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의 신비

by 관리자 posted May 20,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눈물.jpg

 

 

인체에서는 여러 분비물이 나온다. 그중에서도 눈물은 신비자체이다. 슬퍼서 울 때 나오는 것이 눈물이라고 생각하겠지만 감동을 받거나 웃을때에도 눈물은 나온다. 우리 세대의 남자들은 눈물 흘리는 것을 금기시했다. 오죽하면 공중화장실 남성 소변기 벽에 한 걸음만 더 가까이. 남자가 흘리지 말아야 할 것은 눈물만이 아닙니다.”가 새겨져있을까? 눈물따위는 아예 흘리지 말아야 대장부라는 것이다. 내가 어릴 때부터 가장 많이 들어온 말은 남자는 울면 바보?’였다. 울고 싶어도 참아야 하는 남자들의 평균 연령이 그래서 여성보다 7년이 짧다.

 

  아가가 태어나면 울음을 터뜨린다. 태아의 폐에는 엄마 뱃속에서 품고 살았던 양수가 가득하다. 태어난 직후 폐에서 양수가 배출되고, 첫울음 때 공기가 폐로 들어가 아기는 비로소 스스로 숨을 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태어난 아기가 잘 울지 않으면 산부인과 의사들은 등을 조금 자극하거나 엉덩이를 두드리며 호흡을 자극해 본다. 대부분의 건강한 아기들은 작은 자극에도 곧 울음을 터트린다. 왜 태어나면서 울까? 인간은 우선 울어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건강한 눈물은 무색이다. 맛은 약간 씁쓸짭짤하지만 흘리는 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단다. 눈물이 나오는 경우는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생리학적으로 작은 아몬드 모양의 눈물샘에서 분비되는 눈물은 눈의 이물질과 기타 자극 물질을 제거해 준다. 눈을 촉촉하게 해 결막과 각막을 보호해주며 감염방지 역할도 한다. 주로 슬플 때 흘리지만 분노, 기쁨 등의 격한 감정을 겪을때에도 나오게 된다. 무언가에 크게 감동했을 때도 흘리게 되는 것이다.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눈물이 어디서 왔는지, 왜 인간이 눈물을 흘리는지?’에 대해 추측해 왔다. ‘눈물이 심장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했다. 히포크라테스 시대에는 마음이 눈물의 원인이라고 생각했다. 1,600년대에 이르러 생긴 이론은 감정, 특히 사랑이 심장을 뜨겁게 하여 스스로 식히기 위해 수증기를 발생시킨다고 보았다. 마침내 1662년 덴마크의 과학자 닐스 스텐센이 눈물의 근원이 눈물샘임을 발견하면서 눈물은 단순히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방법으로 이해되기 시작했다.

 

  이물질이 눈에 들어가거나 눈병에 걸렸을 때 나오는 눈물을 반사성 눈물이라고 한다. 슬플 때 나오는 감정과 관련된 눈물은 감정적 눈물’. 평상시 자신도 모르게 늘 나오면서 눈을 보호해주는 눈물은 기본눈물이라고 한다. 동물도 눈물을 흘린다. 하지만 사람만이 감정 때문에 우는 유일한 존재이다. 고통이나 자극의 결과로 눈물을 흘리는 것보다 인간은 감정에 의해 눈물이 촉발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이다. 꼭 슬퍼서가 아니다. 기쁠 때, 안도할 때, 화가 났을 때, 놀랐을 때도 눈물이 나온다. 아기의 눈물과 울음은 부모에게 간절한 도움을 요청하는 방편이기도하다. 감정적 눈물을 흘리는 사이는 이미 정서적 교통이 이루어진 것이라 볼 수 있다. 아무 사람 앞에서나 울지 않기 때문이다. 때로는 눈물, 그 자체가 슬픔으로서 다른 사람들의 정서적 관심을 더 받게 만들기도 한다. 눈물로 씻겨지지 않는 슬픔은 몸까지 울게 만들 수 있다.

 

  우선 여자는 남자보다 더 자주 운다. 그 이유는 호르몬 때문으로 추정된다. 나이가 들어가는 내게 나타나는 두드러진 변화는 눈물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확실히 여성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는 모양이다. 성별과 나이를 넘어서서 울고 싶을 때는 울어야 한다. 울면서 슬픔의 고통이 경감되는 것이다. 울고 나면 속이 후련하고 기분이 좋아지기도 한다. 사실 감정적으로 울 수 있고, 그것에 반응할 수 있다는 것은 인간만의 특권이다. 사람이 운다는 것은 스스로 약한 존재임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따라서 울면 통한다.

 

  흐르는 눈물은 괴롭지만 이보다 더 괴로운 것은 흐르지 않는 눈물이다아일랜드 속담이다. 눈물을 참는 습관은 좋은 것이 아니다. 오히려 감정에 역행하는 것이다. 눈물은 자신이 약해졌다는 신호가 아니다. 눈물을 필요한 것으로 받아들일 때 오히려 건강의 묘약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