릿하며 꿀이 떨어진다. 그런 시간이 영원히 지속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후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부딪히고 서로를 통제하려는 거룩한 작업(?)이 시작된다. 상상하지 못했던 허무감, 실망감, 적막감, 현실감에 맞닥뜨리며 부부는 삶을 이어간다.

 

 시간이 갈수록 부부의 벽은 높아만 간다. 사랑이 섭섭함과 증오로 변해간다. 그 과정을 견디지 못해 손을 들어버리는 부부가 늘어간다. 다른 사랑을 만나면 행복할까? 한번 사람에게 실망하고 사랑의 상처를 받은 사람은 조그만 충격에도 너무도 쉽게 무너지는 약점을 가지게 된다. 단정지어 말하는 것 같지만 인생을 살아보니 사람은 그리 차이가 많은 것 같지 않다. 거기서 거기다. 따라서 사랑의 기술이 필요하다. 나에게 맞는 사람을 찾기보다 내가 맞춤형 인간이 되어야만 한다. 어느 교회에 가서 설교를 하다가 외쳤다. “여러분, 어릴 때 모범생과 그렇지 못한 소위 날라리들이 있었지요? 나중에 보면 누가 더 잘 살아요?” 마치 약속이나 한 것처럼 여성도들의 합창이 들려왔다. “날라리요.” 그 소리가 얼마나 컸던지 말을 해놓고 서로 크게 웃었다.

 

  강단에서 하기에는 너무도 파격적인 표현이었지만 대답은 이구동성으로 돌아왔다. 왜 이런 대답이 나왔을까? 그 당시에는 문제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부류는 사랑의 기술과 요령을 어릴 때부터 체득하기 때문이다. 자기 틀에 박혀 상대를 보고, 기대한 만큼의 사랑이 돌아오기를 바라는 사람은 평생 배고픔의 삶을 산다. 사랑할 줄 모르는 사람은 사랑을 받을 줄도 모른다. 진정 사랑은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다. 사랑은 기다리는 것이다. 참아주는 것이요, 져주는 것이다. 말이 그렇지 그 과정은 내가 죽어야만 가능하다. 그래서 사랑은 아프다. 사랑 참 어렵다. 사랑의 핵심은 배려이다. 나이가 들어가며 이제 사랑을 조금은 알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