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45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6371749_orig.jpg

 

 

유럽에 왔다. 꿈에 그리던 독일 땅에 첫발을 내디뎠다. 그토록 오고 싶었던 독일을 가슴에 품던 날, 정겨운 봄비가 나를 반겼다. 프랑크푸르트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독일 RE 기차 편을 이용해 카셀로 향했다. 창밖으로 펼쳐지는 정경은 미국과는 전혀 달랐다. 낯설지만 가슴은 설레었다. 생각보다 너무도 풍성한 숲과 벌판, 한가로이 펼쳐지는 독일의 농경이 그림처럼 아름답다. 두 시간을 그렇게 달려 카셀 역 광장에서 그리운 “홍성훈 목사님”의 영접을 받았다. 같은 밀알지체로 인연을 맺었는데 먼 독일 땅에서 7년 만에 다시 만나게 된 것이다.

홍 목사님은 독일에서 어언 20여년을 목회하고 있다. 그는 소아마비로 휠체어를 타는 중증장애인이다. 점심을 먹고 나자 홍 목사가 제의를 해왔다. “이 목사님, 이왕이면 <네달란드>부터 시작합시다.” “아니, 여기서 얼마나 걸리는데요?” “아마 5시간은 족히 달려야 할 겁니다.” 놀라는 내 표정을 뒤로하고 우리는 그렇게 여행을 시작했다. 말로만 듣던 “아우토반”에 올라섰다. 제한속도가 없는 아우토반을 차들이 총알처럼 달리고 있었다. 우리 차 속도계를 보니 160Km(100Mile)를 가리키고 있었다. ‘왜 독일에 자동차 산업이 발달했는가?’를 깨닫는 순간이었다. 그렇게 달려대니 튼튼하고 정밀한 차를 만들 수밖에 없지 않은가?

독일 국경을 넘어서며 마주하는 네덜란드의 첫인상은 보다 더 정돈되고 체계화된 환경이었다. 네달란드의 상징인 풍차마을 “잔세스칸스”를 방문하였다. 크기도 다르고 다양한 모양의 풍차를 둘러보며 ‘인증 샷’을 했다. 수도 암스테르담에서 유명한 “자유대학”(Vrije Universiteit)의 위풍에 압도당했고 시내곳곳에 자그마한 운하를 건설하여 꾸며진 풍치가 눈길을 끌었다. 자전거의 물결, 운하 주변에 즐비한 앙증맞은 카페. 그리고 만난 김성혜 집사 가족. 과거 홍 목사님이 네덜란드에서 목회를 하던 시절에 성도였던 집사님은 “화원”이라는 한식당을 경영하고 있었다. 극진한 대접을 받으며 대화와 상담은 자정까지 이어졌다.

독일로 회귀하는 노정에 들렀던 “퀠른 대성당”의 위용에 놀랐고 중세 시대에 얼마나 로만 카톨릭이 창대했었는가는 짐작할 수 있었다. 독일 카셀에서 찾아간 곳은 “바르트부르크 成.” 1521년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가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는 교황에게 파문당한 후 작센 선제후인 프리드리히(Friedrich)의 보호 아래 비밀리에 바르트부르크성에 머물게 된다. 이곳에서 그는 융커 외르크라는 이름으로 신분을 숨기고 라틴어로 된 신약성경을 최초로 독일어로 번역하는 대역사를 이루어 낸다.

루터방(Lutherstube)이란 이름으로 여행자들에게 공개 되어 있는 공간은 소박한 나무 책상과 의자가 전부인 한 평 남짓의 작고 낡은 방이다. 요새 형태로 지어진 성 곳곳을 누비며 긴박한 상황에서도 성경을 번역하던 루터의 모습을 애써 상상해 보았다. 루터의 그런 헌신이 오늘날 누구나 성경을 쉽게 읽을 수 있게 된 것에 감사했다. 성을 벗어나 “바흐”(Johann Sebastian Bach)의 생가를 찾았다. 바흐가 다니던 교회에 들어가 기도를 드리고 바흐의 동상 앞에서 기념촬영을 했다. 음악의 아버지 “바흐”가 어린 시절에 이곳에서 뛰어 놀았을 모습을 떠올리며 미소가 피어 놀랐다. 그러고 보니 연대는 다르지만 ‘마르틴루터’와 ‘바흐’는 한 동네 사람이라는 것이 신기했다.

독일에서의 첫 설교는 “카셀 아름다운교회”에서였다. 독일 중소도시인 카셀지방에 한인교회가 있음이 경이로웠고 100여명이 모이는 교회에 음대유학생들이 주를 이룬 성가대의 찬양은 수준급이었다. 장애를 가진 홍성훈 목사님이 유학을 온 학생들을 12년간 보듬으며 목회해 온 따스함이 예배당에 가득 차 있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마른땅에 단비가 스며들 듯 모여온 성도들은 하나님의 만져주심을 느끼며 은혜를 받고 있었다.

이제 독일에 온지 4일째. 월요일이면 프랑스 파리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어지는 여행과 설교할 교회에서 일하실 하나님을 기대하며 낯선 곳에서 잠을 청한다.


  1.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3650
    Read More
  2.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5882
    Read More
  3.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5777
    Read More
  4.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28829
    Read More
  5.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6219
    Read More
  6.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7597
    Read More
  7.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6400
    Read More
  8.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6874
    Read More
  9.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7315
    Read More
  10. 그래도 살아야 한다

    지난 14일. 배우 겸 가수인 설리(최진리)가 자택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나이 겨우 25살.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청춘은 우울증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청순하고 빼어난 미모, 평소 밝은 성격의 그녀가 자살한 것은 커다란 충...
    Views28448
    Read More
  11. 가을, 밀알의 밤

    어느새 가을이다. 낯선 2019년과 친해지려 애쓰던 것이 바로 어제 같은데 겨울을 거쳐 봄,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초록이 지쳐가고 있다. 여기저기 온갖 자태를 뽐내며 물들어 가는 단풍이 매혹적이기는 한데 애처로워 보이는 것은 내 기분 탓일까? 가을은 ...
    Views28707
    Read More
  12.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6471
    Read More
  13. 침묵 속에 버려진 청각장애인들

    “숨을 내쉬면서 혀로 목구멍을 막는 거야. ‘학’ 해 봐.” 6살 “별이”는 엄마와 ‘말 연습’을 하고 있다. 마주 앉은 엄마가 입을 크게 벌리고 “학”이라고 말하면 별이는 ‘하’ 아니면 &...
    Views30289
    Read More
  14.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6321
    Read More
  15.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7479
    Read More
  16.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7411
    Read More
  17. 시각장애인의 찬양

    장애 중에 눈이 안 보이는 어려움은 가장 극한 고통일 것이다. 그러나 시각장애인 중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존경의 대상이 될 만한 인물들이 속속 배출된 것을 보면 고난은 오히려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끈질긴 내성을 키워내는 것 같다. 한국이...
    Views27673
    Read More
  18. 칭찬에 배가 고팠다

    어린 시절 가장 부러운 것이 있었다. 부친을 “아빠”라고 부르는 친구와 아빠에게 칭찬을 듣는 아이들이었다. 라디오 드라마(당시에는 TV가 없었음)에서는 분명 “아빠”라고 하는데 우리 집에서는 항상 “아부지”라고 불러...
    Views28671
    Read More
  19. 늘 푸른 인생

    한국 방송을 보다보면 나이가 지긋한 분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늘어나는 것을 본다. 부부가 출연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때로는 홀로 나오기도 한다. “인생살이”에 대한 진솔한 대담은 현실적 삶의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나이 드신 ...
    Views28363
    Read More
  20. 핸드폰 없이는 못살아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의 손에는 핸드폰이 들려 있는 시대가 되었다. 모든 세대를 초월하여 핸드폰 없이는 사는 것 자체가 의미 없는 세상이 된 것 같다. 눈을 뜨면서부터 곁에 두고 사는 새로운 가족기기가 탄생한 것이다. 이제는 기능도 다양해져서 통화영역...
    Views3205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