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8.04.20 19:22

사투리 정감(情感)

조회 수 462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사투리.jpg

 

 서울 전철 안에서 경상도 사나이들이 너무도 큰소리로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한켠에 승차한 여성 두 명이 두 사람을 쳐다본다. 하는 말이 아니, 왜 저렇게 시끄럽게 떠들지?” “외국사람 같은데” “아냐, 우리나라 사람이야” “아냐, 가만히 들어봐 우리나라말이 아니야호기심을 참지 못한 여성이 사나이들에게 다가간다. 그리고는 조용히 , 조금만 조용히 말씀하시면 안될까요?” 물었다. 그중에 한 사나이가 대답한다. “? 이기다 니끼가?”(이것이 다 당신 것이냐?) 놀란 여성이 친구에게 달려가 말한다. “맞잖아, 외국사람이야

 

  함경도분과 경상도 분이 서로 마주쳤다. 먼저 경상도 분이 말을 건넨다. “니는 뭐꼬?”(당신은 누구십니까?) 함경도분이 뭐꼬라는 말의 뜻을 이해 못한다. 그래서 되묻는다. “뭐꼬가 무시기?”(뭐꼬가 무슨 뜻입니까?) 경상도 분은 무시기라는 말을 생전 처음들은 모양이다. “무시기가 뭐꼬?” “뭐꼬가 무시기?” 그래서 두 분은 하루 종일 똑같은 질문을 계속했다고 한다.

 

  사투리는 표준어의 반대말이다. 나라는 같지만 특정지역에서 쓰는 말(방언)을 사투리라 한다. 나는 태어나서 중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경기도에서만 자랐다. 그러다가 서울로 고등학교를 진학하게 되었다. 그때부터 지방 사람들을 만나기 시작하였고, 신학대학원에 진학하면서 실로 다양하고 색깔이 뚜렷한 각 지방 학우들을 두루 만나며 사투리에 익숙해져 갔다.

 

  급기야 고향이 전라도인 아내를 맞이하면서 말투가 희한하게 변해갔다. 사실 아내는 어릴 때부터 서울에서 자라 사투리를 별로 쓰지 않는다. 반면 장모님은 얼마나 억세게 사투리를 쓰시는지 아내가 통역을 해야 알아들을 정도였다. 장모님의 전라도 사투리가 정겨워 혼자 중얼거리며 흉내를 내기 시작했고, 연습(?)을 하다 보니 이제는 토종 경기도 사람이 전라도 사람이나, 충청도 사람으로 오해 받는 경지(?)에 까지 이르렀다.

 

  전라도 말 중에 쪼까”(조금) “긍게”(그러니까) “겁나게”(많이)라는 말이 재미있지만 팔도 말 중에 짠하다”(가슴이 저려온다, 혹은 마음이 무척 아프다)는 말은 그 어느 지방말로도 표현이 안 되는 압권이다. “징혀!”(못마땅해)라는 말부터 전라도 말의 클라이막스는 거시기이다. “거시기는 어디에 갖다 붙여도 말을 매끄럽게 이어나가게 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이야기를 하다가 막히면 거시기로 일단 끌어나가도 되고, 입장이 곤란하거나 표현이 곤란한 것은 일단 거시기"로 대처하면 아무 문제가 없다.

 

  경상도 말의 매력은 터프함이다. 처음 경상도 분을 만났을 때 얼마나 당황을 했는지 모른다. 공연히 억양을 높이는 투가 마치 화난 사람 같았고, 싸우려는 것만 같았기 때문이다. 사귀기는 힘들지만 일단 인연을 맺으면 오래가는 것이 경상도 분들의 좋은 점이다. 고등학교 때 옆집에 경상도 가족이 살았는데 자녀의 이름을 부를 때 꼭 끝자를 부르는 것이 새로웠다. “가시나” “머스마” “문디부터 고마 쌔리, ” “우야꼬?”까지 경상도 사투리는 다양하다.

 

  사투리하면 충청도를 빼놓을 수가 없다. 요사이는 많이 빨라졌다고 주장하나, 느린 것에 대한 표현이 많다. 아들이 아버지와 산을 오른다. 그런데 갑자기 저 앞에서 큰 바위가 굴러 내려오는 것이 아닌가? 그때 아들이 외친다. “아부지, 굴러가 유그러나 이미 돌은 아버지를 상해하고 말았다. 왜 충청도 하면 느리다는 선입견을 갖게 하였는가? 말끝에 가 붙기 때문인 것 같다. 하지만 충청도 말을 들으면 얼마나 마음이 넉넉해지는가?

 

  각 지방분들의 언어 약점도 있다. 경상도 분들은 발음이 안 된다. 대표적인 예가 이다. 거기다가 겹모음 발음이 어렵다. 경제를 갱제확실히를 학실히경찰을 갱찰로 부른다. 함경도 말에 특징은 끝에 따라 나오는 말인데 했음둥”(했습니다)이며 그분들도 발음이 안 된다. 그래서 덩거당에 불비티 떰뻑 떰뻑 하누나가 된다. 평안도 분들은 발음이 안 되어 로 말한다. 전화번호가 9656이라면 그분들은 구룩오룩으로 읽는다.

 ‘o' 발음도 안 되어 으로 한다. 그러니까 예배를 네배라고 한다.

 

이렇게 쓰다보면 끝이 없을 듯하다. 사람들은 오늘도 특징 있는 사투리를 안고 정감 어린 인생 이야기를 엮어가고 있다

 

 

 

 

 

 


  1.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26290
    Read More
  2. 다시 태어난다면

    부부는 참 신비하다. 처음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할 때는 못죽고 못사는데 평생 평탄하게 사는 부부는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거의 세월의 흐름 속에 데면데면 밋밋한 관계가 된다. 누구 말처럼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고갈되어 그런 것인...
    Views24771
    Read More
  3. 모르는 것이 죄

    소크라테스는 “죄가 있다면 모르는 것이 죄”라고 했다. 의식 지수 400이 이성이다. 우리는 눈만 뜨면 화를 내며 산다. 다 알지 않는가? 화를 자주 내는 사람보다 전혀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이 더 무섭다는 것을. 한번 터지면 걷잡을 수 없다. 풀리...
    Views24258
    Read More
  4. 월남에서 돌아온 사나이

    2018년 봄. 후배 선교사로부터 집회요청을 받고 베트남을 방문하게 되었다. 베트남 행 비행기 안에서 초등학교 때 추억이 삼삼히 떠올랐다. 베트남?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월남에서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야기...
    Views25867
    Read More
  5.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4857
    Read More
  6.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7086
    Read More
  7.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6948
    Read More
  8.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30087
    Read More
  9.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7625
    Read More
  10.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8865
    Read More
  11.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7716
    Read More
  12.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8289
    Read More
  13.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8713
    Read More
  14. 그래도 살아야 한다

    지난 14일. 배우 겸 가수인 설리(최진리)가 자택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나이 겨우 25살.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청춘은 우울증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청순하고 빼어난 미모, 평소 밝은 성격의 그녀가 자살한 것은 커다란 충...
    Views29842
    Read More
  15. 가을, 밀알의 밤

    어느새 가을이다. 낯선 2019년과 친해지려 애쓰던 것이 바로 어제 같은데 겨울을 거쳐 봄,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초록이 지쳐가고 있다. 여기저기 온갖 자태를 뽐내며 물들어 가는 단풍이 매혹적이기는 한데 애처로워 보이는 것은 내 기분 탓일까? 가을은 ...
    Views30110
    Read More
  16.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7722
    Read More
  17. 침묵 속에 버려진 청각장애인들

    “숨을 내쉬면서 혀로 목구멍을 막는 거야. ‘학’ 해 봐.” 6살 “별이”는 엄마와 ‘말 연습’을 하고 있다. 마주 앉은 엄마가 입을 크게 벌리고 “학”이라고 말하면 별이는 ‘하’ 아니면 &...
    Views31613
    Read More
  18.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7665
    Read More
  19.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8871
    Read More
  20.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879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