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7.03.24 21:08

가족 사진

조회 수 609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족.jpg

 

 

 “옥한흠 목사님”(사랑의 교회 원로)이 세상을 떠나 하관예배가 진행되는 중에 갑자기 옥 목사의 차남 ‘승훈’씨가 “아버지의 관 앞에서 가족사진을 찍겠다.”고 말했다. 동석한 1,000여명의 성도들은 저으기 당황했다. 집례하던 담임 목사는 “별난 하관식”이라며 ‘승훈’씨의 요청을 받아들였고, 유족인 “김영순 사모”와 아들 “성호 · 승훈 · 성수”씨가 관 앞에 모여 사진을 찍었다. 다음에는 사모님이 관 곁에서 ‘부부 사진’까지 찍었다. 어찌하여 가족사진을 장례가 진행되는 중에 찍어야 했을까?

 

 ‘승훈’씨는 조문객들에게 아버지의 관 곁에서 ‘가족사진’을 찍게 된 연유를 설명했다. 그는 “‘왜 하필 아버지의 관을 뒤로 하고 사진을 찍느냐?’는 분들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평소 교회 일에 바쁘셨던 아버지였기에 우리에겐 가족사진이 없습니다. 이제라도 가족사진 한 장은 남겨야 할 것 같았습니다.” 그러면서 중요한 한마디를 던졌다. “목사님들이 목양도 귀하지만 아내와 자녀들의 아픔을 알고, 교우뿐만 아니라 가족도 품어야 합니다.” ‘제자훈련’과 “사랑의 교회”를 굴지의 교회로 성장시켰지만 세상을 떠날 때까지 한 장의 가족사진도 남기지 못했다는 사실이 많은 것을 생각하게 했다.

 

 내가 어린 시절에는 사진이 참 귀했다. 카메라를 갖는 것은 상상을 못했고 어쩌다 가족사진을 남기려면 사진관을 찾아야만 했다. 그것도 보통 가정에서는 상상조차 힘들었다. 그래서인지 우리 세대는 변변한 가족사진조차 없는 것 같다. 우리 집은 경제적으로 중류는 되었음에도 아주 어린 모습을 담은 사진은 많이 있는데 나이가 들어서는 가족사진이 전혀 없음이 아쉽기만 하다. 다행히도 색 바랜 흑백사진 속에 담겨있는 아버지, 엄마의 모습이 간간히 일어나는 그리움을 달래준다.

 

 나는 아들이다. 경찰이신 아버지가 전근을 갈 때마다 새로운 환경을 만나고 적응해야했다. 그때마다 자라가는 내 사진을 아버지는 카메라에 담아주셨다. 그래서인지 누이와 나만 찍은 사진만 있다. 그러다가 여동생이 태어났다. 그런데 동생사진은 아예 없다. ‘남아선호사상’때문일까? 성인이 되고 결혼을 했다. 결혼과 신혼여행 사진이 익숙해질 무렵. 첫아이가 태어났다. 산부인과에 카메라를 들고 가서 연신 갓 태어난 아가를 향해 셔터를 눌러댔다. 그런데 둘째 아이는 태어났을 때에 사진이 없다. 그런데 물어보면 어느 가정이나 거의 그렇단다.

 

 두 아이의 아빠가 되었다. 아이들이 어릴 때부터(4살, 1살) 담임목회를 시작했다. 내게 가정은 안보였다. 내 머리에는 오직 교회와 성도들만 있었다. 부활절, 여름성경학교, 교인수련회, 추수감사 찬양제등, 교회 이벤트가 있을 때 곁다리로 가족사진을 찍었다. 그러다가 상담학 졸업을 하면서 앨범에 가족사진을 싣게 되어 모처럼 사진관에서 자취를 남겼다. 풋풋한 초등학생의 모습으로 아이들이 책상맞은편 사진액자에 전설처럼(?) 웃고 있다. ‘저런 때가 있었던가?’

 

 20년 전, 절친 목사님 댁에 초대를 받았다. 눈에 띄는 것은 식탁받침 유리판에 끼워 넣은 가족사진들이었다. 이유를 물으니 식사 중에 사진을 보며 그때 추억을 되새긴단다. 좋은 아이디어인 것 같다. 아이들이 귀엽고 예쁜 어린 모습으로 그냥 있었으면 좋으련만 무섭게 성장을 한다. 그래서 우리 가족은 3년마다 가족사진을 찍기로 하였다. 사진 속에 추억이 있다. 사연, 감사, 감격이 숨어있다. 더 늦기 전에 폼 나는 가족사진 한 장은 남겨둬야 하지 않을까?

 

 ♬ “바쁘게 살아온 당신의 젊음에 의미를 더해줄 아이가 생기고 그날에 찍었던 가족 사진속에 설레는 웃음은 빛바래 가지만/ 어른이 되어서 현실에 던져진 나는 철이 없는 아들이 되어서 이곳저곳에서 깨지고 또일어서다 외로운 어느날 꺼내본 사진속 아빠를 닮아있네/ 내 젊음 어느새 기울어 갈때쯤 그제야 보이는 당신의 날들이 가족사진속에 미소띈 젊은 아가씨에 꽃피던 시절은 나에게 다시 돌아와서 나를 꽃피우기 위해 거름이 되어버렸던 그을린 그 시간들을 내가 깨끗이 모아서 당신의 웃음 꽃 피우길”♪“김진호”(SG워너비)의 노래 <가족사진> 중에서.


  1. 배캠 30년

    나는 음악을 좋아한다. 하지만 우리 세대는 안타깝게도 음악을 접할 기회가 쉽지 않았다. TV를 틀면 다양한 음악 채널이 잡히고 유튜브를 통해 듣고 싶은 음악을 마음껏 듣게 될 줄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시대였다. 길가 전파사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Views19512
    Read More
  2. 부부의 세계

    드라마 하나가 이렇게 엄청난 파장을 일으킨 적이 있을까? 종영이 된 지금도 <부부의 세계>는 여전히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며 여운을 이어가고 있다. 처음에는 아무 생각없이 가족 드라마라 생각하고 시청하기 시작했다. 게다가 미모와 탁월한 연기력을 겸...
    Views19680
    Read More
  3. 학습장애

    사람은 다 똑같을 수 없다. 공동체에 모인 사람들은 나름대로 개성이 있고 장 · 단점이 있다. 어떤 사람은 악보를 전혀 볼 줄 모르는데 음악성이 뛰어난 사람이 있다. 그림을 배워본 적이 없는데 천재적인 작품을 그려내기도 한다. 공부를 잘하는 아이...
    Views20399
    Read More
  4. Small Wedding

    사람은 혼자 살 수 없다. 그래서 나이가 들면 부부의 연을 맺고 가정을 이루게 된다. 우리 세대는 결혼적령기가 일렀다. 여성의 나이가 20대 중반을 넘어서면 노처녀, 남성은 30에 이르르면 노총각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세태가 변했다. 이제는 30이 넘어도 ...
    Views20461
    Read More
  5. 지금 나의 바람은?

    사람은 평생 꿈을 먹고산다. 꿈을 잃어버리는 순간 그는 죽은 사람과 매한가지이다. 사람들은 말한다. “꿈도 어느 정도 여유가 있어야지요?” “하이고, 내 나이가 지금 몇 살인데요?” “꿈은 무슨 꿈이예요? 다 배부른 소리지?&r...
    Views20145
    Read More
  6. 인생의 나침반 어머니

    5월이다. 싱그럽다. 아름답다. 온갖 꽃들이 피어나 향연을 벌이고 사람들의 입가에 미소를 머금게 한다. 어린이날과 어버이날이 마주 보고 있는 5월. 추웠던 겨울과 다가올 무더운 여름 틈새에 5월은 자리하며 계절의 여왕으로 사랑을 받고 있다. 그 5월의 한...
    Views20249
    Read More
  7. 왜 남자를 “늑대”라고 하는가?

    나이가 든 여성들은 잘생기고 듬직한 청년을 보면 “우리 사위 삼았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한다. 그런데 나이가 든 남성들은 예쁘고 매력적인 자매를 보면 다른 차원에서의 음흉한 생각을 한다고 한다. 물론 점잖은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있으시...
    Views26972
    Read More
  8. 한센병은 과연 천형(天刑)일까?

    병(病)의 종류는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의학이 발달하면 할수록 희귀병은 늘어만 간다. 지금 우리는 듣도보도 못한 바이러스로 인해 삶의 터전이 송두리째 무너지고 있다. 옛날에 가장 무서운 병은 “문둥병”이었다. 표현이 너무 잔인하...
    Views27625
    Read More
  9. 어쩌면 오늘일지도

    전화벨이 울렸다. 뉴욕의 절친 목사 사모였다. “어쩐 일이냐?”고 물을 틈도 없이 긴박한 목소리가 전해져 왔다. “지금 목사님이 코로나바이러스 양성판정을 받고 상태가 악화되어 맨하탄 모 병원 중환자실에 들어가셨어요.” 앞이 하...
    Views25921
    Read More
  10. 인생 참 아이러니하다

    가수 소향, 그녀를 처음 본 것은 한국 양재동 횃불회관에서였다. SBS 관현악 김정택 단장이 친히 사회를 보며 진행되었는데 집회가 한창 무르익어 갈 즈음에 생소한 CCM 가수가 소개된다. 12월이서인지 자매는 “오, 거룩한 밤”을 불렀다. 특이한 ...
    Views24891
    Read More
  11. 모든 것은 밥으로 시작된다

    “식구가 얼마나 되십니까?” 식구(食口)? 직역하면 ‘먹는 입’이다. 너무 노골적인 것 같지만 함께 밥을 먹는 사람들이 가족이다. 태어나면서부터 함께 밥을 먹고 성장하며 함께 얽혀 추억을 만든다. 그래서 가족은 인류의 가장 소중한...
    Views23710
    Read More
  12. ‘장애우’가 아니라 장애인!

    사람에 대한 호칭이 중요하다. 성도들이 목사님이라고 부르면서 강단에 올라 대표 기도를 할 때에는 그 명칭이 다양해진다. “목사님, 주의 사자, 종”은 이해가 간다. 어떤 분은 “오늘 주의 종님이 말씀을 증거하실때에…”라고 ...
    Views24807
    Read More
  13. 위기는 스승이다

    인생을 살면서 형통과 평안만 계속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연세 드신 분들과 대화를 해보면 공통점이 있다. 다 고생한 얘기뿐이다. 일제강점기에 태어나서 보릿고개의 고통을 겪으며 버틴 일, 6 · 25사변을 만나 피난 갔던 일 등. 인생은 예측불가이다....
    Views24950
    Read More
  14. 평범한 일상이 그립습니다!

    신학대학 2학년이 되면서 교육전도사 임명을 받았다. 그렇게 커보이던 전도사, 바로 내가 그 직함을 받고 누구나 “이 전도사님!”이라 부르는 자리에 선 것이다. 까까머리 고교시절부터 성장해 온 그 교회에서 이제 어린이들에게 설교를 하고 함께...
    Views25717
    Read More
  15. 부모는 영화를 찍는 감독

    남녀는 성장하며 이성을 그리워한다. 어린 마음에 이성이 들어오면 그때부터 구름 위를 걷는 몽환의 세계로 들어가게 된다. 그 애만 보면 가슴이 뛴다. 그 애와 우연히 눈만 마주쳐도 밤을 설친다. 그렇게 연민을 품다가 드디어 연(緣)을 맺는다. 내가 좋아할...
    Views23588
    Read More
  16. 소아마비

    모든 것이 신기하고 새롭게 느껴지던 어린 시절. 나의 부모님은 어디나 가기를 좋아하던 나를 언제나 데리고 다니셨다. 몸이 온전치 못한 아들, ‘기우뚱’거리며 걸어 다니는 아들이 그분들에게는 조금도 어색하거나 부끄럽지 않으셨나 보다. &lsq...
    Views23237
    Read More
  17. 목사님의 구두뒤축

    세상이 많이 변했다. 내가 신학대학을 다니던 시절. 언론사에서 유명여대생들을 대상으로 결혼 상대자에 대한 직업 선호도를 조사한 바 있다. 물론 상위에는 소위 사字가 들어가는 직업이 랭크되었다. 과연 목사는 몇위였을까? 18위였다. 공교롭게도 17위는 ...
    Views23926
    Read More
  18. 아픔까지 사랑해야 한다

    인생을 고해(苦海)라고 한다. 진정 삶이란 그렇게 풀어내기 힘든 과제일까? 주위를 둘러보면 다들 별 어려움 없이 다들 잘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나만 힘들고 꼬이는 생을 살아가는 것 같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들어가 보면 나보다 더 허덕거리며 살고 ...
    Views24536
    Read More
  19. 겨울이 전하는 말

    겨울은 춥다, 길다. 지루하다. 하지만 그 겨울이 전해주는 말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깊은 내면으로 빨려 들어가는 마력이 있다. 겨울은 해를 바꾸는 마술을 부린다. 열심히 살아온 정든 한해를 떠나보내게 하고 신선한 새해를 맞이하는 길목이 겨울이다. 남미...
    Views26320
    Read More
  20. 두 팔 없는 미인대회 우승자

    각 나라마다 미인대회가 있다. 우리나라에도 1957년부터 미스코리아 선발대회가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름다움을 드러내어 뽐내고 싶은 마음은 여성들의 본능인 듯 싶다. 세월이 흘러 이제 그런 대회는 멈추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지만 상업...
    Views2404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