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7:47

관상 1/16/2015

조회 수 801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괸상.jpg

 

 

요사이 “왕의 얼굴”이란 드라마가 잔잔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작년에는 “관상”이란 한국영화가 90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돌풍을 일으켰다. 결국 영화는“관상은 없다.”는 허무한 결론으로 끝이 난다. 과연 그럴까? 칼럼을 쓰기위해 “관상 보는 법”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게 되었고 “이러다가 ‘점쟁이’쪽으로 나가는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며 나도 모르게 입가에 미소가 번졌다. “과연 관상은 어디에 근거를 둔 것인지? 실로 존재하는 것일까?”

링컨 대통령이 내각 구성을 위해 각료들을 선택하기 시작했다. 비서관으로부터 한 사람을 추천 받게 된다. 그 사람 이름을 듣자마자 링컨은 당장에 거절했다. 이유는 “얼굴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비서관이 의아한 표정으로 반문한다. “하지만 그 사람은 책임이 없지 않습니까? 얼굴이야 부모가 만들어 준 것인데….” 링컨이 되받아쳤다. “아니오. 뱃속에서 나올 때는 부모가 만든 얼굴이지만 그 다음부터는 자신이 얼굴을 만드는 것입니다. 사람이 나이 마흔이 넘으면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합니다.”

와우! 과연 내 얼굴은 어떨까? 나는 어려서부터 우리 집에 마실 온 아낙들(맘 친구들)을 통해 “재철이는 웃는 상이야!”라는 말을 자주 들었다. 그래서인지 나는 잘 웃는다. 심각한 표정을 짓고 돌아다녀도 사람들은 “목사님은 항상 웃으시네요!”하는 것을 보면 마흔이 넘어 내가 만든 얼굴인지도 모른다. 형사였던 아버지는 식사 때면 얼굴이야기를 많이 하셨다. “오늘은 어떤 범인이 잡혔는데 생긴 것이 어떻고 그래서 이런 얼굴은 범죄형이 많다.”라는 식의 이야기였다. 그래서 그런지 어려서부터 사람을 보면 첫인상을 많이 살피는 편이고 용하게도 겪어보면 그것이 거의 들어맞는 경험을 자주한다.

20세기 프랑스 철학자 ‘사르트르’는 “인간사회는 얼굴이 지배한다.”고 했다. 얼굴엔 그 사람이 살아온 인생역정이 화석처럼 새겨져 있다. 얼굴이 그 사람의 자서전이라고 할까? 나는 복되게도 전 세계를 다니며 설교를 한다. 설교는 사람들의 얼굴을 살피며 하는 거룩한 작업(?)이다. 어언 40년 가까운 세월을 강단에 서다보니 사람들의 표정과 인상이 한눈에 들어온다. 그러니까 강단에 서면 분위기 파악이 거의 된다는 이야기다. 처음 예배에 참석하는 성도들의 얼굴은 어둡다. 한 주간 삶의 현장에서 허덕이다오니 피곤에 찌들어 있다. 그런데 설교를 들으며 사람들의 얼굴이 변한다. 예배를 드리고 나서 얼굴이 환해진 성도들과 악수를 나눌 때면 “목사가 참 잘 되었다.”는 생각을 그래서 자주 하게 된다.

“얼굴은 마음에 거울.”이다. 다른 것은 모르겠다. 얼굴이 밝아야 한다. 묻고 싶다. 내 가족의 얼굴이 어두운 것이 좋을까? 밝은 것이 좋을까? 물어보나 마나이다.사람의 얼굴에는 삼라만상이 있고 길흉화복이 깃들어 있다. 사람의 얼굴엔 과거 · 현재 · 미래가 들어있다. 결국 관상은 나의 상을 보는 것이 아니라 남의 ‘상’을 거울삼아 나의 인생을 되새겨 보는 것이다. 종교가 신을 찾아가는 길이라고 한다면 관상은 사람을 찾아가는 길이다.

한 관상가는 “‘측인법’이라고 하여 사람을 측량하듯 미루어 추측하고 헤아려서 잘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요즘 “관상성형”이란 말도 있는데 관상을 인위적으로 바꾼다는 것은 신의 영역이 아닐까? 결국 마음을 바꾸면 얼굴이 변한다. 꽃이 화려한 것 보다는 싱싱한 것이 더 좋다. 싱싱한 꽃보다 풋풋하며 자연적인 것이 더 좋은 향기와 빛깔을 보여 주는 법이다. 따라서 나이는 얼굴에 자취를 남기며 지나간다.

사람의 관상은 태어날 때 안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살아오며 지금 이 순간에도 만들어지고 있다. 그래서 삶이 무섭다는 것이다. 먼 훗날 내 얼굴에 그려질 표정들이 따뜻하고 넉넉하기를 바란다. 내 얼굴의 광채를 받고 아이들이 밝게 자라가고 나를 만나는 사람들이 내 얼굴 표정 때문에 한번 더 미소 지을 수 있다면 그는 실로 능력자이다. 바로 사람의 마음을 읽을 줄 아는 눈! 그것이 ‘관상’이다.


  1.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이 세상을 떠났다. 그를 재벌로 만든 원동력은 바로 롯데껌이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즐기던 껌 덕분에 그는 국내 재계 순위 5위 재벌이 되었다. 지금이야 껌의 종류도 다양하고, 흔하고 흔한 것이 껌이지만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껌은 ...
    Views26244
    Read More
  2. 다시 태어난다면

    부부는 참 신비하다. 처음 만나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할 때는 못죽고 못사는데 평생 평탄하게 사는 부부는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거의 세월의 흐름 속에 데면데면 밋밋한 관계가 된다. 누구 말처럼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이 고갈되어 그런 것인...
    Views24730
    Read More
  3. 모르는 것이 죄

    소크라테스는 “죄가 있다면 모르는 것이 죄”라고 했다. 의식 지수 400이 이성이다. 우리는 눈만 뜨면 화를 내며 산다. 다 알지 않는가? 화를 자주 내는 사람보다 전혀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이 더 무섭다는 것을. 한번 터지면 걷잡을 수 없다. 풀리...
    Views24240
    Read More
  4. 월남에서 돌아온 사나이

    2018년 봄. 후배 선교사로부터 집회요청을 받고 베트남을 방문하게 되었다. 베트남 행 비행기 안에서 초등학교 때 추억이 삼삼히 떠올랐다. 베트남? 우리가 어린 시절에는 월남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월남에서 전쟁이 터졌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 이야기...
    Views25808
    Read More
  5.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4811
    Read More
  6.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7035
    Read More
  7.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6915
    Read More
  8.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30053
    Read More
  9.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7554
    Read More
  10.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8820
    Read More
  11.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7675
    Read More
  12.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8240
    Read More
  13.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8673
    Read More
  14. 그래도 살아야 한다

    지난 14일. 배우 겸 가수인 설리(최진리)가 자택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나이 겨우 25살.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청춘은 우울증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청순하고 빼어난 미모, 평소 밝은 성격의 그녀가 자살한 것은 커다란 충...
    Views29784
    Read More
  15. 가을, 밀알의 밤

    어느새 가을이다. 낯선 2019년과 친해지려 애쓰던 것이 바로 어제 같은데 겨울을 거쳐 봄,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초록이 지쳐가고 있다. 여기저기 온갖 자태를 뽐내며 물들어 가는 단풍이 매혹적이기는 한데 애처로워 보이는 것은 내 기분 탓일까? 가을은 ...
    Views30055
    Read More
  16.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7655
    Read More
  17. 침묵 속에 버려진 청각장애인들

    “숨을 내쉬면서 혀로 목구멍을 막는 거야. ‘학’ 해 봐.” 6살 “별이”는 엄마와 ‘말 연습’을 하고 있다. 마주 앉은 엄마가 입을 크게 벌리고 “학”이라고 말하면 별이는 ‘하’ 아니면 &...
    Views31531
    Read More
  18.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7642
    Read More
  19.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8826
    Read More
  20.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876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