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372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자존감.png

 

  사람은 누구나 삶을 지탱해 주는 지렛대가 있다. 삶이 힘들고 어려워도 어느샌가 가슴 깊은 곳에서부터 솟구쳐 오르는 힘이 있기에 고통을 견디고 오늘이라는 시간에 우뚝 서있는 것이다. 그것이 과연 무엇일까?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눈에 보이는 것이 나를 지탱 해 준다.’고 믿는다. , 명예, 인기 등. 돈은 삶의 여유를 제공해 주는 강력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 그뿐이다. 명예를 얻으면 사람들은 성공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이라했다. 실로 올라가는 것보다 내려올 때 아름다운 모습을 지키는 것이 더 힘든지도 모른다.

 

 인기를 생각 해 보자! 인기처럼 허무한 것이 없다. 과거에 국민의 마음을 시원하게 해 주던 정치인, 어려운 시절 서민들의 가슴을 훈훈하게 해 주던 연예인. 지금은 다 어디에 가있는가? 그러보면 삶을 가치 있게 하는 것은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닌 보다 깊은 곳에 있다. 그것이 과연 무엇일까? 바로 자존심(自尊心)이다. 자존심은 참 중요하다. 한국은 조선 시대에 500년 동안이나 유교라는 옷을 입고 역사를 이어왔다.

 

  유교 문화는 양반 문화요, 체면 문화이다. 쉽게 머리를 숙이지 않는다. 배가 고파도 배부른 척 한다. 없어도 있는 척 한다. 꺾일 때 꺾이더라도 고고한 자세를 잃지 않는다. 그것이 곧 권위요, 사는 방식이었다. 그 자존심이 무너지면 죽음도 불사하였다. 현대는 합리화시대이다. 포스모더니즘이 만연한 시대가 도래 했다. 모든 것이 두리 뭉실하다. 자존심보다는 이해타산을 따라 움직인다. “자존심이 밥 먹여 주냐?” 흔히 쓰는 말이다. 이익을 위해서라면 자존심 따위는 버려도 무방하다는 뜻의 자조 섞인 말이다. 그 말이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

 

  자존심은 비교 의식에서 나온다. 누구보다 조금 나아보이면 우월감을 느낀다. 나보다 잘난 사람을 만나면 한없이 초라해 진다. 자존심은 필요하다. 그러나 지나친 자존심은 나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들조차 힘들게 만든다. 부부간에도 자존심이 강한 사람들이 만나면 집안에 바람 잘 날이 없다. 사실 부부간에는 자존심이 전혀 필요 없다. 이걸 알면서도 우리는 가정에서 자존심으로 버틴다. 남들 앞에서는 부드럽다가도 일단 부부끼리 부딪칠 때는 자존심 대결에 불이 튄다.

 

  그만큼 살았으면 타이밍을 잘 맞출 때도 되었건만 한순간 자존심을 꺾지 못하여 가정에 평지풍파를 일으킨다. 한 바탕 전쟁을 치루고 나서 부부는 후회한다. “내가 왜 그랬을까?” 하필 부부 사이에서 자존심을 세우려는 우리의 모습이 너무 초라하지 않은가? ‘그렇게 하지 말아야지하면서 일을 저지르는 것이 인간이다. 자존심이 아니다. 자존감(自尊感)을 가져야 한다. 자존심은 비교의식에서 나온다. 자존감은 하나님 앞에서 나를 발견하는 숭고한 작업이다. 자존심은 새로운 나를 발견하는 거룩한 탄생이다. 애벌레에서 나비가 되는 순간이 자존감을 회복하는 순간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별에는 무려 70억의 인구가 살고 있다. 그 많고 많은 사람 중에 나라는 존재는 하나뿐이다. 나와 비슷한 사람은 있을지 몰라도 나와 똑같은 사람은 전혀 없다. 거기다가 나를 지으신 그분은 성경 이사야 43장에서 내가 너를 보배롭고 존귀하게 지었다고 선포하신다. 놀랍지 않은가? 거울로 내 얼굴만 보아도 귀하지 않은가? 우주 안에 단 하나밖에 없는 나를 내가 소중히 여기지 않는다면 너무 몰인정하지 않은가? 자존감을 회복하여야 한다. 자존감이 충만한 사람은 누구에게도, 어떤 환경에서도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

 

  자존심이 강하면 쉽게 낙심하고 흔들리기 쉽지만, 자존감이 강한 사람은 누구나 포용하고 어디에서나 행복한 생을 살게 된다. 형통 할 때에는 자존심이 나를 지탱하여 주는 것 같지만 고난이 찾아오면 자존심이 무너지면서 삶도 붕괴될 위험에 처하게 된다. 그러나 자존감을 회복한 사람은 언제나 밝은 미소를 잃지 않고 진취적인 삶을 살 수 있게 된다.

 

  자존심은 포기하고, 자존감을 회복하여 언제나 에너지 넘치는 생을 영위하자!

 

 

 

 

 

 


  1.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3653
    Read More
  2.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5884
    Read More
  3.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5786
    Read More
  4.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28836
    Read More
  5.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6225
    Read More
  6.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7602
    Read More
  7.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6410
    Read More
  8.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6880
    Read More
  9.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7323
    Read More
  10. 그래도 살아야 한다

    지난 14일. 배우 겸 가수인 설리(최진리)가 자택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나이 겨우 25살.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청춘은 우울증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청순하고 빼어난 미모, 평소 밝은 성격의 그녀가 자살한 것은 커다란 충...
    Views28460
    Read More
  11. 가을, 밀알의 밤

    어느새 가을이다. 낯선 2019년과 친해지려 애쓰던 것이 바로 어제 같은데 겨울을 거쳐 봄,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초록이 지쳐가고 있다. 여기저기 온갖 자태를 뽐내며 물들어 가는 단풍이 매혹적이기는 한데 애처로워 보이는 것은 내 기분 탓일까? 가을은 ...
    Views28722
    Read More
  12.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6480
    Read More
  13. 침묵 속에 버려진 청각장애인들

    “숨을 내쉬면서 혀로 목구멍을 막는 거야. ‘학’ 해 봐.” 6살 “별이”는 엄마와 ‘말 연습’을 하고 있다. 마주 앉은 엄마가 입을 크게 벌리고 “학”이라고 말하면 별이는 ‘하’ 아니면 &...
    Views30295
    Read More
  14.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6330
    Read More
  15.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7491
    Read More
  16.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7421
    Read More
  17. 시각장애인의 찬양

    장애 중에 눈이 안 보이는 어려움은 가장 극한 고통일 것이다. 그러나 시각장애인 중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존경의 대상이 될 만한 인물들이 속속 배출된 것을 보면 고난은 오히려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끈질긴 내성을 키워내는 것 같다. 한국이...
    Views27685
    Read More
  18. 칭찬에 배가 고팠다

    어린 시절 가장 부러운 것이 있었다. 부친을 “아빠”라고 부르는 친구와 아빠에게 칭찬을 듣는 아이들이었다. 라디오 드라마(당시에는 TV가 없었음)에서는 분명 “아빠”라고 하는데 우리 집에서는 항상 “아부지”라고 불러...
    Views28679
    Read More
  19. 늘 푸른 인생

    한국 방송을 보다보면 나이가 지긋한 분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늘어나는 것을 본다. 부부가 출연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때로는 홀로 나오기도 한다. “인생살이”에 대한 진솔한 대담은 현실적 삶의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나이 드신 ...
    Views28375
    Read More
  20. 핸드폰 없이는 못살아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의 손에는 핸드폰이 들려 있는 시대가 되었다. 모든 세대를 초월하여 핸드폰 없이는 사는 것 자체가 의미 없는 세상이 된 것 같다. 눈을 뜨면서부터 곁에 두고 사는 새로운 가족기기가 탄생한 것이다. 이제는 기능도 다양해져서 통화영역...
    Views3206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