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17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달려_은총.jpg

 

 

은총(남)은 '스터지 웨버 증후군'이라는 희귀병을 앓고 있다. 뇌가 서서히 마비되어 돌처럼 굳어가는 병이다. 녹내장과 심한 경기(놀람)를 동반하고 얼굴과 몸에 검붉은 반점이 나타난다. 그 외에도 오타모반 증후군, 뇌병변등 복합장애를 가지고 태어났다. 아빠 박지훈(38)씨와 엄마 김여은(34)씨는 "제발 숨만이라도 제대로 쉬었으면"하는 바람으로 기약 없는 병원 생활을 시작했다. 생후 17개월, 뇌의 절반을 제거하는 수술을 했다. “말을 하지 못하고, 걷지 못할 것이라.”는 의사의 진단이 나왔다. 그러나 해가 바뀌면서 하나 둘 기적이 일어났다.

누워만 있던 아이가 엎드렸고 낙타처럼 무릎으로 기어 다닌 지 5년 만에 일어나 걸을 수 있었다. 어설프게나마 “엄마”를 부른 건 여섯 살 때. 한 손만으로 컴퓨터를 작동시켜 만화를 볼 수도 있게 되었다. 이제 열 두살,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기적을 보여줄지는 은총이만이 아는 비밀이다. 은총이는 행복한 아이이다. 자식의 있는 모습 그대로를 사랑해주는 엄마, 아빠가 있기에 말이다. 틈만 나면 뽀뽀를 즐겨하는 은총이네 가족은 실로 천국이다.

은총이가 조금만 잘 걸어도, 미소만 지어도 집안에는 환한 웃음꽃이 핀다. 실로 작은 변화에 관심을 갖고 기뻐하는 가족이다. 치료가 어려울 것이라는 진단에도 불구하고 은총이네 가족은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은총이는 기적처럼 열 두살을 넘겼고, 은총의 가정은 기적을 만드는 작업에 돌입한다. "준비하시고... 땡!" 아빠가 달리는 모습을 보고 까르르 웃는 은총이. 은총이가 달리고 싶어 한다는 걸 안 건 그 때였다.

하지만 양쪽 다리의 길이가 다르고, 왼쪽 몸이 마비된 은총이에게 달리기나 수영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아빠는 장애 아들과 함께 달리는 미국의 ‘호이트 부자’를 떠올렸다. 100킬로그램이 넘었던 거구의 아빠는 운동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은총이를 위해 수영을 배우고, 매일 산을 오르고 달리기를 했다. 그리고 2010년, 처음으로 철인 3종 경기에 출전하여 은총이와 함께 뛰고, 헤엄치고, 달렸다. 비록 꼴찌로 들어오긴 했지만 완주에 성공을 한다. 은총이 부자의 모습은 많은 사람들에게 잊지 못할 감동을 안겨주었다.

부자의 다섯 번째 도전, 보름 앞으로 다가온 철인 3종 경기를 준비하며 구슬땀을 흘리고 있는 은총이네 가족. 올해에는 완주뿐 아니라 기록 단축이라는 새로운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네 번의 경기를 치르는 동안 은총이도 많이 자랐기에 상황이 녹록치 못했다. 두 사람 몫을 혼자 해야 하는 아빠의 부담도 그만큼 더 커진 것이다. 세 사람이 각자 자신의 역할을 다 해야 하는 철인 경기. 쉴새 없이 달려야 하는 아빠와 은총이는 물론이고, 매니저를 자청하는 엄마 여은씨도 대회 내내 함께 뛰었다.

‘은총이 아빠, 은총이 엄마’로 산다는 것은 무거운 짐이었다. 잦은 수술과 감당하지 못할 병원비. 은행에서 일했던 아빠 지훈씨는 직업을 잃었고 신용불량자가 되었다. 일용직을 전전해야했고 옷을 떼다가 시장에서 팔기도 했다. 일 년에 두 번 이상의 수술을 해야 하는 은총이를 돌보느라 치료실과 병원을 오가는 엄마 여은씨의 고충도 말이 아니었다. 3년 전, 두 사람은 역할을 바꾸기로 했다. ‘일하는 엄마 ↔ 살림하는 아빠’가 되기로 한 것이다. 사람들이 직업을 물어오면 이제 지훈씨는 웃으며 말한다. "제 직업은 은총이 아빠에요~"

은총이로 인해 달라지고, 은총이로 인해 더 행복해졌다는 가족. 주저앉고 싶었던 고비마다 다시 일어설 수 있었던 데는 무엇보다 여은씨의 힘이 컸다. 엄마는 강했다. 아니 지혜로웠다. 힘든 내색 한 번 하지 않고 가족을 돌보고, 용기를 불어넣게 해준 것은 '엄마'라는 이름, '사랑'이라는 마음이었을 것이다. 은총이 아빠는 말한다. “우리는 모든 장애 아들의 희망을 안고 달린다.”고.

은총이 가정이 보여주는 것은 희망이다. 우리는 알아야 한다. 장애 아동 가족에게는 작은 관심과 도움이라도 큰 힘이 된다는 것을. 포기를 모르고 오늘도 희망을 향해 달리는 은총이네 가족을 향해 커다란 박수를 보내고 싶다.


  1.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26290
    Read More
  2. 다시 태어난다면

    부부는 참 신비하다. 처음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할 때는 못죽고 못사는데 평생 평탄하게 사는 부부는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거의 세월의 흐름 속에 데면데면 밋밋한 관계가 된다. 누구 말처럼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고갈되어 그런 것인...
    Views24771
    Read More
  3. 모르는 것이 죄

    소크라테스는 “죄가 있다면 모르는 것이 죄”라고 했다. 의식 지수 400이 이성이다. 우리는 눈만 뜨면 화를 내며 산다. 다 알지 않는가? 화를 자주 내는 사람보다 전혀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이 더 무섭다는 것을. 한번 터지면 걷잡을 수 없다. 풀리...
    Views24258
    Read More
  4. 월남에서 돌아온 사나이

    2018년 봄. 후배 선교사로부터 집회요청을 받고 베트남을 방문하게 되었다. 베트남 행 비행기 안에서 초등학교 때 추억이 삼삼히 떠올랐다. 베트남?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월남에서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야기...
    Views25867
    Read More
  5.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4857
    Read More
  6.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7086
    Read More
  7.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6948
    Read More
  8.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30087
    Read More
  9.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7624
    Read More
  10.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8865
    Read More
  11.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7716
    Read More
  12.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8289
    Read More
  13.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8713
    Read More
  14. 그래도 살아야 한다

    지난 14일. 배우 겸 가수인 설리(최진리)가 자택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나이 겨우 25살.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청춘은 우울증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청순하고 빼어난 미모, 평소 밝은 성격의 그녀가 자살한 것은 커다란 충...
    Views29842
    Read More
  15. 가을, 밀알의 밤

    어느새 가을이다. 낯선 2019년과 친해지려 애쓰던 것이 바로 어제 같은데 겨울을 거쳐 봄,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초록이 지쳐가고 있다. 여기저기 온갖 자태를 뽐내며 물들어 가는 단풍이 매혹적이기는 한데 애처로워 보이는 것은 내 기분 탓일까? 가을은 ...
    Views30110
    Read More
  16.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7722
    Read More
  17. 침묵 속에 버려진 청각장애인들

    “숨을 내쉬면서 혀로 목구멍을 막는 거야. ‘학’ 해 봐.” 6살 “별이”는 엄마와 ‘말 연습’을 하고 있다. 마주 앉은 엄마가 입을 크게 벌리고 “학”이라고 말하면 별이는 ‘하’ 아니면 &...
    Views31613
    Read More
  18.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7665
    Read More
  19.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8871
    Read More
  20.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879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