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35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현욱.jpg

 

 

 

임마누엘교회(김태권 목사 시무)에서 개최하는 “새생명축제”의 강사로 시각장애를 가진 분이 오신다는 소식을 접하고 은혜의 자리에 동참하게 되었다. 시각장애인인 부모님 밑에서 시각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그의 가정은 경제적으로 심히 어려웠다. 결국 그는 일곱 살 어린나이에 고아원으로 보내진다. 너무도 외로웠고 눈을 보지 못하는 그에게는 모든 것이 난관이었다. 중학교 시절 여건이 좋은 서울에서 공부하고 싶은 꿈을 품게 된다. 패기 하나만을 가지고 그는 무작정 상경을 감행한다.

역시 서울은 달랐다. 분위기는 물론 수준도 달랐다. 같은 시각장애인이지만 전용차와 개인기사까지 둔 부유한 친구가 있었다. 한 친구는 머리가 컴퓨터에 버금갈 정도로 명석했다. 한번 듣거나 배운 것은 잊어버리는 일이 없었다. “하나님이 공평하시다면 저 정도는 되야지.” 정말 부러웠다. 문제는 돈이 없었다. 당시 5,900원이던 수학 참고서를 점자판으로 사려면 10만원이 더 들었다. 선배들이 쓰고 버린 책으로 악착같이 공부했지만 역부족이었다. 끝내 무너진 그는 공부를 포기하고 7년 가까이 물리치료사로 일했다. 그러면서도 입시철만 되면 마음이 아팠다.

그의 20대는 실로 암흑 그 자체였다. 그 즈음에 그는 친구들의 자살 소식을 접한다. 개인 기사까지 두었던 친구였다. 아버지의 사업부도와 죽음을 보고는 낙심한 끝에 그 길을 택했고 한 친구는 사랑하는 자매를 만났지만 부모님이 결혼을 극구 반대하는 아픔을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이다. 친구들의 자살은 오히려 그의 삶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장애가 생을 버려야 할 이유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직접 보여주고 싶었다.

그러다가 주일 예배에서 성도들과 함께 <사도신경>을 외우다가 가슴으로 하나님의 질문을 받는다. “너 방금 뭐라고 했니?”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하나님 아버지를 믿사오며’라고 했는데요.” “그래 너는 내가 전능하다는 것을 믿느냐?” 마지못해 그가 대답한다. “그러셔야죠.” 다시 하나님의 질문이 들려온다. “네가 장애인으로 태어난 것이 나의 실수라고 생각하니?” 그가 대답한다. “그러면 안되시죠.” 세 번째 질문이 이어진다. “그러면 네가 그렇게 괴롭고 고통스러워했던 고아원에 경험들이 나의 거듭된 실수였다고 생각하냐?” 그가 눈물을 글썽이며 고백한다. “아닙니다.”

그날이후 그의 삶은 변해갔다. 기도의 차원과 깊이가 달라졌다. 그는 혼자인줄 알았다. 버려진 불쌍한 시각장애인으로만 생각했다. 하나님도 함께 아파하고 계셨음을 비로소 깨닫는다. ‘과연 하나님이 전능하시다면 나는 무엇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책을 다시 들었다. 그리고 98년 연세대 공학과에 당당히 합격을 하게 된다. 앞이 보이지 않는 그는 한동안 ‘교문에서 연구실까지는 1357걸음’, ‘공학관 계단수는 2층까지 8개· 7개· 8개· 7개’라는 식으로 거리감을 익히고 그 감에 의존해 캠퍼스를 오가며 공부에 전념한다.

물론 처음에는 사고도 많았다. 차량 진입을 막는 볼라드에 걸려 넘어진 것은 헤아릴 수 없고, 심지어 뚜껑이 열려있는 맨홀에 빠지기도 했다. 그의 턱과 눈썹에는 ‘무모함’의 대가인 꿰맨 상처가 선명히 남아 있다. 하지만 상처가 쌓인 만큼 거리감도 좋아졌다. 전공인 컴퓨터 프로그래밍 실력도 그만큼 늘어갔다. 컴퓨터상의 문자를 점자로 변환해주는 점자번역 프로그램, 시각장애인 전용 웹 전자게시판 시스템 등을 개발한다.

미국 피츠버그로 유학을 온 그는 시각장애인용 컴퓨터를 개발하는 쾌거를 이룬다. 그는 현재 피츠버그대학 재활공학 교수로 봉직하고 있다. 그가 바로 “가현욱 박사”이다. 잔잔하지만 진솔한 그분의 간증을 들으며 내 눈에서는 쉴 새 없이 눈물이 흘러내렸다. 장애의 아픔이 전해져 와서 였다. ‘축도’를 하기위해 단에 섰지만 목을 가다듬느라 애를 써야했다. 숱한 역경과 시각장애의 어려움을 딛고 장애인들에게 용기를 준 그가 너무도 대견하고 고맙기 그지없다.


  1. 그 애와 나랑은

    갑자기 그 애가 생각났다. 아무것도 모른 채 무거운 책가방을 들고 진학의 꿈을 향해 달리던 그때, 그 애가 나타났다. 초등학교 6학년이 되면서 전근을 자주 다니던 아버지(경찰)는 4살 위 누이와 자취를 하게 했다. 그 시대는 중학교도 시험을 쳐서 들어가던...
    Views17410
    Read More
  2. 창문과 거울

    집의 경관을 창문이 좌우한다. 창문의 모양과 방향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진다. 창문 밖으로 펼쳐지는 장면은 시야로 흡수되고 느낌을 풍성히 움직인다. 영화의 한 장면처럼 통유리가 있는 집에 살고 싶었다. 창을 통해 시원하게 펼쳐진 정원을 바라보는 것이 ...
    Views17951
    Read More
  3. 나무야, 나무야

    초등학교 1학년. 당시 아버지는 경기도 양평 지제(지평)지서에 근무중이셨다. 이제 겨우 입학을 하고 학교생활에 흥미를 가지게 될 5월초였다. 방과 후 집에 돌아와 친구랑 자치기를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아버지가 나타나셨다. 그 시간이면 한창 근무할 때인...
    Views18038
    Read More
  4. 컵라면 하나 때문에 파혼

    팬데믹으로 인해 결혼식을 당초 예정일보다 5개월 늦게 치르게 된 예비 신부와 신랑. 결혼식 한 달을 앞두고 두 사람은 신혼집에 거주하면서 가구와 짐을 정리하며 분주한 일상을 보내고 있었다. 주말에 신혼집을 찾은 예비 신부가 집 정리를 끝낸 시간은 자...
    Views18041
    Read More
  5. 우리 애가 장애래, 정말 낳을 거야?

    결혼을 하고 자녀를 낳는 것은 모든 부부의 바램이다. 임신소식을 접하며 당사자 부부는 물론이요, 가족들과 주위 사람들이 다 축하하며 즐거워한다. 그런데 태아에게 장애가 발견되었을때에 부부는 당황하게 된다. ‘낳아야 하나? 아니면 다른 선택을 ...
    Views17906
    Read More
  6. 반 고흐의 자화상

    누구나 숨가쁘게 삶을 달려가다가 어느 한순간 묻는 질문이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위해 그토록 애를 쓰며 살아왔을까?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볼까?”라는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화가들이 최고의 경지에 이르면 자화상을 그린다. 뒤...
    Views18045
    Read More
  7. 버거운 이민의 삶

    교과서에서 처음 배운 미국, 스펙터클 한 허리우드 영화, ‘나성에 가면’이라는 노래로 그리던 L.A. ‘평생 한번 가볼 수나 있을까?’ 고등학교 때부터 함께 뒹굴던 친구가 졸업하자마자 미국으로 떠나버린 날, 강주와 나는 자취방에서 ...
    Views18121
    Read More
  8. 기찻길

    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자란 동네에서 어릴 때부터 익숙하게 접하는 것이 있다. 바닷가 근처에 살았다면 푸른 바다와 그 위를 유유히 가르며 다니는 크고 작은 배들. 비행장 근처에 살았다면 헬리콥터로부터 갖가지 모양과 크기에 비행기를 보며 살게 된다. 나...
    Views24574
    Read More
  9. “안돼” 코로나가 만든 돌봄 감옥

    코로나 19-바이러스가 덮치면서 우리 밀알선교단은 물론이요, 장애학교, 특수기관까지 문을 열지 못함으로 장애아동을 둔 가정은 날마다 전쟁을 치르고 있다.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복지관과 보호센터가 문을 닫은 몇 달간 발달장애인 돌봄 공백이 생기면서 ...
    Views18860
    Read More
  10. 인생은 집 짓는 것

    어쩌다 한국에 가면 좋기는 한데 불안하고 마음이 안정되지 않는다. 정든 일가친척들이 살고 있는 곳, 그리운 친구와 지인들이 즐비한 곳, 내가 태어나고 자라나며 곳곳에 추억이 서려있는 고국이지만 일정을 감당하고 있을 뿐 편안하지는 않다. 왜일까? 내 ...
    Views19734
    Read More
  11. 그러려니하고 사시게

    대구에서 목회를 하고 있는 절친 목사에게 짧은 톡이 들어왔다. “그려려니하고 사시게”라는 글이었다.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대형교회를 목회하고 있다. 부친 목사님의 연세가 금년 98세이다. “혹 무슨 화들짝 놀랄만한 일이 생기더라도...
    Views18716
    Read More
  12. 부부는 『사는 나라』가 다르다

    사람들은 결혼식을 올리고 혼인 신고만 하면 부부인 줄 안다. 그것은 부부가 되기 위한 법적인 절차일 뿐이다. 오히려 결혼식 이후가 더 중요하다. 결혼식은 엄청나게 화려했는데 몇 년 살지 못해 이혼하는 부부들이 얼마나 많은가? 왜 그럴까? 남편과 아내는...
    Views19230
    Read More
  13. 다시 태어나도 어머니는 안 되고 싶다

    장애를 가지고 생(生)을 산다는 것은 참으로 힘겨운 일이다. 건강한 몸을 가지고 살아도 힘든데 장애를 안고 산다는 것이 얼마나 버거운지를 당사자가 아니면 짐작하지 못한다. 나는 장애인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말한다. “목사님은 장애도 아니지요? ...
    Views18650
    Read More
  14. 지금 뭘 먹고 싶으세요?

    갑자기 어떤 음식이 땡길 때가 있다. 치킨, 자장면, 장터국수, 얼큰한 육개장, 국밥등. 어린 시절 방학만 하면 포천 고향 큰댁으로 향했다. 나이 차이가 나는 사촌큰형은 군 복무 중 의무병 생활을 했다. 그래서인지 동네에서 응급환자가 생기면 큰댁으로 달...
    Views19072
    Read More
  15. 인내는 기회를 만나게 된다

    건강도 기회가 있다. 젊을 때야 돌을 씹어 먹어도 소화가 된다. 그런데 나이가 들어가며 조금만 과식을 해도 속이 부대낀다. 그렇게 맛있던 음식이 땡기질 않는다. 지난 주간 보고 싶었던 지인과 한식당에서 얼굴을 마주했다. 5개월 만에 외식이었다. 얼굴이 ...
    Views19692
    Read More
  16. 오솔길

    사람은 누구나 길을 간다. 넓은 길, 좁은 길. 곧게 뻗은 길, 구부러진 길. 처음부터 길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 길이 생기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노고와 애씀이 있었는지를 생각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길의 종류는 많기도 많다. 기차가 다니는 ...
    Views20462
    Read More
  17. 백발이 되어 써보는 나의 이야기

    한동안 누구의 입에나 오르내리던 대중가요가 있다. 가수 오승근이 부른 “내 나이가 어때서”이다. “♬어느 날 우연히 거울 속에 비춰진 내 모습을 바라보면서 세월아 비켜라 내 나이가 어때서 사랑하기 딱 좋은 나인데~” 점점 희어지...
    Views18976
    Read More
  18. 말아톤

    장애아동의 삶이 세상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만든 영화제목(2005년)이다. 제목이 “말아톤”인 이유는 초원(조승우)이 일기장에 잘못 쓴 글자 때문이다. 영화 말아톤은 실제 주인공인 자폐장애 배형진이 19세 춘천마라톤 대회에 참가하여 서브쓰리...
    Views19473
    Read More
  19. 이제 문이 열리려나?

    어느 건물이나 문이 있다. 문의 용도는 출입이다. 들어가고 나가는 소통의 의미가 있다. 하지만 요사이 다녀보면 문이 다 닫혀있다. 상점도, 음식점도, 극장도, 심지어 열려있어야 할 교회 문도 닫힌 지 오래이다. COVID-19 때문이다. 7년 전, 집회 인도 차 ...
    Views19973
    Read More
  20. 배캠 30년

    나는 음악을 좋아한다. 하지만 우리 세대는 안타깝게도 음악을 접할 기회가 쉽지 않았다. TV를 틀면 다양한 음악 채널이 잡히고 유튜브를 통해 듣고 싶은 음악을 마음껏 듣게 될 줄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시대였다. 길가 전파사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Views1934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