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9.01.12 18:26

백년을 살다보니

조회 수 4553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김형석 교수.jpg

 

  새해 첫 KBS 인간극장에 철학교수 김형석 교수가 등장했다. 평상시 즐겨보는 영상은 아니지만 제목이 눈에 들어왔고, 평소 흠모하던 분의 다큐멘터리이기에 집중해서 보았다. 김 교수는 이미 백년을 살다보니라는 책을 97세에 집필하였다. 이런 책을 쓰기위해서는 정신적, 육체적인 건강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그럴만한 위치에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분이 드디어 백세가 되었다. 100? 장수시대라 하지만 한 세기를 사는 것은 흔한 일은 아니다. 책을 통해 만나던 분을 영상을 통해 또렷이 만났다.

 

  김형석 교수는 김태길(서울대), 안병욱(숭실대) 교수와 더불어 철학계의 삼총사로 한 시대를 풍미했다. 세 사람은 절친으로 모두 수준급의 철학 강의를 통해 대중의 인기를 한 몸에 받았다. 김태길 교수는 11년 전 88, 안병욱 교수는 6년 전 93세로 세상을 떠났고 김 교수 홀로 백세를 맞이한 것이다. 세분이 다 장수한 것을 보면 철학은 장수의 비결일까? 100세 나이에도 귀와 눈이 어둡지 않은데다 지팡이 없이 가볍게 걷는 모습부터 연 160회 이상 곳곳에 강연을 다니는 노익장이 나를 놀라게 했다.

 

  우선 크리스천의 아름다운 향기가 나서 좋았고 환한 미소가 가득한 얼굴, 천천히 말하면서도 자신의 언어에 찔릴까 배려하는 자세, 고단함에 대한 위로, 산책과 절제를 통한 몸가짐 등에서 배어나오는 그의 인품에 감동했다. “우리가 젊은 나이로 돌아가 사랑하는 사람과 무얼 하고 싶은가 물었을 때 80% 가까이가 그 사람과 식사하고 싶다고 답한다. 음식을 같이 먹는 게 하나의 행복이기 때문이다.” 먼저 간 아내를 추억하며 꺼낸 말이다. 홀로 살아가는 노교수는 결코 외로워 보이지 않았고 그 모습자체가 철학이었다.

 

  스무 살에 몰랐던 것을 서른이 넘으면 알게 될 때가 있다. 마흔을 넘기면 인생이 또 달리 보인다. 만약 백년을 산다면 인생은 또 우리에게 어떤 무늬로 그려질까? 그 지혜를 미리 안다면 우리 삶이 조금 더 향기로워지지 않을까?” 모든 말이 명언이다. 그는 사랑 있는 고생이 최고의 행복이었으며, 그것을 깨닫는데 90년이 넘게 걸렸다.”고 고백한다. 사람들은 삶을 살수록 버거워한다. 그러면서도 쉽게 이 세상을 떠나고 싶어 하지 않는다. 사실 장수는 모든 이의 숨은 소원이다. 하지만 오래 사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삶의 목적이며 여운이다.

 

  100세를 산다는 것은 설레이고 기대되는 일이다. ? 세상은 점점 더 신기하고 편리해 지고 있기 때문에. 그런 면에서 이미 100년을 살아온 노교수의 행보와 말은 절로 믿음이 가는 모습이다. 그는 평생 50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작년에 나온 그의 에세이 <영원과 사랑의 대화>(2017)는 스스로 살아본 인생을 돌이켜 깨달은 삶의 비밀들을 인생 후배들에게 다정하고 나지막한 소리로 들려준다. 가정, 사회생활, 그리고 인생의 의미와 죽음에 대한 관심까지 지혜롭게 판단하고 처리하는 삶의 지혜를 제시한다. 그리고 '인생은 늙어가는 것이 아니라 익어가는 것'이라고 선언한다.

 

  김형석 교수의 책에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것은 행복론이다. 보통 사람들은 '성공하면 행복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성공한 사람은 행복을 누린다.'고 생각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김형석 교수는 '성공과 행복의 함수 관계'는 다르다고 선을 긋는다. 자신에게 주어진 재능과 가능성을 유감없이 달성한 사람만이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평양 숭실 중학교에서 윤동주시인을, 대학에서는 김수환 추기경을 만나며 젊은 날에도 그는 사색이 일상화되었고 금싸라기 같은 저서를 집필할 수 있었다.

 

  칸트나 슈바이처처럼 김 교수는 일을 통해 100세를 멋지게 향유하고 있다. 늙어서도 행복하게 살 권리가 있다. 반면, 후배와 후손들의 존경을 받아야 할 의무도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늙으면 이렇게 사는 것이 좋겠다'는 모범을 보여주는 지혜가 절실히 필요하다. 100살을 살아도 여전히 자신을 가꾸며 귀감이 되는 노교수의 모습이 가슴에 잔영으로 남아있다.

 


  1. 땅이 좋아야 한다

    가족은 토양이고 아이는 거기에 심기는 화초이다. 토양의 질에 따라 화초의 크기와 향기가 달라지듯이 가족의 수준에 따라 아이의 크기가 달라진다. 왜 결혼할 때에 가문을 따지는가? 집안 배경을 중시하는가? 사람의 성장과정이 너무도 중하기 때문이다. 미...
    Views47356
    Read More
  2. 목사님, 다리 왜 그래요?

    어린아이들은 순수하다. 신기한 것을 보면 호기심이 발동하며 질문하기 시작한다. 아이는 솔직하다. 꾸밈이 없다. 하고 싶은 말을 거리낌 없이 내뱉는다. 상황과 분위기에 관계없이 아이들은 속내를 배출한다. 그래서 나는 아이들이 무섭다. 한국에서 목회를 ...
    Views45825
    Read More
  3. 가상과 현실

    고교시절 가슴을 달뜨게 한 노래들이 멋진 사랑에 대한 로망을 품게 했다. 70년대 포크송이 트로트의 흐름을 잠시 멈추게 하며 가요판세를 흔들었다. 템포가 그리 빠르지 않으면서도 서정적인 가사는 청춘의 발걸음을 멈추게 만드는 묘한 매력을 지니고 있었...
    Views50039
    Read More
  4. 여자가 나라를 움직일 때

    내가 결혼 했을 즈음(80년대) 대부분 신혼부부들의 소망은 떡두꺼비 같은 아들을 낳아 부모님께 안겨드리는 것이었다. 이것은 당시 최고 효의 상징이었다. 그런 면에서 나는 딸 둘을 낳으면서 실망의 잔을 거듭 마셔야 했다. 모시고 사는 어머니의 표정은 서...
    Views47353
    Read More
  5. 백년을 살다보니

    새해 첫 KBS 인간극장에 철학교수 김형석 교수가 등장했다. 평상시 즐겨보는 영상은 아니지만 제목이 눈에 들어왔고, 평소 흠모하던 분의 다큐멘터리이기에 집중해서 보았다. 김 교수는 이미 “백년을 살다보니”라는 책을 97세에 집필하였다. 이런...
    Views45533
    Read More
  6. No Image

    <2019년 첫 칼럼> 예쁜 마음, 그래서 고운 소녀

    새해가 밝았다. 2019년 서서히 항해를 시작한다. 짙은 안개 속에 감취어진 미지의 세계를 향해 인생의 노를 젓는다. 돌아보면 그 노를 저어 온지도 꽤나 오랜 세월이 지나간 것 같다. 어리디 어린 시절에는 속히 어른이 되고 싶었다. 그만큼 어른들은 할 수 ...
    Views55330
    Read More
  7. No Image

    새벽송을 그리워하며

    어느새 성탄을 지나 2018년의 끝이 보인다. 기대감을 안고 출발한 금년이 이제는 과거로 돌아갈 채비를 서두르고 있는 것이다. 지난 토요일(22일) 첼튼햄 한아름마트 앞에서 구세군남비 모금을 위한 자그마한 단독콘서트를 가졌다. 내가 가진 기타는 12줄이다...
    Views46941
    Read More
  8. No Image

    월급은 통장을 스칠 뿐

    서민들에게 월급봉투는 생명 줄과 같다. 애써 한 달을 수고한 후에 받는 월급은 성취감과 새로운 꿈을 안겨준다. 액수의 관계없이 월급봉투를 받아드는 순간의 희열은 경험해 본 사람만 안다. 세대가 변하여 이제는 온라인으로 급여를 받는다. 편리할지는 모...
    Views48216
    Read More
  9. No Image

    “오빠”라는 이름의 남편

    처음 L.A.에 이민을 와서 유학생 가족과 가까이 지낸 적이 있다. 신랑은 남가주대학(U.S.C.)공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었고, 세 살 된 아들이 하나 있었다. 아이 엄마는 연신 남편을 향해 “오빠”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었다. 지금과 달라서 그때...
    Views50093
    Read More
  10. No Image

    영웅견 “치치”

    미국에 처음 와서 놀란 것은 미국인들의 유별난 동물사랑이다. 오리가족이 길을 건넌다고 양쪽 차선의 차량들이 모두 멈추고 기다려주는 장면은 감동이었다. 산책하는 미국인들의 손에는 반드시 개와 연결된 끈이 들려져있다. 덩치가 커다란 사람이 자그마한 ...
    Views49275
    Read More
  11. No Image

    행복은 어디에?

    사람은 누구나 행복을 목말라 하며 살고 있다. 저만큼 나아가면 행복할 것 같다. 하지만 그곳에 가도 그냥 그렇다. 과연 행복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누가 가장 행복한 사람일까? 과거에는 주로 경제적인 면에서의 결핍이 사람의 행복을 가로채 갔다. 맛있는 ...
    Views53227
    Read More
  12. No Image

    별들의 고향으로!

    2013년 9월, 우리 시대 최고 소설가인 최인호 작가가 세상을 떠났다. 더벅버리를 하고 청년문화를 외치며 명동 뒷골목을 누비고 다닐때에 그는 진정 우리의 우상이었고 젊은 가슴을 풍성하게 한 시대의 작가였다. 서글서글한 인상과 구성진 목소리가 친근감을...
    Views47589
    Read More
  13. No Image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원제목인 "Whale Done!"인 이 책은 범고래가 조련사의 손에 길들여져 사람들 앞에서 멋진 쇼를 보여주는 현장에 나가기까지의 과정을 ‘조근조근’ 그려가고 있다. 대중 앞에서 범고래가 많은 기술을 습득하여 “쇼”를 하기까지는 사육...
    Views56404
    Read More
  14. No Image

    어르신∼

    노인복지원에서 일하는 지인을 만나기 위해 로비에 들어섰다. 아무리 둘러보아도 사람이 보이지 않는다. 한참이나 “누구계세요. 사람 없습니까?” 외치고 있는데 스탭인 듯한 여성이 나타난다. “저, ○○○씨를 만나려고 왔는데요.” 인터...
    Views48278
    Read More
  15. No Image

    가을 한복판에서 만나는 밀밤

    밀알의 밤(밀밤)이 막을 내렸다. 구름떼처럼 모여드는 청중에 놀라고 매년 그 시간, 그 자리를 지켜주는 분들의 열정에 감탄한 시간이었다. 밀알의 밤은 온 가족이 편안한 마음으로 함께 할 수 있는 장이요. 가을에 걸 맞는 분위기로 삶을 돌아보게 하는 묘한...
    Views55137
    Read More
  16. No Image

    심(心)이 아니고, 감(感)이다

    사람은 누구나 삶을 지탱해 주는 지렛대가 있다. 삶이 힘들고 어려워도 어느샌가 가슴 깊은 곳에서부터 솟구쳐 오르는 힘이 있기에 고통을 견디고 오늘이라는 시간에 우뚝 서있는 것이다. 그것이 과연 무엇일까?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눈에 보이는 것이...
    Views48932
    Read More
  17. No Image

    내 나이가 어때서

    30대 젊은 목사는 항상 자신감이 넘쳤고 사역에 대한 의욕이 충만했다. 건의하는 횟수와 강도는 점점 늘어갔다. 하루는 나에게 담임목사님이 말했다. “이 목사님, 뭘 그렇게 자꾸 하려고 하세요. 조금 천천히 갑시다.” 그때는 그 말의 의미를 몰...
    Views51410
    Read More
  18. No Image

    외로운 사람끼리

    인생은 어차피 외로운 것이라고 들 한다. 그 외로움이 때로는 삶을 어두운 데로 끌고 가지만 외롭기에 거기에서 시가 나오고 심금을 울리는 노래가 나오는 것 같다. 사람들은 외로움을 두려워한다. 외로움이 두렵다기보다 그 상황을 더 무서워하는지도 모른다...
    Views51209
    Read More
  19. No Image

    밀알의 밤을 열며

    사람은 언어를 가지고 있다. 인류의 역사는 말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사람의 말이 인격이고, 실력이며, 사람됨됨이다. 해서 말 잘하는 사람은 인생성공의 확률이 높아진다. 말을 잘하는 사람을 흔히 ‘언어의 마술사’라고 부른다. &ldq...
    Views50455
    Read More
  20. No Image

    하늘

    가을하면 무엇보다 하늘이 생각난다. 구름 한 점 없는 코발트색 하늘은 사람의 마음을 푸근하게 만든다. 하늘은 여러 가지 색깔을 연출한다. 보통은 파란 색깔을 유지하지만 때로는 회색빛으로, 혹은 검은 색으로 변해간다. 번쩍이는 번갯불로 두려움을 주고 ...
    Views5777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7 Next
/ 37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