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87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재서 총재.png

총장 부부.jpg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들 부정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무엇보다 승산이 0%라는 것이다. 11명이 출마한 총신대학교 총장 경선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줄곧 1위를 달리더니 마침내 총장에 당선되는 쾌거를 이룬다. 다들 혀를 내둘렀다. 실로 불가능의 벽을 뚫고 그는 당당히 세계 최초 시각장애 총장이 된 것이다.

 

 나의 모교이지만 총신대학교는 면학 분위기가 무너진지 오래이다. 전임 총장의 운영 미숙과 신뢰상실로 상처투성이의 학교가 되어버렸다. 그런 와중에 시각장애를 가진 이재서 박사가 취임하기에 이른다. 다들 많은 염려를 했지만 밀알을 40년 이끌어온 그의 탁월한 리더십은 학교를 서서히 정상화시켜 나가고 있다. 총장이 되자마자 살인적인 스케줄을 소화하며 각종 모임에 참석을 하고 수많은 사람을 만나며 총장의 입지와 학교 정상화 두 마리에 토끼를 능숙히 잡아내고 있는 것이다. 얼마나 다행스러운지 모른다.

 

 이재서 총장은 열다섯 살 어린 나이에 갑작스런 실명으로, 죽음 같은 고통과 좌절을 겪어야 했다. 고교시절에 여의도에서 열린 빌리그레이엄 목사 초청 집회에 참석하여 예수그리스도를 영접하며 실명을 축복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총신대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이던 19791016일 한국밀알선교단을 설립하여 장애인선교의 기치를 들어 올리게 된다. 1984년에는 지팡이에 의지한 채 홀로 미국 필라델피아로 유학을 와서 각종 학위를 취득하게 되고 그런 와중에 필라델피아 밀알선교단을 시작으로 미주 곳곳에 밀알선교단을 세우게 된다.

 

 1994년 귀국 이후에는 모교인 총신대학교의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헌신한 끝에 학문의 장 대학과 봉사의 현장 밀알에서 교수와 총재로 살아온 그는 총신대학교 제7대 총장으로 선출되어 525일부터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 총장은 누구를 만나던 점자컴퓨터를 앞에 놓고 대화를 한다. 그는 1967년부터 점자로 일기를 쓰고 있다.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동안에도 그의 손은 분주하다. 꼼꼼하게 메모하는 습관을 50년 넘게 유지해왔다. 가까이서 모시며 느끼는 것은 그는 상당한 노력파이며 자상하고 이타적인 분임을 깨닫는다.

 

 총장실은 취임을 축하하는 화환들로 푸릇푸릇하다. 원목 가구들과 화분이 어우러져 마치 수목원에 온 것 같은 분위기이다. 대부분 이 총장 이야기에 감명받은 사람들이 보낸 것이다. 장애인이 보내기도 하고 일면식도 없는 사람이 보낸 화분도 많단다. 어떤 이는 이 총장 인터뷰가 실린 일간지를 액자에 고이 넣어서 보내기도 했다. “총장 당선 소식이 알려지고 내 일처럼 기뻐해 준 장애인이 많았어요. 어떤 30대 여성은 갑자기 시력을 잃어서 절망에 빠져 있었는데 저를 보고 희망을 되찾았다고 하고, 어떤 사람은 일본과의 축구 경기에서 골이 터지는 걸 보는 기분이었다고도 하더라고요. 한이 풀렸다, 응어리가 풀렸다는 의견도 있었구요. 제가 우리 사회의 유리천장과 편견을 깼다는 생각에 기뻐하는 장애인이 많았습니다.”

 

 그가 총장이 될 수 있었던 숨은 공로자는 학교 구성원들이다. 시각장애인이 총장선거에 나가겠다고 할 때에 그 누구도 시비를 거는 사람은 없었다. 25년 동안 학생들을 가르치며 최선을 다하고 열심히 한 결과였다. 무엇보다 한결같이 곁에서 묵묵히 내조해 준 한점숙 사모의 내조를 잊어서는 안 된다. 그가 총장이 된 것도 위대한 일이다. 하지만 그보다 절망할 수밖에 없는 시각장애, 그 누구도 관심 가져주지 않는 장애인이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신학대학교 총장이 되었다는 것이 감사할 뿐이다.

 

 장애는 결코 삶의 장애가 될 수 없음을 그는 증명해 보였다. 희망, 꿈을 향한 도전. 그의 업적보다 그의 삶의 태도는 모두의 마음에 훈풍이 불게 한다.


  1.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26279
    Read More
  2. 다시 태어난다면

    부부는 참 신비하다. 처음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할 때는 못죽고 못사는데 평생 평탄하게 사는 부부는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거의 세월의 흐름 속에 데면데면 밋밋한 관계가 된다. 누구 말처럼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고갈되어 그런 것인...
    Views24767
    Read More
  3. 모르는 것이 죄

    소크라테스는 “죄가 있다면 모르는 것이 죄”라고 했다. 의식 지수 400이 이성이다. 우리는 눈만 뜨면 화를 내며 산다. 다 알지 않는가? 화를 자주 내는 사람보다 전혀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이 더 무섭다는 것을. 한번 터지면 걷잡을 수 없다. 풀리...
    Views24258
    Read More
  4. 월남에서 돌아온 사나이

    2018년 봄. 후배 선교사로부터 집회요청을 받고 베트남을 방문하게 되었다. 베트남 행 비행기 안에서 초등학교 때 추억이 삼삼히 떠올랐다. 베트남?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월남에서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야기...
    Views25853
    Read More
  5.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4848
    Read More
  6.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7073
    Read More
  7.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6940
    Read More
  8.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30084
    Read More
  9.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7607
    Read More
  10.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8858
    Read More
  11.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7712
    Read More
  12.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8279
    Read More
  13.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8703
    Read More
  14. 그래도 살아야 한다

    지난 14일. 배우 겸 가수인 설리(최진리)가 자택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나이 겨우 25살.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청춘은 우울증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청순하고 빼어난 미모, 평소 밝은 성격의 그녀가 자살한 것은 커다란 충...
    Views29834
    Read More
  15. 가을, 밀알의 밤

    어느새 가을이다. 낯선 2019년과 친해지려 애쓰던 것이 바로 어제 같은데 겨울을 거쳐 봄,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초록이 지쳐가고 있다. 여기저기 온갖 자태를 뽐내며 물들어 가는 단풍이 매혹적이기는 한데 애처로워 보이는 것은 내 기분 탓일까? 가을은 ...
    Views30104
    Read More
  16.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7712
    Read More
  17. 침묵 속에 버려진 청각장애인들

    “숨을 내쉬면서 혀로 목구멍을 막는 거야. ‘학’ 해 봐.” 6살 “별이”는 엄마와 ‘말 연습’을 하고 있다. 마주 앉은 엄마가 입을 크게 벌리고 “학”이라고 말하면 별이는 ‘하’ 아니면 &...
    Views31595
    Read More
  18.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7663
    Read More
  19.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8860
    Read More
  20.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878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