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5494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갈등.png

 

 “넌 나를 사랑하니?” 아이가 태어난 이후 남편은 가끔 섭섭함을 이렇게 토로했다. “사랑하지. 아니면 왜 같이 살겠어?” 남편은 찝찝한 표정을 지으며 혼잣말을 했다. “같이 산다고 사랑하는 건가?” 나도 남편에게 섭섭함이 밀려올 때면 같은 질문을 했다. 남편의 대답은 매번 같았다. “자기 나 사랑해?” “이런 식이다. 나 역시 양이 차지 않아 인상을 찌푸렸다. 우리 부부가 사랑 타령을 시작한 건 아이가 생긴 뒤부터다. “연애는 장난, 신혼은 소꿉놀이였네.”라는 말이 절로 나왔다. 아이의 탄생으로 부부 갈등, 고부 갈등의 진면목을 경험하며, 상대를 물어뜯었고 사랑을 의심하기 시작했다.

 

 “너 많이 변했다. 예전에는 더 조근 조근했는데.” 남편이 이런 말을 하기 시작한 것도 아이가 태어난 이후였다. 나는 갈등 사안이 생겼을 때 예전보다 쉽게 물러서지 않았다. 물러서면 나의 현실이 다음 세대에서도 이어질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출산 이후 인터넷에서 본 한 여성 네티즌의 자조가 절절하게 와 닿았다. “아내와 며느리는 하녀다.”라는 말이었다. 나를 하녀 취급한 사람은 없지만 요구 수준이 그러했다. 일과 육아에 남편 내조까지. 대놓고 이 역할을 내 몫으로 규정한 사람은 없었다. 은근한 세뇌로 어깨에 부담을 얹어놓고는 했다.

 

 어느 부부의 적나라한 삶의 모습이다. 나의 친구는 고교시절에 만나 7년을 교제하다 부부가 되었다. 하지만 그들의 결혼생활은 녹록치 않았다. 그 사이에 태어난 두 아들이 우울증에 걸릴 정도로 부부싸움은 처절했다. 친구는 7남매의 막내이고, 아내는 보지도 않고 데려간다는 셋째 딸이었다.(3녀 중) 너무나 잘 어울릴 것 같던 부부는 견디기 힘든 갈등을 겪으며 가정생활을 이어갔다. 결혼 전과 그 후. 연애와 결혼은 판이하게 다르다. 대개 연애는 로맨스와 위안으로 시작한다.

 

 “그 사람과 처음 만난 순간부터 뭔가 통한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정말 마음이 편안했어요.” 그런 설레임으로 사랑은 시작된다. 연인들은 그 관계가 연장될 것이라는 기대를 안고 결혼을 한다. 사실 남녀를 이어주는 매개체는 호감이다. 서로 좋은 감정을 가질 때에 사랑이 싹튼다는 논리이다. 그런데 만남을 통해 기대감이 증폭되기도 하지만 오히려 감소하는 경우가 많다. 해서 연애 기간이 그리 길어지기가 어렵다. 연애와 결혼이 다르다는 것은 연애시절에는 좋은 것만 보여 주려하고 보게 되지만 결혼은 모든 것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현장이기 때문이다.

 

 연애를 통해 상대방을 알만치 알았다고 생각하고 젊은이들은 결혼을 강행한다. ‘저 사람과 함께 있으면 세상을 다 가질 것 같은기대감을 가지고 복잡한 절차(?)를 거쳐 가정을 이룬다. 그 모든 것이 착각이었다는 사실을 깨닫는 데는 그리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 몇 개월 아니 신혼여행부터 현실은 냉혹하게 다가온다. ‘아니 뭐야? 이건 개털이잖아.’ 탄식이 나온다. 우리 어머니들은 그래도 참았다. 하지만 요사이 젊은 아낙은 다르다. 투쟁 아니면 결별이다.

 

 지난 5. 서부에 살고 있는 고교 선배로부터 내 딸 결혼을 축하한다.’는 카드와 함께 거금의 축하금이 답지했다. 감사한 마음으로 전화버튼을 눌렀다. 이야기 끝에 2년 전에 결혼한 선배 딸의 안부를 물었다. 머뭇거리면서 그냥 그렇게 됐어라는 대답이 되돌아왔다. 나는 직설적이다. “아니, 이혼했어요?” “, 지금 집에 와있어탄식이 나왔다. 꼭 결혼생활 1년 반 만에 일이다. 결혼의 덕목은 참음이다. 기다려 주어야 한다. 그런데 요사이는 그것을 사치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오늘도 여기저기서 창 깨지는 소리가 요란하다.

 

 사랑은 고백으로 설레임의 파도를 일으킨다. 결혼은 그 설레임이 행동을 수반해야만 한다. 상대방을 배려하고 이해하는 노력이 없이는 행복은 지속되지 않는다. “당신 나 사랑하기는 해?”라는 질문에는 나를 소중히 여기지 않는다.’는 반감이 숨어있다. “사랑은 아무나 하나!”는 결코 유행가 가사가 아님을 우리는 깨달아야 한다.


  1. 다시 태어난다면

    부부는 참 신비하다. 처음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할 때는 못죽고 못사는데 평생 평탄하게 사는 부부는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거의 세월의 흐름 속에 데면데면 밋밋한 관계가 된다. 누구 말처럼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고갈되어 그런 것인...
    Views24725
    Read More
  2. 모르는 것이 죄

    소크라테스는 “죄가 있다면 모르는 것이 죄”라고 했다. 의식 지수 400이 이성이다. 우리는 눈만 뜨면 화를 내며 산다. 다 알지 않는가? 화를 자주 내는 사람보다 전혀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이 더 무섭다는 것을. 한번 터지면 걷잡을 수 없다. 풀리...
    Views24229
    Read More
  3. 월남에서 돌아온 사나이

    2018년 봄. 후배 선교사로부터 집회요청을 받고 베트남을 방문하게 되었다. 베트남 행 비행기 안에서 초등학교 때 추억이 삼삼히 떠올랐다. 베트남?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월남에서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야기...
    Views25799
    Read More
  4.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4806
    Read More
  5.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7031
    Read More
  6.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6910
    Read More
  7.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30047
    Read More
  8.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7527
    Read More
  9.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8810
    Read More
  10.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7659
    Read More
  11.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8220
    Read More
  12.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8655
    Read More
  13. 그래도 살아야 한다

    지난 14일. 배우 겸 가수인 설리(최진리)가 자택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나이 겨우 25살.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청춘은 우울증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청순하고 빼어난 미모, 평소 밝은 성격의 그녀가 자살한 것은 커다란 충...
    Views29769
    Read More
  14. 가을, 밀알의 밤

    어느새 가을이다. 낯선 2019년과 친해지려 애쓰던 것이 바로 어제 같은데 겨울을 거쳐 봄,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초록이 지쳐가고 있다. 여기저기 온갖 자태를 뽐내며 물들어 가는 단풍이 매혹적이기는 한데 애처로워 보이는 것은 내 기분 탓일까? 가을은 ...
    Views30046
    Read More
  15.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7639
    Read More
  16. 침묵 속에 버려진 청각장애인들

    “숨을 내쉬면서 혀로 목구멍을 막는 거야. ‘학’ 해 봐.” 6살 “별이”는 엄마와 ‘말 연습’을 하고 있다. 마주 앉은 엄마가 입을 크게 벌리고 “학”이라고 말하면 별이는 ‘하’ 아니면 &...
    Views31514
    Read More
  17.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7636
    Read More
  18.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8815
    Read More
  19.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8760
    Read More
  20. 시각장애인의 찬양

    장애 중에 눈이 안 보이는 어려움은 가장 극한 고통일 것이다. 그러나 시각장애인 중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존경의 대상이 될 만한 인물들이 속속 배출된 것을 보면 고난은 오히려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끈질긴 내성을 키워내는 것 같다. 한국이...
    Views2903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