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2.03 12:09

아, 한강! 7/24/15

조회 수 694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한강.png

 

 

필라에는 “아리수”라는 이름의 한식당이 있다. 누군가 물었다. “아리수가 무슨 뜻입니까?” 주워들은 이야기가 있어 자신 있게 대답했다. “아, 순수한 우리나라 말로 ‘한강’을 뜻합니다.” 상대방은 고개를 ‘끄덕’이며 “아, 그렇군요!” 반응을 보인다. 그런데 뒤져보니 꼭 맞는 말이 아니었다. “아리수”란 “크다.”는 의미의 한국어 '아리'와 한자 '수(水)'를 결합한 고구려 때 한강을 부르던 말이었다. 나는 어린 시절을 한강과 더불어 살았다. 바다는 만날 기회가 없었지만 북한강과 남한강을 오가며 성장을 했고 나중에는 한강이 가로지르는 서울에서 청· 장년기를 보냈다.

한강변에서 처제 가족들과 삼겹살을 구워먹고 목회여정에서 가끔 머리를 식히기 위해 한강변에 차를 대고 물끄러미 강물을 주시하던 기억까지 한강은 내 삶에 말없는 친구였다. 가까이 있기에 작아 보이지만 사실 한강은 우리나라에서 압록강 · 두만강 · 낙동강에 이은 네 번째 긴 강이라는 것이 이채롭다. 서울에서 조금 빠져 나가면 “양수리”를 만나게 되는데 이곳은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쳐져서 붙여진 이름이다. 양수리에서 북한강과 남한강을 합류한 한강은 계속 북서 방향으로 흐르면서 왕숙천(王宿川) · 중랑천(中浪川) · 안양천(安養川) 등의 소지류를 합류하여 김포평야를 지난 뒤 황해로 들어간다.

한강의 명칭에 ‘漢’이라는 글자를 쓴 것은 중국 문화를 도입한 이후의 일이다. ‘아리’, 즉 ‘알’은 고대에 ‘크다거나 신성하다.’는 의미로 쓰였으며, ‘한’도 이와 비슷한 뜻이다. 강은 심한 파도가 일지 않아 사람의 마음에 평온함을 준다. 나는 남한강을 먼저 만났다. 초등학교 시절. 양평과 강상 사이에는 다리가 없었다. 뱃사공이 노를 저어 나루를 건넜다. 배가 강물을 가로질러 건널 갈 때면 뱃전을 스치는 강물의 부딪힘과 사공의 노 젖는 소리가 묘한 조화를 이루며 편안함을 주었다.

그러던 내가 북한강을 만난 것은 경찰인 아버지가 서종면으로 전근을 하면서였다. 남한강은 흐름이 완만하고 도시스럽다(?)면 북한강은 산세가 험하고 깊을 뿐 아니라 강폭도 훨씬 넓었다. 초등학교 5학년 때 서울에서 어여쁜 여선생님이 부임해 오셨다. “정의봉 선생님”은 문예반을 맡아 아이들에게 글을 쓰는 훈련을 시켜주셨다. 수업을 마치고 우리 문예반은 갈대숲을 찾아가는 일이 잦아졌다. 여기저기 아이들을 흩어놓고 선생님은 속삭이듯 말씀하셨다. “무엇이 보이니? 어떤 느낌이 드니? 눈을 감아보렴.” 한참을 지나면 “자, 이제 떠오르는 것을 글로 써 보는거야!” 세월이 지나도 난 그때의 파아란 하늘과 낭랑한 선생님의 음성을 잊지 못한다. 북한강변 갈대숲에서 꿈을 꾸며 내 감성은 무한대로 성장해 갔다.

초등학교 6학년. 나는 아버지를 따라 양평으로 돌아왔고 다시 남한강을 만났다. 그때부터 남한강과의 밀회(?)는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중학교에 들어가 웅변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새벽이면 “정호”는 귀찮을 정도로 내방 창문을 두드렸다. 눈을 비비며 일어나 ‘칼산’(원명:갈산)에 올라 발성연습을 했다. “하나하면 하나요, 둘하면 둘이요∼” 한강을 바라보며 외치고 외치다가 목청이 트이고 성량은 날로 향상되어 갔다. 남한강은 어린 내 가슴에 미래에 대한 포부를 심어주었다.

사람은 누구나 눈을 감으면 떠오르는 아련한 장소가 있다. 그것이 바다라면 행운이다. 산이라면 싱그럽다. 들판이라면 미소를 부른다. 몸이 움직여야만 여행이 아니다. 마음이 움직이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멋진 여행을 할 수 있다. 삶이 곤고하고 피곤하다고 느낄 때에 나만의 공간에서 편한 자세를 취하자! 은은한 음악을 틀고 조용히 눈을 감자! 그리고 떠오르는 영상을 따라 나만의 여행을 떠나자! 보리밭, 시냇물, 내가 다니던 초등학교 교정, 산줄기, 들판을 달려보자! 당신의 한강은 어디입니까?


  1.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3638
    Read More
  2.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5876
    Read More
  3.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5768
    Read More
  4.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28819
    Read More
  5.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6209
    Read More
  6.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7580
    Read More
  7.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6385
    Read More
  8.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6859
    Read More
  9.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7305
    Read More
  10. 그래도 살아야 한다

    지난 14일. 배우 겸 가수인 설리(최진리)가 자택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나이 겨우 25살.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청춘은 우울증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청순하고 빼어난 미모, 평소 밝은 성격의 그녀가 자살한 것은 커다란 충...
    Views28434
    Read More
  11. 가을, 밀알의 밤

    어느새 가을이다. 낯선 2019년과 친해지려 애쓰던 것이 바로 어제 같은데 겨울을 거쳐 봄,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초록이 지쳐가고 있다. 여기저기 온갖 자태를 뽐내며 물들어 가는 단풍이 매혹적이기는 한데 애처로워 보이는 것은 내 기분 탓일까? 가을은 ...
    Views28694
    Read More
  12.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6453
    Read More
  13. 침묵 속에 버려진 청각장애인들

    “숨을 내쉬면서 혀로 목구멍을 막는 거야. ‘학’ 해 봐.” 6살 “별이”는 엄마와 ‘말 연습’을 하고 있다. 마주 앉은 엄마가 입을 크게 벌리고 “학”이라고 말하면 별이는 ‘하’ 아니면 &...
    Views30281
    Read More
  14.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6307
    Read More
  15.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7461
    Read More
  16.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7394
    Read More
  17. 시각장애인의 찬양

    장애 중에 눈이 안 보이는 어려움은 가장 극한 고통일 것이다. 그러나 시각장애인 중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존경의 대상이 될 만한 인물들이 속속 배출된 것을 보면 고난은 오히려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끈질긴 내성을 키워내는 것 같다. 한국이...
    Views27659
    Read More
  18. 칭찬에 배가 고팠다

    어린 시절 가장 부러운 것이 있었다. 부친을 “아빠”라고 부르는 친구와 아빠에게 칭찬을 듣는 아이들이었다. 라디오 드라마(당시에는 TV가 없었음)에서는 분명 “아빠”라고 하는데 우리 집에서는 항상 “아부지”라고 불러...
    Views28658
    Read More
  19. 늘 푸른 인생

    한국 방송을 보다보면 나이가 지긋한 분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늘어나는 것을 본다. 부부가 출연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때로는 홀로 나오기도 한다. “인생살이”에 대한 진솔한 대담은 현실적 삶의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나이 드신 ...
    Views28357
    Read More
  20. 핸드폰 없이는 못살아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의 손에는 핸드폰이 들려 있는 시대가 되었다. 모든 세대를 초월하여 핸드폰 없이는 사는 것 자체가 의미 없는 세상이 된 것 같다. 눈을 뜨면서부터 곁에 두고 사는 새로운 가족기기가 탄생한 것이다. 이제는 기능도 다양해져서 통화영역...
    Views3204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