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501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김종수 목사.jpg

 

 누구에게나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한 순간, 한 마디의 말, 한 사람이 인생전반에 은은한 잔영으로 남아있게 마련이다. 어느 날 문득 삶을 되돌아보면 말로 표현하기 힘든 그 무언가가 끊임없이 나에게 에너지를 주고 있었음을 깨닫는다. 고등학교 3학년, 예비고사가 끝난 직후 3을 위한 부흥회”(미션스쿨)가 열렸다. 강사는 포스가 남달랐다. 희끗희끗한 머리에 까만 두루마기를 입고 등단하셨는데 새하얀 동정은 목사님의 자그마한 얼굴을 돋보이게 했고, 독립운동가 같은 강렬한 인상으로 분위기를 압도하였다.

 

 약간은 허스키한 목소리가 답답함을 느꼈지만 점차 시간이 지나며 그분의 설교는 고3들의 가슴을 파고들기 시작하였다. 성함은 김종수 목사님태능 근처 영세교회를 담임하고 계셨다. 그 분은 목사님의 아들이었다. 곱게 자라던 그는 사춘기에 접어들며 비뚤어지기 시작하였고, 급기야 신앙을 버리게 된다. “연희전문학교”(, 연세대학교)에 입학을 하고 응원단장을 맡으면서 그는 실로 기고만장한 삶을 살아가게 되었다.

 

 그렇게 한창 세상길을 가고 있던 종수에게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진다. 어머니가 암에 걸려 어려움을 당하고 있다는 전갈이었다. 하지만 그는 어머니를 돌아볼 여유조차 없이 향락에 젖어있었다. 결국 결정적인 하나님의 손길을 체험한 이후에야 집을 생각하게 된다. 어머니를 찾아 향한다. 그의 집은 과수원 한복판에 있었다. 배꽃이 만발한 동산을 지나 싸릿문을 열고 마당에 들어서자 어머니의 신음소리가 들려왔다. “아파, 너무 아파, 주님, 주님!” 가슴이 저며 왔다. 방문을 살며시 열자 어머니는 힘겹게 고통을 참아내며 돌아누워 계셨다.

 

 “어머니, 저예요. 종수가 왔어요!” 놀란 어머니가 힘없는 눈동자로 아들을 쳐다본다. “종수가 왔다구요.” “, 아들아 네가 왔구나! 내가 너를 얼마나 기다렸는데.” 종수가 다가가 어머니를 안는다. 뼈만 앙상하게 남은 몸이 닿아오자 아들은 오열한다. “어머니, 용서하세요. 잘못했어요. 저를 용서해 주세요.” 그때 어머니가 아들의 얼굴을 만지며 입을 연다. “얘야, 괜찮아. 다 모르고 그랬는걸 뭐.” 이 한마디에 아들은 통곡하며 방을 뒹군다. 결국 어머니는 아들의 품안에서 숨을 거둔다. 그는 목사가 되어 배꽃동산에 교회를 짓고 목회를 하게 된다.

 

 부흥회 둘째 날, 신앙부장인 내가 사회를 맡게 되었다. 설교가 끝나갈 무렵, 강사 목사님은 제가 여러분을 위해 기도하고 싶습니다. 오늘 사회를 보는 학생이 여러분을 대표하여 제 기도를 받도록 하겠습니다.” 당황하며 단에 오르자 목사님은 성경책을 펼치더니 오른 손을 성경에 올려놓으라.”고 하셨다. 나는 그렇게 축복기도를 받았고 놀랍게도 훗날 목사가 되어 성직의 길을 가게 된다. 그 한순간의 기도가 나를 이끌어 갈 줄이야.

 

 그렇게 세월이 흘러가고 1994년 여름, <수동기도원>으로 전교인수련회를 가게 되었다. 밤늦게까지 설교를 하고 교인들을 위해 기도를 하다 보니 자정이 훨씬 넘어갔다. 배정받은 <목사관>에 들어갔다. 시즌이 피크여서인지 내 방에 누군가가 잠을 자고 있었다. 기도원 원목에게 이미 들은 바라 더듬거리며 방에 들어서는 순간 어슴프레 불빛에 비춰진 얼굴을 보고 깜짝놀랐다. 고교시절 단에 섰던 그 목사님이 그곳에 누워계셨다. 인기척에 눈을 뜨신 목사님은 그리도 그리던 김종수 목사님이셨다. “아니, 목사님. 웬일이십니까?”

 

 놀란 것은 김 목사님이셨다.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이 인사를 하니? 그것도 새벽 2시에. 그분은 나를 기억하지 못했다. 설명을 듣고서야 얼마나 반가워하시던지? 이후 우리 가족은 종종 목사님 댁에 드나들며 사랑을 받았다. 우리가 도착할라치면 이미 아파트 입구까지 나와 서계셨다. “형님, 어서 오구려!” 세상에 어리디 어린 나에게 형님이라니? 그분은 누구든 그렇게 섬기며 멋지게 사셨다. 마지막 남긴 어머니의 말 한마디를 사랑과 섬김으로 승화시키셨다.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목사님의 목소리와 특유의 제스처는 내 가슴에 깊이 새겨있다. 이제 한해의 말미이다. 부족하다. 실수가 많다. 돌이켜보면 후회뿐이다. 그런 우리를 향해 주님은 말씀하신다. 얘야, 괜찮아. 다 모르고 그랬는걸 뭐.”


  1. 다시 태어난다면

    부부는 참 신비하다. 처음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할 때는 못죽고 못사는데 평생 평탄하게 사는 부부는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거의 세월의 흐름 속에 데면데면 밋밋한 관계가 된다. 누구 말처럼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고갈되어 그런 것인...
    Views24722
    Read More
  2. 모르는 것이 죄

    소크라테스는 “죄가 있다면 모르는 것이 죄”라고 했다. 의식 지수 400이 이성이다. 우리는 눈만 뜨면 화를 내며 산다. 다 알지 않는가? 화를 자주 내는 사람보다 전혀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이 더 무섭다는 것을. 한번 터지면 걷잡을 수 없다. 풀리...
    Views24222
    Read More
  3. 월남에서 돌아온 사나이

    2018년 봄. 후배 선교사로부터 집회요청을 받고 베트남을 방문하게 되었다. 베트남 행 비행기 안에서 초등학교 때 추억이 삼삼히 떠올랐다. 베트남?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월남에서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야기...
    Views25794
    Read More
  4.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4805
    Read More
  5.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7031
    Read More
  6.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6906
    Read More
  7.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30047
    Read More
  8.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7508
    Read More
  9.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8805
    Read More
  10.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7646
    Read More
  11.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8210
    Read More
  12.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8643
    Read More
  13. 그래도 살아야 한다

    지난 14일. 배우 겸 가수인 설리(최진리)가 자택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나이 겨우 25살.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청춘은 우울증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청순하고 빼어난 미모, 평소 밝은 성격의 그녀가 자살한 것은 커다란 충...
    Views29760
    Read More
  14. 가을, 밀알의 밤

    어느새 가을이다. 낯선 2019년과 친해지려 애쓰던 것이 바로 어제 같은데 겨울을 거쳐 봄,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초록이 지쳐가고 있다. 여기저기 온갖 자태를 뽐내며 물들어 가는 단풍이 매혹적이기는 한데 애처로워 보이는 것은 내 기분 탓일까? 가을은 ...
    Views30032
    Read More
  15.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7623
    Read More
  16. 침묵 속에 버려진 청각장애인들

    “숨을 내쉬면서 혀로 목구멍을 막는 거야. ‘학’ 해 봐.” 6살 “별이”는 엄마와 ‘말 연습’을 하고 있다. 마주 앉은 엄마가 입을 크게 벌리고 “학”이라고 말하면 별이는 ‘하’ 아니면 &...
    Views31499
    Read More
  17.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7634
    Read More
  18.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8814
    Read More
  19.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8760
    Read More
  20. 시각장애인의 찬양

    장애 중에 눈이 안 보이는 어려움은 가장 극한 고통일 것이다. 그러나 시각장애인 중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존경의 대상이 될 만한 인물들이 속속 배출된 것을 보면 고난은 오히려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끈질긴 내성을 키워내는 것 같다. 한국이...
    Views2903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