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11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mom.jpg

 

영화 <말아톤>을 보면 장애우 “초원”이 엄마와 마라톤 감독 간에 대화가 주목을 끈다. 감독이 초원이 엄마(김미숙 분)에게 묻는다. “아줌마 소원이 무엇입니까?” 망설이듯 하던 초원 엄마가 대답한다. “내 소원은 초원이보다 하루를 더 사는 것입니다.” 아니, 그것이 소원일 수 있을까? 이미 10년이 넘은 영화이지만 그 한 마디가 가슴에 남아있다. 나는 매주 토요일, 천사 같은 발달 장애 아동들을 만난다. 육신적인 장애뿐 아니라 정신적인 면까지 복합 장애를 가진 아동들이 태반이다. 따라서 정상적인 의사소통이 어렵다. 어떤 지시나 학습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이 나오지 않는다. 그들에게서 시선을 놓으면 금방 문제가 발생하고 만다.

 

장애 아동을 둔 부모님들의 소원은 동일하다. “내 아이보다 하루를 더 사는 것”이다. 거꾸로 말하면 “아이가 자신보다 하루 먼저 가는 것”이다. “부모는 돌아가시면 산에 묻고, 자식은 죽으면 가슴에 묻는다.”는 말이 있다. 그런데도 가슴에 묻어서라도 먼저가기를 소원할 수밖에 없는 장애 아동 엄마의 심정을 헤아리는가? 엄마의 손길 없이는 한시도 살아 갈수 없는 아이, 그 엄마의 눈길을 떠나서는 한시도 안전할 수 없는 아이. 따라서 ‘이 아이는 엄마 없이는 살 수 없다.’는 절박함에 살게 되고 결국 엄마는 “아이보다 하루를 더 사는 것”은 소원하며 사는 것이다.

 

“김재복 집사”(여의도 순복음 교회)는 장애 아동의 어머니이다. 남들보다 일찍 결혼하여 낳은 아이는 ‘다운 증후군’이었다. 처음에는 아들이 장애가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했다. 어른들 말씀대로 “좀 늦는 아이가 있다”는 말에 ‘발육이 늦고, 행동이 더디 발달 한다’고만 생각을 했다. 감기로 병원에 가보아도 의사조차 “몸이 약해 면역성이 떨어질 뿐이라”고 했지. 「선천성 장애」라는 것을 모를 정도로 장애에 대한 지식도 부족할 뿐 아니라 장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적었고, 장애에 대한 편견도 심한 때였다.

 

그저 “병치레 잦은 아이로, 모든 것이 나이보다 늦는다.”고만 생각을 했다. 따라서 모든 일을 일일이 해줘야만 하고, 길을 갈 때도 손을 꼭 잡아야만 했다. 아이에게서 잠시 시야를 떼어보지 못한 채 살아가며 삶에 대한 무기력감에 사로잡혔고, 우울증에 빠져드는 상황까지 이어졌다. 그러던 중 아이가 10살 때쯤 되어 심장병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당시는 국민 의료보험도 없었기에 수술은 엄두도 내지 못했다. 엄마로서 ‘아이가 심장병이 있다’는 사실도 모르고 살아왔다는 자책감은 그나마 남아있던 자아조차도 무너지게 만들었다. 결국 아이가 “‘선천성 다운증후군’이라는 것과 17살 밖에 살 수 없다”는 아이에게 할 수 있는 일은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김 집사님의 마음에는 피멍이 들었다.

 

소원이 있다는 것은 얼마나 아름다운 일인가? 그런데 “자식보다 하루 늦게 죽는 것”이 소원이라면 이것은 너무 슬프지 않은가? 어느 장애인의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죽기 전에 장애 딸의 손을 꼭 잡고 “이제는 하나님께서 내가 돌본 것보다 너를 더 잘 돌보아 주실 것이라”고 하면서 눈을 감았다. 그리고 그 친구는 어머니의 믿음대로 지금 여러 사람들의 사랑 가운데 행복하게 살고 있다.

 

어느 심리학자는 충격적인 말을 했다. “모성애는 위대하다. 그런데 그 모성애의 극치는 장애 아동을 둔 어머니에게서 나타난다.”그렇다. 남의 눈에는 어떠하던지 어머니는 내가 낳은 자식을 사랑한다. 장애가 있는 아들, 딸이라 할지라도 그 어머니에게는 생명보다 귀한 존재이다. 슬픈 소원을 가지고 살아가는 이 땅에 어머니들에게 소망을 심고, 언젠가 그분들이 먼저 이 땅을 떠나더라도“밀알”이 있기에 편안히 자녀의 손을 놓을 수 있는 그런 때가 이를 때까지 우리는 달려가고 달려가리라!

 


  1. 그것만이 내 세상

    우리 밀알선교단에는 다수의 장애인들과 장애아동들이 있다.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것은 힘겨운 일이다. 아울러 가족 중에 장애인이 있는 것도 삶이 평탄하지 않음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18년 전, 밀알선교단 단장으로 부임하였을때에 전신마비 장애인이 ...
    Views17419
    Read More
  2. 그 애와 나랑은

    갑자기 그 애가 생각났다. 아무것도 모른 채 무거운 책가방을 들고 진학의 꿈을 향해 달리던 그때, 그 애가 나타났다. 초등학교 6학년이 되면서 전근을 자주 다니던 아버지(경찰)는 4살 위 누이와 자취를 하게 했다. 그 시대는 중학교도 시험을 쳐서 들어가던...
    Views17552
    Read More
  3. 창문과 거울

    집의 경관을 창문이 좌우한다. 창문의 모양과 방향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진다. 창문 밖으로 펼쳐지는 장면은 시야로 흡수되고 느낌을 풍성히 움직인다. 영화의 한 장면처럼 통유리가 있는 집에 살고 싶었다. 창을 통해 시원하게 펼쳐진 정원을 바라보는 것이 ...
    Views18044
    Read More
  4. 나무야, 나무야

    초등학교 1학년. 당시 아버지는 경기도 양평 지제(지평)지서에 근무중이셨다. 이제 겨우 입학을 하고 학교생활에 흥미를 가지게 될 5월초였다. 방과 후 집에 돌아와 친구랑 자치기를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아버지가 나타나셨다. 그 시간이면 한창 근무할 때인...
    Views18132
    Read More
  5. 컵라면 하나 때문에 파혼

    팬데믹으로 인해 결혼식을 당초 예정일보다 5개월 늦게 치르게 된 예비 신부와 신랑. 결혼식 한 달을 앞두고 두 사람은 신혼집에 거주하면서 가구와 짐을 정리하며 분주한 일상을 보내고 있었다. 주말에 신혼집을 찾은 예비 신부가 집 정리를 끝낸 시간은 자...
    Views18079
    Read More
  6. 우리 애가 장애래, 정말 낳을 거야?

    결혼을 하고 자녀를 낳는 것은 모든 부부의 바램이다. 임신소식을 접하며 당사자 부부는 물론이요, 가족들과 주위 사람들이 다 축하하며 즐거워한다. 그런데 태아에게 장애가 발견되었을때에 부부는 당황하게 된다. ‘낳아야 하나? 아니면 다른 선택을 ...
    Views18073
    Read More
  7. 반 고흐의 자화상

    누구나 숨가쁘게 삶을 달려가다가 어느 한순간 묻는 질문이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위해 그토록 애를 쓰며 살아왔을까?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볼까?”라는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화가들이 최고의 경지에 이르면 자화상을 그린다. 뒤...
    Views18146
    Read More
  8. 버거운 이민의 삶

    교과서에서 처음 배운 미국, 스펙터클 한 허리우드 영화, ‘나성에 가면’이라는 노래로 그리던 L.A. ‘평생 한번 가볼 수나 있을까?’ 고등학교 때부터 함께 뒹굴던 친구가 졸업하자마자 미국으로 떠나버린 날, 강주와 나는 자취방에서 ...
    Views18192
    Read More
  9. 기찻길

    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자란 동네에서 어릴 때부터 익숙하게 접하는 것이 있다. 바닷가 근처에 살았다면 푸른 바다와 그 위를 유유히 가르며 다니는 크고 작은 배들. 비행장 근처에 살았다면 헬리콥터로부터 갖가지 모양과 크기에 비행기를 보며 살게 된다. 나...
    Views24676
    Read More
  10. “안돼” 코로나가 만든 돌봄 감옥

    코로나 19-바이러스가 덮치면서 우리 밀알선교단은 물론이요, 장애학교, 특수기관까지 문을 열지 못함으로 장애아동을 둔 가정은 날마다 전쟁을 치르고 있다.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복지관과 보호센터가 문을 닫은 몇 달간 발달장애인 돌봄 공백이 생기면서 ...
    Views18934
    Read More
  11. 인생은 집 짓는 것

    어쩌다 한국에 가면 좋기는 한데 불안하고 마음이 안정되지 않는다. 정든 일가친척들이 살고 있는 곳, 그리운 친구와 지인들이 즐비한 곳, 내가 태어나고 자라나며 곳곳에 추억이 서려있는 고국이지만 일정을 감당하고 있을 뿐 편안하지는 않다. 왜일까? 내 ...
    Views19788
    Read More
  12. 그러려니하고 사시게

    대구에서 목회를 하고 있는 절친 목사에게 짧은 톡이 들어왔다. “그려려니하고 사시게”라는 글이었다.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대형교회를 목회하고 있다. 부친 목사님의 연세가 금년 98세이다. “혹 무슨 화들짝 놀랄만한 일이 생기더라도...
    Views18771
    Read More
  13. 부부는 『사는 나라』가 다르다

    사람들은 결혼식을 올리고 혼인 신고만 하면 부부인 줄 안다. 그것은 부부가 되기 위한 법적인 절차일 뿐이다. 오히려 결혼식 이후가 더 중요하다. 결혼식은 엄청나게 화려했는데 몇 년 살지 못해 이혼하는 부부들이 얼마나 많은가? 왜 그럴까? 남편과 아내는...
    Views19308
    Read More
  14. 다시 태어나도 어머니는 안 되고 싶다

    장애를 가지고 생(生)을 산다는 것은 참으로 힘겨운 일이다. 건강한 몸을 가지고 살아도 힘든데 장애를 안고 산다는 것이 얼마나 버거운지를 당사자가 아니면 짐작하지 못한다. 나는 장애인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말한다. “목사님은 장애도 아니지요? ...
    Views18705
    Read More
  15. 지금 뭘 먹고 싶으세요?

    갑자기 어떤 음식이 땡길 때가 있다. 치킨, 자장면, 장터국수, 얼큰한 육개장, 국밥등. 어린 시절 방학만 하면 포천 고향 큰댁으로 향했다. 나이 차이가 나는 사촌큰형은 군 복무 중 의무병 생활을 했다. 그래서인지 동네에서 응급환자가 생기면 큰댁으로 달...
    Views19121
    Read More
  16. 인내는 기회를 만나게 된다

    건강도 기회가 있다. 젊을 때야 돌을 씹어 먹어도 소화가 된다. 그런데 나이가 들어가며 조금만 과식을 해도 속이 부대낀다. 그렇게 맛있던 음식이 땡기질 않는다. 지난 주간 보고 싶었던 지인과 한식당에서 얼굴을 마주했다. 5개월 만에 외식이었다. 얼굴이 ...
    Views19736
    Read More
  17. 오솔길

    사람은 누구나 길을 간다. 넓은 길, 좁은 길. 곧게 뻗은 길, 구부러진 길. 처음부터 길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 길이 생기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노고와 애씀이 있었는지를 생각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길의 종류는 많기도 많다. 기차가 다니는 ...
    Views20537
    Read More
  18. 백발이 되어 써보는 나의 이야기

    한동안 누구의 입에나 오르내리던 대중가요가 있다. 가수 오승근이 부른 “내 나이가 어때서”이다. “♬어느 날 우연히 거울 속에 비춰진 내 모습을 바라보면서 세월아 비켜라 내 나이가 어때서 사랑하기 딱 좋은 나인데~” 점점 희어지...
    Views19018
    Read More
  19. 말아톤

    장애아동의 삶이 세상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만든 영화제목(2005년)이다. 제목이 “말아톤”인 이유는 초원(조승우)이 일기장에 잘못 쓴 글자 때문이다. 영화 말아톤은 실제 주인공인 자폐장애 배형진이 19세 춘천마라톤 대회에 참가하여 서브쓰리...
    Views19504
    Read More
  20. 이제 문이 열리려나?

    어느 건물이나 문이 있다. 문의 용도는 출입이다. 들어가고 나가는 소통의 의미가 있다. 하지만 요사이 다녀보면 문이 다 닫혀있다. 상점도, 음식점도, 극장도, 심지어 열려있어야 할 교회 문도 닫힌 지 오래이다. COVID-19 때문이다. 7년 전, 집회 인도 차 ...
    Views2002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