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6.01.15 14:23

응답하라, 1988!

조회 수 6344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응팔.jpg

 

  드라마가 이렇게 재미있어도 되는 걸까? 요즈음 아내와 드라마 삼매경에 빠져 추억에 젖어 보는 “응답하라, 1988”(이하 “응팔”)은 이런 질문을 저절로 하게 만든다. 몇 주 전에 한 교회를 방문했다. 예배를 마치고 친교시간에 담임 목사님과 진지한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문 쪽에서 “어허, 김사장!” “아하, 박 사장!” “이거 참. 반갑구만 반가워요. 반갑구만 반가워!” 소리가 들렸다. 여자 성도 두 사람이 서로 손을 잡고 드라마의 대사를 흉내 내며 내뿜는 소리였다. 한참을 웃었다. 담임 목사님은 영문을 몰라 내 표정을 살피며 겸연쩍은 표정을 짓고 있었다. 요즘 한창 인기 있는 드라마의 한 장면임을 설명해야 했다.

 

 그러면서 깨달았다. 미국에 살아도 사람들은 한국 드라마를 즐겨본다는 사실을. 또한 누구나 드라마 속에 들어가고 싶은 숨은 욕망이 있다는 것을 말이다. “응팔”을 보면서 느끼는 것은 작가의 위력이다. 한국 드라마의 대표적인 작가를 꼽으라면 단연 “김수현”이다. 김수현은 시대의 흐름을 알고 대중의 목마름을 채워주는 감각을 지녔다. 김수현의 대사는 단문이다. 센스가 있고 엣지가 넘친다. 후려치는 대사가 감칠맛이 있다.

 

 그런데 홀연히 기가 막힌 작가가 등장했다. “응팔” 작가는 “이우정”이다. 그녀는 원래 예능작가로 출발한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일찍이 “1박 2일”의 각본을 쓰며 명성을 날리고, “꽃보다 할배”에서 신선한 충격을 주더니, 이제 “응팔”에서 지존 작가의 이름을 굳히는 듯하다. “응팔”은 평범한 “쌍문동” 이웃들의 이야기이다. 왜 하필 “쌍문동”일까? 나는 서울에 오래 살아서 “쌍문동”의 정서를 안다. 서울에서 의정부로 빠져 나가는 길목에 쌍문동이 위치해 있다. 시골에서 올라온 사람들이 청량리나 서울역, 영등포을 거쳐 정착하는 제 2의 안정지역이 “쌍문동”이다.

 

 쌍문동에서 태어난 “덕선, 정환, 선우, 택, 동룡”이 스스럼없이 사춘기를 함께 보내며 엮어가는 다반사는 실로 좌충우돌이다. 선머슴 같은 “덕선”(혜리)의 연기는 드라마의 흐름을 주도한다. “혜리”는 “걸스데이”의 멤버이다. 혜리가 ‘진짜 사나이’(여군특집)에서 교관에게 ‘이이잉’ 애교를 보여주던 장면은 압권이었다. 그만큼 혜리의 연기는 계산된 것이라기보다 센스 그 자체이다. 들여다보기만 해도 풋풋한 그들의 우정. “덕선”을 둘러싼 “정환, 택”이의 순수한 삼각관계 짝사랑은 실로 “어디로 튈지 모르는 럭비공 사랑”이다. “덕선과 결국 누가 결혼을 하느냐?”에 대하여 안달하게 만드는 승부욕(?)까지 자극한다. 아내와 나는 보이지 않는 내기를 걸고 드라마를 보고 있다.

 

 첫 방송에서 ‘19금’을 넘어서는 장면과 대사로 인해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지만 “응팔”은 고공 시청률을 유지하며 ‘쌍팔년도’의 추억을 수놓아간다. 빚보증으로 반 지하에 살 수밖에 없는 착한 40대 은행 가장의 고충이 가슴을 아리게 한다. 복권에 맞으면서 인생 역전을 한 가정의 여유(?). 불의의 사고로 가장을 잃고 두 아이를 키워가는 젊은 아낙의 애환. 그런 틈 사이에 백전백승 바둑기사 “최택” 그리고 우직한 아버지를 등장시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한다. 몇몇 인물 외에는 전혀 인지도가 없는 무명의 탤런트들을 등장시켜 “응팔”은 신선도를 유지한다.

 

 드라마를 보다보면 “아, 맞아. 그땐 그랬지!”하고는 추억에 젖어든다. 세밀하고도 예리하게 일상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 이 드라마의 매력이다. <아시안게임>이 열리던 1986년 나는 결혼을 했다. 다음해 아이가 태어나며 아빠가 되었다. 1987년 고대하던 목사안수를 받고 교회에서 부목사 생활을 하고 있었다. 1988년 올림픽의 열기를 온몸으로 느끼며 30대를 만끽했다. 열정, 낭만, 포부 그렇게 달려 나가던 시간이 바로 그때였다. 돌아가고 싶은 변혁기가 “88년”이었다.

 

 이 드라마는 내일(16일)로 막을 내린다. “덕선”이 누구와 결혼을 하는지도 이 칼럼을 읽어나갈 때 즈음에는 드러나겠지! “응답하라, 1988!” 소리쳐 불러도 우리는 지금 2016년을 걷고 있다.


  1. 그것만이 내 세상

    우리 밀알선교단에는 다수의 장애인들과 장애아동들이 있다.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것은 힘겨운 일이다. 아울러 가족 중에 장애인이 있는 것도 삶이 평탄하지 않음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18년 전, 밀알선교단 단장으로 부임하였을때에 전신마비 장애인이 ...
    Views17419
    Read More
  2. 그 애와 나랑은

    갑자기 그 애가 생각났다. 아무것도 모른 채 무거운 책가방을 들고 진학의 꿈을 향해 달리던 그때, 그 애가 나타났다. 초등학교 6학년이 되면서 전근을 자주 다니던 아버지(경찰)는 4살 위 누이와 자취를 하게 했다. 그 시대는 중학교도 시험을 쳐서 들어가던...
    Views17552
    Read More
  3. 창문과 거울

    집의 경관을 창문이 좌우한다. 창문의 모양과 방향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진다. 창문 밖으로 펼쳐지는 장면은 시야로 흡수되고 느낌을 풍성히 움직인다. 영화의 한 장면처럼 통유리가 있는 집에 살고 싶었다. 창을 통해 시원하게 펼쳐진 정원을 바라보는 것이 ...
    Views18036
    Read More
  4. 나무야, 나무야

    초등학교 1학년. 당시 아버지는 경기도 양평 지제(지평)지서에 근무중이셨다. 이제 겨우 입학을 하고 학교생활에 흥미를 가지게 될 5월초였다. 방과 후 집에 돌아와 친구랑 자치기를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아버지가 나타나셨다. 그 시간이면 한창 근무할 때인...
    Views18122
    Read More
  5. 컵라면 하나 때문에 파혼

    팬데믹으로 인해 결혼식을 당초 예정일보다 5개월 늦게 치르게 된 예비 신부와 신랑. 결혼식 한 달을 앞두고 두 사람은 신혼집에 거주하면서 가구와 짐을 정리하며 분주한 일상을 보내고 있었다. 주말에 신혼집을 찾은 예비 신부가 집 정리를 끝낸 시간은 자...
    Views18076
    Read More
  6. 우리 애가 장애래, 정말 낳을 거야?

    결혼을 하고 자녀를 낳는 것은 모든 부부의 바램이다. 임신소식을 접하며 당사자 부부는 물론이요, 가족들과 주위 사람들이 다 축하하며 즐거워한다. 그런데 태아에게 장애가 발견되었을때에 부부는 당황하게 된다. ‘낳아야 하나? 아니면 다른 선택을 ...
    Views18070
    Read More
  7. 반 고흐의 자화상

    누구나 숨가쁘게 삶을 달려가다가 어느 한순간 묻는 질문이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위해 그토록 애를 쓰며 살아왔을까?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볼까?”라는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화가들이 최고의 경지에 이르면 자화상을 그린다. 뒤...
    Views18137
    Read More
  8. 버거운 이민의 삶

    교과서에서 처음 배운 미국, 스펙터클 한 허리우드 영화, ‘나성에 가면’이라는 노래로 그리던 L.A. ‘평생 한번 가볼 수나 있을까?’ 고등학교 때부터 함께 뒹굴던 친구가 졸업하자마자 미국으로 떠나버린 날, 강주와 나는 자취방에서 ...
    Views18190
    Read More
  9. 기찻길

    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자란 동네에서 어릴 때부터 익숙하게 접하는 것이 있다. 바닷가 근처에 살았다면 푸른 바다와 그 위를 유유히 가르며 다니는 크고 작은 배들. 비행장 근처에 살았다면 헬리콥터로부터 갖가지 모양과 크기에 비행기를 보며 살게 된다. 나...
    Views24675
    Read More
  10. “안돼” 코로나가 만든 돌봄 감옥

    코로나 19-바이러스가 덮치면서 우리 밀알선교단은 물론이요, 장애학교, 특수기관까지 문을 열지 못함으로 장애아동을 둔 가정은 날마다 전쟁을 치르고 있다.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복지관과 보호센터가 문을 닫은 몇 달간 발달장애인 돌봄 공백이 생기면서 ...
    Views18927
    Read More
  11. 인생은 집 짓는 것

    어쩌다 한국에 가면 좋기는 한데 불안하고 마음이 안정되지 않는다. 정든 일가친척들이 살고 있는 곳, 그리운 친구와 지인들이 즐비한 곳, 내가 태어나고 자라나며 곳곳에 추억이 서려있는 고국이지만 일정을 감당하고 있을 뿐 편안하지는 않다. 왜일까? 내 ...
    Views19785
    Read More
  12. 그러려니하고 사시게

    대구에서 목회를 하고 있는 절친 목사에게 짧은 톡이 들어왔다. “그려려니하고 사시게”라는 글이었다.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대형교회를 목회하고 있다. 부친 목사님의 연세가 금년 98세이다. “혹 무슨 화들짝 놀랄만한 일이 생기더라도...
    Views18771
    Read More
  13. 부부는 『사는 나라』가 다르다

    사람들은 결혼식을 올리고 혼인 신고만 하면 부부인 줄 안다. 그것은 부부가 되기 위한 법적인 절차일 뿐이다. 오히려 결혼식 이후가 더 중요하다. 결혼식은 엄청나게 화려했는데 몇 년 살지 못해 이혼하는 부부들이 얼마나 많은가? 왜 그럴까? 남편과 아내는...
    Views19305
    Read More
  14. 다시 태어나도 어머니는 안 되고 싶다

    장애를 가지고 생(生)을 산다는 것은 참으로 힘겨운 일이다. 건강한 몸을 가지고 살아도 힘든데 장애를 안고 산다는 것이 얼마나 버거운지를 당사자가 아니면 짐작하지 못한다. 나는 장애인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말한다. “목사님은 장애도 아니지요? ...
    Views18703
    Read More
  15. 지금 뭘 먹고 싶으세요?

    갑자기 어떤 음식이 땡길 때가 있다. 치킨, 자장면, 장터국수, 얼큰한 육개장, 국밥등. 어린 시절 방학만 하면 포천 고향 큰댁으로 향했다. 나이 차이가 나는 사촌큰형은 군 복무 중 의무병 생활을 했다. 그래서인지 동네에서 응급환자가 생기면 큰댁으로 달...
    Views19121
    Read More
  16. 인내는 기회를 만나게 된다

    건강도 기회가 있다. 젊을 때야 돌을 씹어 먹어도 소화가 된다. 그런데 나이가 들어가며 조금만 과식을 해도 속이 부대낀다. 그렇게 맛있던 음식이 땡기질 않는다. 지난 주간 보고 싶었던 지인과 한식당에서 얼굴을 마주했다. 5개월 만에 외식이었다. 얼굴이 ...
    Views19736
    Read More
  17. 오솔길

    사람은 누구나 길을 간다. 넓은 길, 좁은 길. 곧게 뻗은 길, 구부러진 길. 처음부터 길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 길이 생기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노고와 애씀이 있었는지를 생각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길의 종류는 많기도 많다. 기차가 다니는 ...
    Views20536
    Read More
  18. 백발이 되어 써보는 나의 이야기

    한동안 누구의 입에나 오르내리던 대중가요가 있다. 가수 오승근이 부른 “내 나이가 어때서”이다. “♬어느 날 우연히 거울 속에 비춰진 내 모습을 바라보면서 세월아 비켜라 내 나이가 어때서 사랑하기 딱 좋은 나인데~” 점점 희어지...
    Views19013
    Read More
  19. 말아톤

    장애아동의 삶이 세상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만든 영화제목(2005년)이다. 제목이 “말아톤”인 이유는 초원(조승우)이 일기장에 잘못 쓴 글자 때문이다. 영화 말아톤은 실제 주인공인 자폐장애 배형진이 19세 춘천마라톤 대회에 참가하여 서브쓰리...
    Views19504
    Read More
  20. 이제 문이 열리려나?

    어느 건물이나 문이 있다. 문의 용도는 출입이다. 들어가고 나가는 소통의 의미가 있다. 하지만 요사이 다녀보면 문이 다 닫혀있다. 상점도, 음식점도, 극장도, 심지어 열려있어야 할 교회 문도 닫힌 지 오래이다. COVID-19 때문이다. 7년 전, 집회 인도 차 ...
    Views2001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