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3.03.17 10:01

너는 자유다!

조회 수 39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오래전 “Who am I ?”라는 인문학 강연 프로그램에 “정글만리”를 펴낸 조정래 선생이 출연하였다. 노구의 비해 낭랑한 목소리와 소년의 미소가 정겹게 다가왔다. 강연 내내 푸근하게 떠올라 있는 미소와 너그러움이 참 편안하게 느껴졌다. 선생은 말한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 대한민국이 이혼률 1위, 행복도 꼴지, 자살률 1위. 이것이 우리나라의 현주소입니다. 이런 마당에 수출 10위가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라고 반문한다. 자살한 사람 중에 10대가 절반이라고 한다. “하나의 나무에 달린 이파리들도 같은 꼴 없이 닮아 있을 뿐인데 그 개성과 자유를 말살하고 부모의 욕망만을 강요하고 속박하고 강압하기 때문이라.”고 설파한다. 그러면서 하는 말. 손주에게 “아무것도 미리 생각하지 마라. ‘너는 자유야’ 고등학교 3학년 때까지만 발견하면 돼.”라고 했단다. 멋졌다.

 

 내가 자라나며 아버지에게 지적받고 야단을 맞은 것은 젓가락질이다. 가족들은 모두 평범하고도 단순하게 젓가락질을 잘하는데 나는 그게 안되었다. 설명하기가 힘들지만 대개 젓가락을 엄지로 잡고 검지와 장지사이에 넣어 음식을 먹는다. 그런데 나는 엄지와 검지 사이에 넣고 사용한다. 아버지는 그게 못마땅하셨다. 언제부터인지 모르지만 그렇게 굳어버린 내 젓가락질에 아버지는 맹비난을 퍼부었다. “젓가락질도 제대로 못하느냐?”고. 고쳐보려고 애를 써도 아버지가 가르친대로 하면 음식이 잘 안 집어졌다. 지금까지도 내 방식을 고수하며 편하게 음식을 먹으며 살고 있다.

 

 사람들은 저마다 다방면에서 평범하지 않은 모습을 지니고 산다. 어쩌다 왼손을 쓰는 사람을 보면 신기하다. 외국인 중에는 왼손잡이가 많다. 그것도 글씨를 쓸 때면 가지런히 용지를 놓는 것이 아니라 가로로 놓고 쓴다. 어떻게 저렇게 하지? 보는 사람은 답답해 보이지만 그 사람은 가장 편안한 방법으로 살고 있는 것이다. 호주에 갔을때에 가장 당황한 것은 좌측 통행이었다. 일단 자동차 운전석이 오른쪽에 있다. 조수석에 앉아 커브를 돌 때면 상대방 차가 와서 추돌할 것 같은 착각을 일으켜 당황을 했다.

 

 최초로 좌측통행을 실시한 국가는 영국이다. 그 기원은 지금의 현대식 차량이 아닌 마차를 이용하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마부가 왼손으로 고삐를 잡고 오른손으로 채찍질을 할 때 보행자에게 위협이 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였다. 대개 섬나라는 좌측 통행을 선호한다. 일본, 영국, 태국, 홍콩 등 34%의 국가가 좌측통행을 하고 있다. 직접, 간접적으로 영국의 영향을 받은 국가가 많으며 자연스럽게 좌측통행 문화가 정착한 경우이다. 우리는 우측통행에 익숙하지만 도로에서 시야를 확보하는 데에는 용이하므로 좌측 통행이 더 안전하고 더 합리적이라는 학설도 있다.

 

 연극 <생각의 자유>가 있다. 그런데 포스터가 고기로 된 사람 옆모습이다. 뭔가 제목과 일치되지 않는듯하지만 계속 눈길이 간다. 사람은 언제나 고기를 먹는 입장이지 그 자신이 고기가 되어 먹히는 입장은 좀처럼 상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고기는 식량이다. 사람은 식량을 먹어 자기 자신의 몸과 생명을 부지한다. 눈앞에 놓인 고기를 두고 우리는 살아서 풀밭을 뛰어다니는 소나 돼지, 양을 상상하지 않는다. 내가 마트에서 사 온 고기는 그저 내 입에 들어가 배를 채울 뿐이다. 그런데 사람도 자신의 배를 불리기 위한 고기처럼 보이는 부류가 있지 않을까? <생각은 자유>다.

 

 고정관념처럼 무서운 것이 없다. “이것은 이래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말로 전통이나 유산, 지식일 수 있다. 그 틀 안에 다른 사람을 집어 넣으려는 시도를 하는 부모, 오너, 지도자가 있다. 시간이 흐르면 당사자도 피곤하고 관계하는 사람도 지치게 된다. 인간은 각기 다른 개성의 소유자이다. 그 고정관념을 깨고 자유할 때에 인류 역사는 변천하고 발전되어 왔음을 우리는 깨달아야 한다. “너는 자유다!” 기가 막힌 말이다. 그렇다. “두려움, 화, 수치심”에서, 나를 두렵게 하는 환경과 사람들에게 나는 자유다. 당신은 자유다!


  1. No Image

    생명의 신비

    장애인에게 결혼은 넘어가야 할 큰 장벽이다. 보통 청년들은 자연스럽게 짝을 만나고 결혼을 한다. 하지만 장애라는 아픔을 안고 사는 장애인들은 엄두도 내지 못한 채 살고 있다. 장애인사역을 하는 분들이 나누는 명언 아닌 명언이 있다. “여자 천사...
    Views3672
    Read More
  2. No Image

    가정을 한 글자로

    장성하여 혼기가 차면 짝을 찾아 결혼을 한다. 인생을 살면서 ‘어떤 배우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방향이 달라진다. 이미 긴 세월 결혼생활을 해 온 분들에게 묻고 싶다. ‘만약 지금의 배우자가 아닌 그 시점에서 다른 사람을 만났다면 어떤...
    Views3761
    Read More
  3. No Image

    누구나 장애인

    초청받은 교회에서 설교를 하고 예배 후 친교를 시작하면 하나둘 내 곁에 모여든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은 “목사님, 저도 장애인입니다.”이다. 일단 거부감이 들지만 스스로 생각해도 장애가 있다는 의미인 것 같다. 그런데 정작 누군가...
    Views3660
    Read More
  4. No Image

    어차피 인간은 외로운 존재인가?

    한국에 가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 위함이다. 물론 목사이기에 여러 교회를 다니며 설교를 하지만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고국의 품이 그리워 찾아가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며 회귀본능이 고개를 든다. 어린 나이에 이민을 온 분들은 그렇지 않겠지만...
    Views3857
    Read More
  5. No Image

    그 이름 그 사람

    사람은 누구에게나 이름이 있다. 사실 이름은 본인의 의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붙여지는 고유명사이다. 이름은 태어나서만 지어지는 것이 아니다. 모태에 잉태된 순간에 붙여지는 이름도 있다. 바로 ‘태명’(胎名)이다. 태명이 태명으로 끝나는 경...
    Views3736
    Read More
  6. No Image

    웃으면 행복해져요!

    사람과 짐승이 다른 것이 있다면 그것은 사람만이 웃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개나 고양이는 웃지 못한다. 사람만이 다양한 소리를 내며 웃을 수 있다. 하기에 웃음을 “만국공통어”라고 한다. 웃음소리만 들어서는 한국인인지 외국인인지 구분이 안...
    Views3791
    Read More
  7. No Image

    죽고 싶은 당신에게

    택시를 탔다. 기사와 대화를 나누는 중에 뜬금없이 “자신이 자살 시도를 세 번이나 했었다”고 털어놓는다. 저으기 당황하며 이유를 물었다. “나이 어린 젊은 진상 손님들로 인해서 오는 스트레스 때문이었습니다.” 상상이 갔다. 줄곧...
    Views3498
    Read More
  8. 아, 청계천!

    나는 지금 한국 방문 중이다. 중요한 일정 중에 하나는 한국 장애인의 날에 나의 모교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채플에서 설교를 하는 귀한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20일(수) 오전 11:30분. 강단에 올라 무릎을 꿇었다. 가슴 한켠에서 무언가 ‘울컥&rsqu...
    Views3804
    Read More
  9. No Image

    생일이 뭐길래?

    평범한 주부의 고백이다. 며칠 전에 생일을 지나면서 많은 일들을 겪었다고 했다. 하필 전날이 작은 딸의 생일이었다. 초등학교 1학년인 딸을 위해 미역국을 끓이고 딸 친구들을 초대하여 자그마한 파티도 열어주었다. 즐겁고도 피곤한 하루를 보냈다. 다음날...
    Views3685
    Read More
  10. No Image

    산다는 건 그런거지!

    감동 없이 사는 삶은 형벌이다. 사람들은 만나면 습관적으로 묻는다. “요즈음 재미가 어떠세요?” 혹은 “신수가 훤한 것을 보니 재미가 좋으신가봐요?” 재미가 없는 삶은 무의미하다. 삶에는 모름지기 재미가 있고 감동이 있어야 한다...
    Views3754
    Read More
  11. No Image

    몸은 영혼을 담은 그릇

    사람은 영혼과 육체를 가지고 있다. 영혼은 그냥 영(靈)이라고하고 육체는 몸이라고 한다. 몸은 “모음”의 준말이다. 다 모여 있다는 말이다. AI 시대라고 하지만 하나님이 만드신 뇌는 못 따라간다. 뇌에서 Enter를 치면 몸은 그대로 움직인다. ...
    Views3897
    Read More
  12. No Image

    인생의 평형수

    만물은 항상 평형을 유지하려는 본성을 지닌다. 때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며 평형상태가 무너질 때가 있는데 이 찰나에 미미하나마 다시 평형상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을 복원력이라고 한다. 복원력이 가장 중요하게 적용되는 것이 물위에 배이다. 급격한 ...
    Views3499
    Read More
  13. No Image

    도랑

    서종(양평)에서 나는 3년동안 초등학교를 다녔다. 지제, 강상, 양평초등학교를 거쳐 아버지의 인사이동을 따라 산골 깊이 서종초등학교로 전학을 해야 했다. 지금은 카페촌이 들어서고 골짜기마다 분위기 좋은 별장이 즐비한 곳이 되었지만 당시는 촌(村)이었...
    Views3620
    Read More
  14. No Image

    너는 자유다!

    오래전 “Who am I ?”라는 인문학 강연 프로그램에 “정글만리”를 펴낸 조정래 선생이 출연하였다. 노구의 비해 낭랑한 목소리와 소년의 미소가 정겹게 다가왔다. 강연 내내 푸근하게 떠올라 있는 미소와 너그러움이 참 편안하게 느껴...
    Views3923
    Read More
  15. No Image

    아내의 존재

    내가 어릴때는 아버지의 존재가 너무도 커보였다. 형제끼리 이방 저방을 오가며 장난을 치고 호들갑을 떨며 어수선하다가도 아버지가 퇴근을 하고 집에 오시면 일순간 조용해 졌다. 식사 중에 대화를 하면 “밥풀이 튄다”고 절제를 시켰고, 밥숟가...
    Views3793
    Read More
  16. No Image

    시각 장애 반장

    장애를 안고 통합교육을 받는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과거에는 특수학교가 인기가 있었다. 종로에 “명휘원” 광진구에 있는 “정립회관”이 그곳이다. 어떤 면에서 장애를 가진 학생들끼리 편견없이 서로의 아픔을 공유하며...
    Views4013
    Read More
  17. No Image

    개를 산책시키는 남자

    작가의 삶과 작품은 연관성을 갖는다. 내 글에 내 인생의 체취가 묻어나는 것처럼 말이다. 책 이름이 하도 특이해서 손에 잡았고, 흥미진진하게 단숨에 읽어 나아갔다. 작가 전민식은 실로 꼬인 인생을 살았다. 한마디로 되는 일이 없는 사나이였다. 그러던 ...
    Views3839
    Read More
  18. No Image

    군밤

    모처럼 한국 친구 목사와 전화통화를 하다가 “친구야, 용인에서 먹던 <묵밥>이 먹고 싶다.” 외쳤더니 한참을 웃다가 “너는 기억력도 좋다. 언제든지 와 사줄게.”하는 대답이 정겹게 가슴을 파고든다. 30대였을거다. 추운 겨울날에 친...
    Views4085
    Read More
  19. No Image

    어른이 없다

    아버지의 권위가 하늘을 찌르던 시대에 나는 자라났다. 학기 초 학교에서 내어준 가정환경조사서의 호주 난에는 당연히 아버지의 이름 석자가 자리했다. 간혹 엄마의 목소리가 담을 넘는 집도 있었지만 그때는 대부분 아버지가 가정의 모든 의사결정을 주도하...
    Views4236
    Read More
  20. No Image

    명절이 더 외로운 사람들

    지난 1월 22일은 우리나라 고유명절인 설날이었다. 명절은 누구에게나 기대감과 설레임을 안긴다. 하지만 일부 장애인에게는 해당이 안되는 것 같다. 안타까운 소식은 매년 100여명의 장애인이 버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버려진 장애인들은 ‘장애와 고...
    Views440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