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6:45

천원식당 6/23/2013

조회 수 734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해뜨는_식당.jpg

 

 

세상이 많이 삭막해졌다고들 한다. 과거보다 살기가 풍요로워졌다면 당연히 사람들의 마음도 넉넉해져야 할 텐데 민심은 점점 싸늘해져만 간다. 그런데 그게 아니다. 여기 가슴 훈훈한 식당이 있다. “해 뜨는 식당”(광주 대인시장). 이름만 들어도 희망이 솟는 듯하다. 식당 이름만 따뜻한 것이 아니다. 음식가격이 단 ‘천원’이다. 귀가 의심스럽다. 천원이면 미화로 1불도 채 안 되는데 그 돈으로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다니 상상이 안 간다. 천 원짜리 한 장만 내면 밥 한 공기에 된장국, 3가지 반찬이 나오는 “백반”을 맛있고도 배부르게 먹을 수 있다.

이 식당 주인은 김선자 할머니(71세)이다. 부잣집 외동딸로 태어나 손에 물 한 방울 묻히지 않고 살았다는 할머니. 그는 1980년 금은방 사업에 투자해 실패한 뒤 자녀교육을 위해 1984년부터 보험회사에 다녔다. 이후 13년간 보험회사 소장으로 일하며 억척스럽게 살았다. 보험회사를 떠난 뒤 사기를 당해 빈털터리가 되고 10년간 간병하던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삶의 허무감이 찾아왔다. 그때 할머니는 “어려운 사람들을 돕고 싶다.”는 생각을 떠올린다. 사기를 당한 뒤 헌옷가게를 운영해 번 돈과 자녀들에게 받은 용돈으로 1,000만 원을 모아 2010년 “해 뜨는 식당”을 열었다.

하지만 100명의 손님이 다녀가도 남는 돈은 단 10만 원. 자녀들이 한 달에 100만∼200만 원을 보태줬지만 적자를 감당하지 못하자 혼자 식당일을 보기 시작했다. 김선자 할머니는 “아이들이 말렸지만 따뜻한 밥 한 끼가 주는 힘을 보아오면서 포기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덕분에 겨울철 차가운 시장 바닥에 앉아 허겁지겁 끼니를 때워야 했던 시장 노점 상인들도, 일용직 노동자도, 독거노인도, 가난한 학생도, 이곳에서 세상에서 가장 싸지만 세상에서 가장 배부른 밥을 먹을 수 있었다.

보통 손님이 많으면 물질적으로 풍요로워 지는 것이 요식업일진대 “해 뜨는 식당”은 장사가 잘될수록 적자인 희한한 식당이다. 하지만 그런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식당을 운영할 수 있는 비밀이 있었다. 넉넉한 처지가 아니면서도 “매달 쌀 20kg을 직접 어깨에 메고 찾아준다는 장애청년”, “아르바이트를 해서 매달 3만원씩을 송금한다는 여고생”, “한사코 자기는 아무 것도 한 적이 없다고 손사래를 치는 대인시장의 이웃상인들” 그리고 “우연히 들렀다가 식당주인에 감동해서 다른 사람 수십 명의 식사 값을 놓고 가는 이름 모를 사람” 등등. 수많은 온정이 모아져서 근근히 천원식당이 운영될 수 있었다. 결국 천원 식당의 백반은 가난한 사람들의 마음이 모여 만든 최고의 만찬이었다.

그런데 이게 어찌된 일인가? 그 사람냄새가 나던 식당의 문이 닫혀버렸다. 그것도 벌써 1년째 굳게 닫혀 있다. 왜일까? 식당 주인인 김선자(71) 할머니가 지난해 5월 대장암 진단을 받았기 때문이다. 왜 착한 사람들은 이런 시련이 많은 것일까? 이런 분들이 건강하고 씩씩하게 선한 일들을 더 많이 하셨으면 좋으련만. 그것도 초기가 아니다. 암은 집요하게도 할머니의 간과 폐로 전이되어 버렸다. 이제 김선자 할머니가 다시 음식을 만들어 찾아오는 사람들을 배부르게 할 것을 기대하기는 어려워진 상황이다.

소식에 접한 한 회사에서 식당을 말끔하게 정리하고 다시 식당을 개업하도록 길을 열어주었다. 세상에는 참 귀한 분들이 많다. 결국 할머니는 천원식당의 후계자를 찾아 나섰다. 후계자의 조건은 “된장국을 잘 끓이는 사람, 월 관리비 20만 원을 낼 수 있는 사람, 이윤보다는 이웃을 먼저 생각할 줄 아는 사람, 밥 한 끼의 기적을 믿으시는 분.”이다. 결국 네 아낙이 응시(?)를 했고 같은 시장에서 장사를 하는 분에게 바통을 넘기기로 하였다.

기분이 좋아졌다. 세상은 아직 살만하다는 생각을 했다. 김선자 할머니가 다시 건강을 되찾았으면 좋겠다. “해 뜨는 식당”이 다시 문을 열고 배고프고 마음이 서러운 많은 사람들에게 따스한 밥과 삶의 기운을 불어 넣어주었으면 정말 좋겠다.


  1.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26292
    Read More
  2. 다시 태어난다면

    부부는 참 신비하다. 처음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할 때는 못죽고 못사는데 평생 평탄하게 사는 부부는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거의 세월의 흐름 속에 데면데면 밋밋한 관계가 된다. 누구 말처럼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고갈되어 그런 것인...
    Views24773
    Read More
  3. 모르는 것이 죄

    소크라테스는 “죄가 있다면 모르는 것이 죄”라고 했다. 의식 지수 400이 이성이다. 우리는 눈만 뜨면 화를 내며 산다. 다 알지 않는가? 화를 자주 내는 사람보다 전혀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이 더 무섭다는 것을. 한번 터지면 걷잡을 수 없다. 풀리...
    Views24259
    Read More
  4. 월남에서 돌아온 사나이

    2018년 봄. 후배 선교사로부터 집회요청을 받고 베트남을 방문하게 되었다. 베트남 행 비행기 안에서 초등학교 때 추억이 삼삼히 떠올랐다. 베트남?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월남에서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야기...
    Views25869
    Read More
  5.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4859
    Read More
  6.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7093
    Read More
  7.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6953
    Read More
  8.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30090
    Read More
  9.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7626
    Read More
  10.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8870
    Read More
  11.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7733
    Read More
  12.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8289
    Read More
  13.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8714
    Read More
  14. 그래도 살아야 한다

    지난 14일. 배우 겸 가수인 설리(최진리)가 자택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나이 겨우 25살.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청춘은 우울증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청순하고 빼어난 미모, 평소 밝은 성격의 그녀가 자살한 것은 커다란 충...
    Views29844
    Read More
  15. 가을, 밀알의 밤

    어느새 가을이다. 낯선 2019년과 친해지려 애쓰던 것이 바로 어제 같은데 겨울을 거쳐 봄,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초록이 지쳐가고 있다. 여기저기 온갖 자태를 뽐내며 물들어 가는 단풍이 매혹적이기는 한데 애처로워 보이는 것은 내 기분 탓일까? 가을은 ...
    Views30111
    Read More
  16.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7727
    Read More
  17. 침묵 속에 버려진 청각장애인들

    “숨을 내쉬면서 혀로 목구멍을 막는 거야. ‘학’ 해 봐.” 6살 “별이”는 엄마와 ‘말 연습’을 하고 있다. 마주 앉은 엄마가 입을 크게 벌리고 “학”이라고 말하면 별이는 ‘하’ 아니면 &...
    Views31617
    Read More
  18.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7672
    Read More
  19.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8871
    Read More
  20.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879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