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을 살다보니

by 관리자 posted Jan 12,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형석 교수.jpg

 

  새해 첫 KBS 인간극장에 철학교수 김형석 교수가 등장했다. 평상시 즐겨보는 영상은 아니지만 제목이 눈에 들어왔고, 평소 흠모하던 분의 다큐멘터리이기에 집중해서 보았다. 김 교수는 이미 백년을 살다보니라는 책을 97세에 집필하였다. 이런 책을 쓰기위해서는 정신적, 육체적인 건강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그럴만한 위치에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분이 드디어 백세가 되었다. 100? 장수시대라 하지만 한 세기를 사는 것은 흔한 일은 아니다. 책을 통해 만나던 분을 영상을 통해 또렷이 만났다.

 

  김형석 교수는 김태길(서울대), 안병욱(숭실대) 교수와 더불어 철학계의 삼총사로 한 시대를 풍미했다. 세 사람은 절친으로 모두 수준급의 철학 강의를 통해 대중의 인기를 한 몸에 받았다. 김태길 교수는 11년 전 88, 안병욱 교수는 6년 전 93세로 세상을 떠났고 김 교수 홀로 백세를 맞이한 것이다. 세분이 다 장수한 것을 보면 철학은 장수의 비결일까? 100세 나이에도 귀와 눈이 어둡지 않은데다 지팡이 없이 가볍게 걷는 모습부터 연 160회 이상 곳곳에 강연을 다니는 노익장이 나를 놀라게 했다.

 

  우선 크리스천의 아름다운 향기가 나서 좋았고 환한 미소가 가득한 얼굴, 천천히 말하면서도 자신의 언어에 찔릴까 배려하는 자세, 고단함에 대한 위로, 산책과 절제를 통한 몸가짐 등에서 배어나오는 그의 인품에 감동했다. “우리가 젊은 나이로 돌아가 사랑하는 사람과 무얼 하고 싶은가 물었을 때 80% 가까이가 그 사람과 식사하고 싶다고 답한다. 음식을 같이 먹는 게 하나의 행복이기 때문이다.” 먼저 간 아내를 추억하며 꺼낸 말이다. 홀로 살아가는 노교수는 결코 외로워 보이지 않았고 그 모습자체가 철학이었다.

 

  스무 살에 몰랐던 것을 서른이 넘으면 알게 될 때가 있다. 마흔을 넘기면 인생이 또 달리 보인다. 만약 백년을 산다면 인생은 또 우리에게 어떤 무늬로 그려질까? 그 지혜를 미리 안다면 우리 삶이 조금 더 향기로워지지 않을까?” 모든 말이 명언이다. 그는 사랑 있는 고생이 최고의 행복이었으며, 그것을 깨닫는데 90년이 넘게 걸렸다.”고 고백한다. 사람들은 삶을 살수록 버거워한다. 그러면서도 쉽게 이 세상을 떠나고 싶어 하지 않는다. 사실 장수는 모든 이의 숨은 소원이다. 하지만 오래 사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삶의 목적이며 여운이다.

 

  100세를 산다는 것은 설레이고 기대되는 일이다. ? 세상은 점점 더 신기하고 편리해 지고 있기 때문에. 그런 면에서 이미 100년을 살아온 노교수의 행보와 말은 절로 믿음이 가는 모습이다. 그는 평생 50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작년에 나온 그의 에세이 <영원과 사랑의 대화>(2017)는 스스로 살아본 인생을 돌이켜 깨달은 삶의 비밀들을 인생 후배들에게 다정하고 나지막한 소리로 들려준다. 가정, 사회생활, 그리고 인생의 의미와 죽음에 대한 관심까지 지혜롭게 판단하고 처리하는 삶의 지혜를 제시한다. 그리고 '인생은 늙어가는 것이 아니라 익어가는 것'이라고 선언한다.

 

  김형석 교수의 책에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것은 행복론이다. 보통 사람들은 '성공하면 행복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성공한 사람은 행복을 누린다.'고 생각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김형석 교수는 '성공과 행복의 함수 관계'는 다르다고 선을 긋는다. 자신에게 주어진 재능과 가능성을 유감없이 달성한 사람만이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평양 숭실 중학교에서 윤동주시인을, 대학에서는 김수환 추기경을 만나며 젊은 날에도 그는 사색이 일상화되었고 금싸라기 같은 저서를 집필할 수 있었다.

 

  칸트나 슈바이처처럼 김 교수는 일을 통해 100세를 멋지게 향유하고 있다. 늙어서도 행복하게 살 권리가 있다. 반면, 후배와 후손들의 존경을 받아야 할 의무도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늙으면 이렇게 사는 것이 좋겠다'는 모범을 보여주는 지혜가 절실히 필요하다. 100살을 살아도 여전히 자신을 가꾸며 귀감이 되는 노교수의 모습이 가슴에 잔영으로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