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587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애통.jpg

 

 

 “장애인 아들 감금 폭행한 비정(非情)의 목사 부부” 언젠가 한국에서 보도된 신문 기사 제목이다. 목회자가 장애를 가진 아들을 감금하고 폭행까지 하다니! 그것도 10년 동안이나. “발에 긴 쇠사슬을 묶어 도망을 가지 못하게 만들었다”는 기사까지 덧붙여졌다. 하루가 지난 후 두 부부 이야기를 다른 관점으로 접근한 기사가 올랐다. "오죽 했으면 아들 발에 쇠고랑을 채웠겠느냐?"는 하소연이다. 이 기사를 계기로 네티즌의 의견은 급전했다. 부모의 마음을 이해한다는 답 글이 줄을 이었다. 한 포털 사이트는 이 문제를 놓고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부모 심정에 공감 한다'는 사람이 35%를 넘었다.

 

 기사의 주인공인 김주학 목사(53)와 권윤순 사모(48)는 경남 함양군 안의면에 소재한 안의 중앙 교회를 목회하고 있는 분들이다. 기자가 찾아가서 묻자 김 목사는 아들 발에 쇠사슬을 채운 사실이 있다는 것을 쉽게 인정했다. 그러나 10년 동안 감금했다는 기사는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평소에는 아무 제약이 없이 다니도록 두었다가 부부가 집을 비울 때만 아들의 안전을 위해 가두었다는 것이다. “아들 김진용 씨(24)에게 무슨 문제가 있길래 방에 가두었냐?”고 물었다.

 

 김주학 목사는 아들 발에 쇠사슬을 걸 수밖에 없던 사연을 말하며 자주 눈시울을 붉혔다. "아들이 다운증후군이라는 사실을 알고 난 뒤,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다 썼습니다. 부산의 큰 병원 중에 안 가본 곳이 없을 정도입니다. 초등학교에 보냈지만 적응을 하지 못해 3개월 만에 그만 뒀습니다. 장애인학교에 보내 2년 넘게 잘 다닌 적도 있습니다. 그러나 담임선생님이 진용이 때문에 너무 힘들어해서 역시 중도에 포기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다. 자주 가출을 하더니 이제는 집에 있는 돈을 들고 먼 곳으로 달아나는 일이 벌어졌다. 부산에서 서울까지 가는 것은 예사였다. 동네 꼬마들과 시비가 붙어 폭행죄로 파출소에 붙잡힌 사건이 터졌다. 여자 아이들을 귀엽다고 쓰다듬다가 성폭행 범으로 오해를 받기도 했다. 좋아하는 물건을 들고 있다가 절도죄로 붙잡힌 일도 있다. 서울 가출 사건 이후로 아들 발에 사슬을 걸었다. 더 이상 방치하다간 큰 범죄자가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결국 부산을 떠나 함양의 작은 마을로 이사했다. 한적한 시골에 오면 자유롭게 아들을 키울 수 있겠다는 기대도 있었다. 아들은 시골 생활에 잘 적응했다. 발을 묶었던 쇠사슬은 함양에 오면서 풀렸다. 그러나 즐거운 날은 오래 가지 않았다. 4년 만에 김진용 씨는 다시 집안에 있는 돈을 모두 들고 가출했다. 이번에는 부산에서 붙잡혔다. 절도죄로 검거됐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가니, 경찰이 "아들 단속 잘 하라"고 호통을 쳤다. 김진용 씨 발목엔 다시 사슬이 채워졌다.

 

 11월 23일. 사건은 터졌다. 김진용 씨가 사슬을 풀고 달아나 버린 것. 김 목사 부부는 온 동네를 뒤졌지만 찾지 못했다. 사슬을 발목에 걸고 돌아다니는 김진용 씨 모습을 본 주민이 112에 신고를 했다. 사건 접수를 받은 안의지구대는 목사 부부를 소환해 조사하고 함양경찰서로 이송했다. 11월 24일 새벽 함양경찰서에 긴급 체포된 두 사람은 하루가 지나지 않아 풀려났다. 담당검사는 "아들을 학대한 흔적이 없으며 쇠사슬로 묶었지만 아들을 보호하는 조치여서 구속할 사항은 아니다"며 구속 영장을 기각했다.

 

 장애 아동을 둔 부모의 고충을 누가 이해 할 수 있으랴! 밀알선교단에서는 매주 토요일마다 발달 장애 아동들을 Day Care하는 “사랑의 교실”이 열린다. 하지만 평생을 함께 사는 학부모님들의 노고에 비하면 너무 미미하여 송구할 뿐이다. 놀라운 것은 밀알에 소속한 학부모님들의 얼굴이 언제보아도 환하게 빛난다는 것이다. 가정마다 하나님의 능력의 손길이 임하시기를 기도한다. 또한, 누군가를 판단하기 전에 그 깊은 사정을 헤아리고, 함께 울어주고, 힘이 되어 주는 따뜻한 가슴을 가지고 사는 이웃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1.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3423
    Read More
  2.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5667
    Read More
  3.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5628
    Read More
  4.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28673
    Read More
  5.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6153
    Read More
  6.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7431
    Read More
  7.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6237
    Read More
  8.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6794
    Read More
  9.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7154
    Read More
  10. 그래도 살아야 한다

    지난 14일. 배우 겸 가수인 설리(최진리)가 자택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나이 겨우 25살.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청춘은 우울증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청순하고 빼어난 미모, 평소 밝은 성격의 그녀가 자살한 것은 커다란 충...
    Views28292
    Read More
  11. 가을, 밀알의 밤

    어느새 가을이다. 낯선 2019년과 친해지려 애쓰던 것이 바로 어제 같은데 겨울을 거쳐 봄,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초록이 지쳐가고 있다. 여기저기 온갖 자태를 뽐내며 물들어 가는 단풍이 매혹적이기는 한데 애처로워 보이는 것은 내 기분 탓일까? 가을은 ...
    Views28536
    Read More
  12.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6313
    Read More
  13. 침묵 속에 버려진 청각장애인들

    “숨을 내쉬면서 혀로 목구멍을 막는 거야. ‘학’ 해 봐.” 6살 “별이”는 엄마와 ‘말 연습’을 하고 있다. 마주 앉은 엄마가 입을 크게 벌리고 “학”이라고 말하면 별이는 ‘하’ 아니면 &...
    Views30144
    Read More
  14.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6215
    Read More
  15.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7405
    Read More
  16.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7309
    Read More
  17. 시각장애인의 찬양

    장애 중에 눈이 안 보이는 어려움은 가장 극한 고통일 것이다. 그러나 시각장애인 중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존경의 대상이 될 만한 인물들이 속속 배출된 것을 보면 고난은 오히려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끈질긴 내성을 키워내는 것 같다. 한국이...
    Views27523
    Read More
  18. 칭찬에 배가 고팠다

    어린 시절 가장 부러운 것이 있었다. 부친을 “아빠”라고 부르는 친구와 아빠에게 칭찬을 듣는 아이들이었다. 라디오 드라마(당시에는 TV가 없었음)에서는 분명 “아빠”라고 하는데 우리 집에서는 항상 “아부지”라고 불러...
    Views28512
    Read More
  19. 늘 푸른 인생

    한국 방송을 보다보면 나이가 지긋한 분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늘어나는 것을 본다. 부부가 출연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때로는 홀로 나오기도 한다. “인생살이”에 대한 진솔한 대담은 현실적 삶의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나이 드신 ...
    Views28205
    Read More
  20. 핸드폰 없이는 못살아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의 손에는 핸드폰이 들려 있는 시대가 되었다. 모든 세대를 초월하여 핸드폰 없이는 사는 것 자체가 의미 없는 세상이 된 것 같다. 눈을 뜨면서부터 곁에 두고 사는 새로운 가족기기가 탄생한 것이다. 이제는 기능도 다양해져서 통화영역...
    Views3188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