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7.10.06 11:26

Not In My Back Yard

조회 수 535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무릎꿇은 부모.jpg

 

 오래전, 버지니아에 있는 한인교회에서 전도 집회를 인도한 적이 있다. 교회 역사만큼 구성원들은 고학력에 고상한 인품을 가진 분들이었다. 둘째 날이었던가? 설교 중에 어린 시절 장애 때문에 아이들에게 놀림을 받으며 힘든 시간을 보냈음을 고백했다. 예배가 끝나고 나이가 지긋한 남자분이 내게 다가왔다. “목사님, 죄송합니다.” 당황하여 물었다. “아니, 무슨 일이십니까?” “, 아까 목사님의 간증을 들으며 생각이 났어요. 제가 고등학교 다닐 때에 제 짝이 목사님처럼 소아마비 장애인이었어요. 그때 친구를 놀리며 골탕을 많이 먹였거든요. 그때 그 친구의 마음이 얼마나 아팠을지?” 그분의 손을 꼭 쥐어주며 , 그러셨군요! 어디 사는지는 모르시겠지만 그때 짝을 위해 기도해 주십시오.” 위로 아닌 위로를 해 주었다.

 

 그렇다. 사람들은 연못에 장난으로 돌을 던지지만 그 속에 사는 생물들에게는 치명타가 될 수 있다. ‘Not In My Back Yard’ 직역하면 우리 집 마당에는 안 된다.” 앞글자만 따서 보통 님비 현상이라고 한다. 사람들이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시설이 들어섰을 때 끼치는 여러 가지 위해적인 요소로 인해 근처 지역에 들어서는 것을 꺼리는 것을 뜻한다. 주로 공동묘지, 방사능 폐기장, 송전탑, 쓰레기 처리장 등이 들어서려 할 때에 반대하는 모습을 지칭한다. 유해물질, 환경오염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 재산 가치의 하락, 지역 발전의 후퇴 등의 이유로 발생한다.

 

 그런데 요사이 한국에서 전혀 다른 방향에서의 님비현상이 연출되고 있다.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특수학교 설립을 주민들이 적극 저지하며 가족들은 가슴앓이를 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95일 학부모들이 무릎을 꿇은 사진과 기사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궜다. 서울 강서구 탑산초등학교에서 열린 <강서지역 공립 특수학교 신설 2차 주민 토론회>에서 벌어진 장면이다. 특수학교가 혐오시설이라며 집값이 떨어질 것이라.’는 논리로 건립을 반대하는 주민들 앞에 장애아를 둔 학부모들은 죄인처럼 고개를 숙이면서 눈물을 흘렸다.

 

 토론회에 참가한 한 엄마가 반대하는 주민들에게 무릎을 꿇으며 때리면 맞겠습니다, 제발 특수학교만 짓게 해 주세요.”라고 말했고 이를 지켜보던 다른 장애아 학부모들도 하나둘씩 무릎을 꿇기 시작했다. 한 학부모는 서울시에 특수학교를 건립할 때마다 이러한 상황이 생긴다면 장애를 가진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의 가슴은 메어지고 뜯긴다. 헤아려 달라는 것이 아니다. 그저 장애 아이들도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당연한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고운 시선과 배려의 마음을 가져주시길 바라는 바.”라고 절규했다.

 

 이미 개교한 <밀알학교>도 주민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천신만고 끝에 예정 개교일보다 한해가 미루어져 19973월에나 개교가 가능했던 아픈 기억이 있다. 그런데 무려 20년이 지난 지금도 이런 이해하기 힘든 과정이 되풀이 되고 있다는 것이 개탄스럽다. 자신들이 장애아를 키우는 부모나 가족들이라면 그렇게 완강했을까? 학부모들이 외치는 말처럼 장애아를 낳은 것이 죄인이란 말인가? 그분들이 무릎을 꿇고 호소를 해야만 하는 한국정서가 안타깝기 그지없다. 내가 어린 시절에는 장애인들의 인격은 사람들의 안중에도 없었다.

 

 특히 소아마비 장애인들은 거동이 불편하기에 일찌감치 도장 파는 기술을 익혀 길모퉁이에 <시계포>를 차려 자리를 잡는 것이 최고의 성공이었다. 하지만 나의 아버지는 배움의 길로 나를 인도했다. 우리세대는 기억한다. 중학교에서 학업을 멈춘 많은 학우들을 말이다. 아버지의 배려와 신념으로 지금의 내가있다. 배워야 한다. 장애를 가진 사람일수록 배움은 그 모든 것을 뛰어넘는 귀한 도구가 될 수 있다. ‘강영우 박사’, ‘이재서 밀알설립자’. ‘차인홍 교수등이 배움의 능력을 증명한다.

 

 장애학생들이 마음껏 학문을 연마하며 꿈과 개성을 키우는 그런 대한민국을 기대해 본다.


  1. 지금 나의 바람은?

    사람은 평생 꿈을 먹고산다. 꿈을 잃어버리는 순간 그는 죽은 사람과 매한가지이다. 사람들은 말한다. “꿈도 어느 정도 여유가 있어야지요?” “하이고, 내 나이가 지금 몇 살인데요?” “꿈은 무슨 꿈이예요? 다 배부른 소리지?&r...
    Views18948
    Read More
  2. 인생의 나침반 어머니

    5월이다. 싱그럽다. 아름답다. 온갖 꽃들이 피어나 향연을 벌이고 사람들의 입가에 미소를 머금게 한다. 어린이날과 어버이날이 마주 보고 있는 5월. 추웠던 겨울과 다가올 무더운 여름 틈새에 5월은 자리하며 계절의 여왕으로 사랑을 받고 있다. 그 5월의 한...
    Views18952
    Read More
  3. 왜 남자를 “늑대”라고 하는가?

    나이가 든 여성들은 잘생기고 듬직한 청년을 보면 “우리 사위 삼았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한다. 그런데 나이가 든 남성들은 예쁘고 매력적인 자매를 보면 다른 차원에서의 음흉한 생각을 한다고 한다. 물론 점잖은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있으시...
    Views25485
    Read More
  4. 한센병은 과연 천형(天刑)일까?

    병(病)의 종류는 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의학이 발달하면 할수록 희귀병은 늘어만 간다. 지금 우리는 듣도보도 못한 바이러스로 인해 삶의 터전이 송두리째 무너지고 있다. 옛날에 가장 무서운 병은 “문둥병”이었다. 표현이 너무 잔인하...
    Views26482
    Read More
  5. 어쩌면 오늘일지도

    전화벨이 울렸다. 뉴욕의 절친 목사 사모였다. “어쩐 일이냐?”고 물을 틈도 없이 긴박한 목소리가 전해져 왔다. “지금 목사님이 코로나바이러스 양성판정을 받고 상태가 악화되어 맨하탄 모 병원 중환자실에 들어가셨어요.” 앞이 하...
    Views24599
    Read More
  6. 인생 참 아이러니하다

    가수 소향, 그녀를 처음 본 것은 한국 양재동 횃불회관에서였다. SBS 관현악 김정택 단장이 친히 사회를 보며 진행되었는데 집회가 한창 무르익어 갈 즈음에 생소한 CCM 가수가 소개된다. 12월이서인지 자매는 “오, 거룩한 밤”을 불렀다. 특이한 ...
    Views23550
    Read More
  7. 모든 것은 밥으로 시작된다

    “식구가 얼마나 되십니까?” 식구(食口)? 직역하면 ‘먹는 입’이다. 너무 노골적인 것 같지만 함께 밥을 먹는 사람들이 가족이다. 태어나면서부터 함께 밥을 먹고 성장하며 함께 얽혀 추억을 만든다. 그래서 가족은 인류의 가장 소중한...
    Views22317
    Read More
  8. ‘장애우’가 아니라 장애인!

    사람에 대한 호칭이 중요하다. 성도들이 목사님이라고 부르면서 강단에 올라 대표 기도를 할 때에는 그 명칭이 다양해진다. “목사님, 주의 사자, 종”은 이해가 간다. 어떤 분은 “오늘 주의 종님이 말씀을 증거하실때에…”라고 ...
    Views23463
    Read More
  9. 위기는 스승이다

    인생을 살면서 형통과 평안만 계속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연세 드신 분들과 대화를 해보면 공통점이 있다. 다 고생한 얘기뿐이다. 일제강점기에 태어나서 보릿고개의 고통을 겪으며 버틴 일, 6 · 25사변을 만나 피난 갔던 일 등. 인생은 예측불가이다....
    Views23569
    Read More
  10. 평범한 일상이 그립습니다!

    신학대학 2학년이 되면서 교육전도사 임명을 받았다. 그렇게 커보이던 전도사, 바로 내가 그 직함을 받고 누구나 “이 전도사님!”이라 부르는 자리에 선 것이다. 까까머리 고교시절부터 성장해 온 그 교회에서 이제 어린이들에게 설교를 하고 함께...
    Views24199
    Read More
  11. 부모는 영화를 찍는 감독

    남녀는 성장하며 이성을 그리워한다. 어린 마음에 이성이 들어오면 그때부터 구름 위를 걷는 몽환의 세계로 들어가게 된다. 그 애만 보면 가슴이 뛴다. 그 애와 우연히 눈만 마주쳐도 밤을 설친다. 그렇게 연민을 품다가 드디어 연(緣)을 맺는다. 내가 좋아할...
    Views22105
    Read More
  12. 소아마비

    모든 것이 신기하고 새롭게 느껴지던 어린 시절. 나의 부모님은 어디나 가기를 좋아하던 나를 언제나 데리고 다니셨다. 몸이 온전치 못한 아들, ‘기우뚱’거리며 걸어 다니는 아들이 그분들에게는 조금도 어색하거나 부끄럽지 않으셨나 보다. &lsq...
    Views21772
    Read More
  13. 목사님의 구두뒤축

    세상이 많이 변했다. 내가 신학대학을 다니던 시절. 언론사에서 유명여대생들을 대상으로 결혼 상대자에 대한 직업 선호도를 조사한 바 있다. 물론 상위에는 소위 사字가 들어가는 직업이 랭크되었다. 과연 목사는 몇위였을까? 18위였다. 공교롭게도 17위는 ...
    Views22378
    Read More
  14. 아픔까지 사랑해야 한다

    인생을 고해(苦海)라고 한다. 진정 삶이란 그렇게 풀어내기 힘든 과제일까? 주위를 둘러보면 다들 별 어려움 없이 다들 잘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나만 힘들고 꼬이는 생을 살아가는 것 같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들어가 보면 나보다 더 허덕거리며 살고 ...
    Views23133
    Read More
  15. 겨울이 전하는 말

    겨울은 춥다, 길다. 지루하다. 하지만 그 겨울이 전해주는 말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깊은 내면으로 빨려 들어가는 마력이 있다. 겨울은 해를 바꾸는 마술을 부린다. 열심히 살아온 정든 한해를 떠나보내게 하고 신선한 새해를 맞이하는 길목이 겨울이다. 남미...
    Views24866
    Read More
  16. 두 팔 없는 미인대회 우승자

    각 나라마다 미인대회가 있다. 우리나라에도 1957년부터 미스코리아 선발대회가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름다움을 드러내어 뽐내고 싶은 마음은 여성들의 본능인 듯 싶다. 세월이 흘러 이제 그런 대회는 멈추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지만 상업...
    Views22760
    Read More
  17.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24975
    Read More
  18. 다시 태어난다면

    부부는 참 신비하다. 처음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할 때는 못죽고 못사는데 평생 평탄하게 사는 부부는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거의 세월의 흐름 속에 데면데면 밋밋한 관계가 된다. 누구 말처럼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고갈되어 그런 것인...
    Views23441
    Read More
  19. 모르는 것이 죄

    소크라테스는 “죄가 있다면 모르는 것이 죄”라고 했다. 의식 지수 400이 이성이다. 우리는 눈만 뜨면 화를 내며 산다. 다 알지 않는가? 화를 자주 내는 사람보다 전혀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이 더 무섭다는 것을. 한번 터지면 걷잡을 수 없다. 풀리...
    Views23006
    Read More
  20. 월남에서 돌아온 사나이

    2018년 봄. 후배 선교사로부터 집회요청을 받고 베트남을 방문하게 되었다. 베트남 행 비행기 안에서 초등학교 때 추억이 삼삼히 떠올랐다. 베트남?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월남에서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야기...
    Views2468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