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716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짜장면.png

 

 

밀알선교단 모임에서 “당장 죽음이 가까워 온다면 꼭 먹고 싶은 음식은 무엇입니까?”라는 화두로 대화의 광장을 열었다. 희한한 질문에 장애인들 대부분은 “짜장면”이라고 대답했다. 사람이 철이 나려면 세 가지 현상이 나타나야한단다. 첫째는 명절이 기다려지지 말아야 하고, 둘째는 명절이 되어도 담담해야하며, 셋째는 짜장면이 싫어져야 한다나. 어디서 나온 이야기인지는 모르지만 나를 돌아보았다. 어느 순간인가? 명절에 대해 초연해 졌고, 명절이 와도 오히려 번거롭게 느껴지기까지 하는 단계에 다다랐다.

 

그런데 짜장면은 아니다. 나이가 들어도 짜장면은 여전히 사무치게(?) 좋다. 삼단 논법을 펼쳐보면 “짜장면을 좋아하면 아직 철이 안 난 것이다. 나는 짜장면이 좋다. 고로 나는 아직 철이 안 났다?” 우리세대에는 특별한 날이 되어야 짜장면을 먹을 수 있었다. 요사이 한국에 가면 흔히 만날 수 있는 것이 짜장면집이다. 하지만 어린 시절에 먹던 그 맛이 아니다. 그 시절에는 별로 먹을 것이 없어서인지, 아니면 진짜 요리사들이 뛰어나서인지, 짜장면 맛이 기가 막혔다.

 

특별히 그때는 면을 손으로 뽑아내었다. 그래서 중학교를 진학하지 못한 아이들이 중국집(‘중화요리’ 집에 준말)에서 짜장면 배달을 하며 면 뽑는 기술을 배우곤 했다. 그 기술을 익히느라 2-3년을 궂은 일만하다가 겨우 기술을 배워 주방에서 일하게 되는데 그것도 지원한 모두에게 주어지는 혜택은 아니었다. 지금은 ‘수타면’(手打麵)이라는 거창한 이름이 붙었지만 어린 시절 면을 뽑아내는 장면은 처음 목격할 때에 신기함은 말로 표현이 안 된다. 마술 중에 마술이었다. 커다란 몽둥이처럼 생겼던 밀가루 반죽이 어느 순간 가늘어지고 가늘어져서 주방장 아저씨의 손가락 마디마디에서 여린 국수 줄기로 뽑아져 나오는 광경은 입을 못 다물게 했다.

 

20대 초반, 나는 자라난 홍릉교회의 어린이 성가대 지휘자로 임명받게 되었다. 장애를 가진 내가 기우뚱한 뒷모습을 보이며 지휘를 한다는 것은 결단하기 힘든 일이었다. 하지만 전도사님의 설득을 이기지 못해 어린이 성가대 지휘봉을 잡게 되었다. “어린이 성가대”라고 하니 글을 읽는 분들은 대수롭지 않게 여길지 모르지만 20대인 내가 “어린이성가대”에 쏟았던 열정과 집중력은 지금 생각해도 대견할 정도였다. 우선 한 달에 한번 마지막 월요일은 기도회로 모였다. 초등학교 4-6학년 어린이들. 겨우 30명. 그때는 먹을 것이 없어서인지(70년대 중반) 아이들도 키가 지금 아이들처럼 크지도 않았다.

 

처음 기도회로 모였을 때에는 분위기가 너무 어색했다. 통성기도를 시켜놓으면 나 혼자 기도를 하고 있는 형편이었다. 그러나 달이 지나가며 아이들은 변해갔다. 어느 순간, 그 어린 아이들이 눈물과 콧물을 유년부실 마루 바닥에 흘려가며 기도하는 열정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때 난 성령의 역사를 보았다. 하나님은 순수한 어린아이들에게 더욱 큰 은혜를 베풀어 주심을 그때 체험하였다. 기도회가 끝나고 나면 함께 저녁 먹는 시간을 가진다. 교회 앞에 일렬로 줄을 세우고 팔을 힘껏 저으며 우리는 간다. 짜장면 집으로!

 

짜장면이 나오는 동안 한 달 동안 빠지지 않고 성가대 연습에 임한 아이들에게 상품을 준다. 드디어 짜장면이 나오면 마냥 행복 해 하며 먹던 아이들의 천진한 표정을 지금도 잊을 수가 없다. 걔중에 몇몇 남자 아이들은 얼마나 먹성이 좋았던지 남들이 먹다 남겨 놓은 것까지 깨끗이 먹어버렸다. 지금 아이들은 상상도 못할 일이다. 입가에 묻은 짜장면의 흔적을 보며 우리는 또 한 번 웃었고 그렇게 짜장면을 먹으며 우리는 하나가 되었다. 그해 동평양 노회 성가경연대회에서 2등을 할 수 있었던 것은 기도와 짜장면의 힘이었다.

 

그때 어리게만 보이던 아이들이 이제는 40대 중반의 엄마, 아빠가 되어 있고 가장 개구졌던 ‘동국’이가 러시아 선교사로 헌신하는 모습을 보며 세월의 빠름을 실감한다. 한국에서 목회 할 때 박동국 선교사가 내가서는 강단에서 말씀을 전하고 온 성도들이 은혜 받는 모습을 보며 만감이 교차했다. 남이 남긴 짜장면까지 먹어 치우던 장면이 생각나서 설교를 들으며 혼자 몰래 웃었다. 짜장면은 우리의 추억이다. 짜장면 한그릇 드실래예!


  1. ‘시애틀’의 비 내리는 밤 11/20/15

    8년 만에 시애틀을 찾았다. 시애틀의 가을향취를 기대했건만 오는 날부터 내내 비가 뿌리고 있다. 비가와도 보통 비가 아니다. 며칠 동안 내내 소낙비가 쏟아지고 있다. 시애틀의 하늘에는 댐이 존재하고 있는듯하다. 처음 비행장을 빠져 나올 때만해도 운치...
    Views75103
    Read More
  2. 아버지의 시선 11/13/15

    나의 아버지는 엄한 분이였고 항상 어려웠다. 동리 분들과 어울리실 때는 퍽 다정다감한 것 같은데 자식들 앞에서는 무표정이셨다. 그것이 사춘기시절에는 못 마땅했다. 이유 없는 반항을 하며 대들어보기도 했지만 아버지는 요지부동이셨다. 나이가 들어가며...
    Views69180
    Read More
  3. 세상에서 가장 슬픈 소원 11/6/15

    영화 <말아톤>을 보면 장애우 “초원”이 엄마와 마라톤 감독 간에 대화가 주목을 끈다. 감독이 초원이 엄마(김미숙 분)에게 묻는다. “아줌마 소원이 무엇입니까?” 망설이듯 하던 초원 엄마가 대답한다. “내 소원은 초원이보다 ...
    Views69355
    Read More
  4. 가을 편지 10/30/15

    우리 집 앞마당에는 커다란 나무 한그루가 자태를 뽐내며 서있다. 이름도 알 수 없는 이 나무는 희한하게 늦은 봄에 잎사귀를 틔우고 가을만 되면 일찌감치 낙엽을 떨어뜨린다. 남들이 새싹을 드러낼 때에는 느긋하다가 느즈막히 잎을 드러내는 것은 그렇다치...
    Views67082
    Read More
  5. 고양이를 아시나요? 10/23/15

    나는 고양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특별한 사연이 있는 것도 아닌데 그냥 싫다. 눈매와 발톱이 너무 날카로워서일까? 아니면 울음소리 때문일까? “야∼∼옹!” 흉내만 내도 기분이 섬뜻해 진다. 무엇보다 어릴 때 보았던 영화 탓이 큰 것...
    Views69971
    Read More
  6. 드라마 법칙 10/16/15

    가까이 지내는 목사님에게 물었다. “드라마 보십니까?” 정색을 하며 대답한다. “드라마를 보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그 목사님 설교는 어째 Dry하다. 드라마를 멀리하는 것이 경건일까? 드라마는 사람들의...
    Views63557
    Read More
  7. 아내는 반응을 고대하며 산다 10/9/15

    사람은 혼자 살수 없다. 다른 사람과 관계를 해야 사는 것이 인생이다. 관계는 네 분야로 나눌 수 있다. 1:1대응, 1:다대응, 다대:다대응, 다대:1대응. 어떤 분은 많은 사람들과는 잘 어울리는데 1:1의 만남에서는 어색해 한다. 여성들은 다대응:다대응보다는...
    Views73161
    Read More
  8. 친구가 되어주세요!10/2/15

    <팔 없는 친구에게 3년간 우정의 팔.> 오래 전, 한국 신문 기사에 난 타이틀이다. 양팔이 전혀 없는 친구를 위해 3년 동안 헌신한 우정에 대한 기사였다. “김영태”군은 6살 때 불의의 감전사고로 양팔을 잃게 되었다. 팔이 없이 살아간다는 것은 ...
    Views72092
    Read More
  9. 반말 & 존댓말 9/25/15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말을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할 정도로 말수가 적은 사람이 있다. 그래서 대화가 되는 것 같다. 말 많은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말을 잘라버리는 상황이 벌어진다. 말이 없는 사람끼리 만나면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나의 가장 ...
    Views65425
    Read More
  10. 바다 그리고 음파 9/18/15

    세상에는 노래가 많다. 사실 들리는 모든 소리가 리듬을 타고 있다. 어린 시절에 우리 동네에는 물레방아가 있었다. 그 옆에는 대장간이 마주했다. 친구들과 심심하면 그 앞에 자리를 틀고 앉았다.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모습은 신기하기 이를 데 없었다. 커다...
    Views62707
    Read More
  11. 니, 우째 잠이오노? 9/11/15

    한국의 격동기 시절. 경남 고성에 18살 먹은 철없는 아가씨가 있었다. 시절이 어려운지라 친정아버지는 ‘부랴부랴’ 혼처를 알아보고 딸을 출가시킨다. 엄처시하의 환경 속에서도 해맑은 신부는 철없는 행동을 하지만 시부모님의 사랑을 받으며 효...
    Views64560
    Read More
  12. 밀알의 밤 바다 9/4/15

    가을이 되면 밀알선교단에서는 음악회를 연다. 2003년 7월. 밀알선교단 단장으로 부임하여 장애인사역의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지만 당시 선교단의 상황은 열악했다. 전임 단장이 채 3년을 채우지 못하고 급작스럽게 사임하면서 시...
    Views62668
    Read More
  13. 나를 만든것은 바람 8/28/15

    미당 서정주 선생은 “자화상”이라는 시에서 이렇게 노래한다. “스믈세햇동안 나를 키운건 8할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 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입에서 천치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Views65155
    Read More
  14. 생각바꾸기 8/14/15

    인생은 한마디로 “어떤 생각을 하고 사느냐?”입니다. 성경은 말합니다. “대저 그 마음의 생각이 어떠하면 그 위인도 그러한 즉”(잠언 23:7). 생각이 그 사람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위대한 발명왕 에디슨은 “천재는 1%의 영감과...
    Views63908
    Read More
  15. 아내는 “에제르”(Ezer) 8/14/15

    하나님은 사람을 만드시되 먼저 남자를 만드셨다. 그리고는 “남자가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판단하시고 여자를 만들어 배필로 주셨다. 아내의 다른 이름은 '돕는 배필'이다. 이 말은 남자 스스로 인생을 만들어내기보다 아내가 ...
    Views75519
    Read More
  16. 장애인을 어떻게 불러야 하나요? 8/7/15

    장애인 호칭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혼돈을 일으킨다. 내가 어릴 때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들을 여과 없이 쏟아냈다. “장애자”에서 다듬어진 호칭은 이제는 “장애인”이라는 말로 정착을 했다. 한때는 “장애우”라는 말을 ...
    Views71595
    Read More
  17. 한국 풍경 7/31/15

    나는 지금 한국에 머물고 있다.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땅. 하지만 올 때마다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공항을 벗어나자마자 숨을 멈추게 할 정도의 더운 바람이 폐를 파고든다. 그 옛날 동리 앞 개울가에서 ‘멱’(수영)을 감다가 나와...
    Views66071
    Read More
  18. 아, 한강! 7/24/15

    필라에는 “아리수”라는 이름의 한식당이 있다. 누군가 물었다. “아리수가 무슨 뜻입니까?” 주워들은 이야기가 있어 자신 있게 대답했다. “아, 순수한 우리나라 말로 ‘한강’을 뜻합니다.” 상대방은 고개를 &l...
    Views69417
    Read More
  19. 짜장면 좋아하세요? 7/17/15

    밀알선교단 모임에서 “당장 죽음이 가까워 온다면 꼭 먹고 싶은 음식은 무엇입니까?”라는 화두로 대화의 광장을 열었다. 희한한 질문에 장애인들 대부분은 “짜장면”이라고 대답했다. 사람이 철이 나려면 세 가지 현상이 나타나야한단...
    Views77165
    Read More
  20. 욕쟁이 할머니 7/10/15

    서울 명동의 한 음식점은 점심때가 되면 만원을 이룬다. 회사원들을 물론이요, 소문을 듣고 찾아온 사람들로 발 디딜 틈이 없다.그 음식점의 사장이자. 주방장은 “욕쟁이 할머니”로 유명하다. 내돈주고 밥 한 그릇을 사먹으면서도 욕 몇 마디를 ...
    Views6991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