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66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아내_사랑.jpg

 

 

부부가 만나 한 평생을 살아가는 것은 신비롭고 신기한 일이다. 처음부터 잘 맞는 부부가 있다. 행운 중에 행운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부부는 많은 우여곡절을 겪으며 살아간다. 남들 보기에는 잉꼬부부이지만 들어가 보면 ‘속 터지는’(?) 가정이 의외로 많다.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 부부가 행복하게 사는 일인 것 같다.성경을 보면 하나님께서 남자에게서 갈빗대를 취하여 여자를 만드신다. 왜 많고 많은 뼈 중에 갈빗대일까? 갈빗대 아래에는 심장과 허파가 있다. 바로 생명이다.갈빗대 없이는 생명이 보장되지 않는다.

갈빗대는 뼈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뼈다. 그처럼 생명을 보호하는 중요한 뼈로 여자를 만드셨다. 남자가 반드시 여자를 사랑하여야 할 까닭이 여기에 있다. 남자가 여자를 사랑하는 것은 바로 자기 생명을 사랑하는 것이다. 여자는 남자의 생명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자를 보자마자 아담은 외쳤다.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에게서 취하신 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그를 아담에게로 이끌어 오시니 이르되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창 2:22-23)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란, '내 생명 중의 생명'이란 뜻이다. 따라서 내가 아내를 사랑하는 것은 나 자신을 사랑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아내와의 관계가 아름다울 때에 남자는 어디서나 당당하다. 그렇지 못하면 남자는 항상 우울하다. 자신감을 잃어버린다. 아내는 거울이다. 거울은 내 표정을 그대로 비추어준다.아내도 마찬가지이다. 내가 아내에게 사랑을 주면 그 사랑을 되돌려 준다. 내가 무관심하면 아내도 무관심으로 되갚는다.

아내는 마치 팝콘 기계와도 같다. 내가 사랑을 넣으면 그 사랑을 두 세배 증폭시켜 돌려준다. 무관심을 넣으면 그 이상에 증폭된 무관심을 뱉어 낸다. 증폭된 무관심은 결국 증오임을 남편들은 아는가? 아내는 사랑을 먹고 자라는 초원이다. 초원에 사랑의 단비를 쏟을 때 갖가지 꽃과 열매를 맺어준다. 길을 지나다가 정원을 잘 가꾼 집을 본다. 아름답다. 주인의 심성이 엿보인다. 가꾸지 않은 초원에는 잡초와 온갖 벌레들이 들끓는다. 아내에게 무관심하면 어느새 황폐하고 말라비틀어진 폐허가 되어버린다. 따라서 지혜로운 남자만이 아내를 사랑한다.

“너무 바빠서요!” 남편들은 그렇게 대답할지 모른다. 아니다. 사랑하지 않기 때문에 무관심한 것이다. 사랑하면 시간을 낸다. 온갖 이벤트도 준비한다. 그러면 이렇게 대답할지 모른다. “아닙니다. 여전히 아내를 사랑합니다. 우선 사는 것이 우선이기에 그러네요. 사실 제가 바삐 사는 것도 다 아내를 위한 것입니다.” 그럴듯한 말이다. 하지만 그것은 진실이 아니다. 사랑은 관심이다. 사랑하면 관심을 표하지 않고는 못 배긴다. 관심은 시간이다. 관심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시간이 따라가기 마련이다. 남편들이여! 그대가 아내와 처음 만나 교제할 때를 생각해 보라! 지금 거짓말을 하고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남편이 아내에게 무관심한 것은 바쁘기 때문이 아니다. 실은 아내보다 더 귀한 것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것이 운동일 수도 있고, 친구일 수도 있고, 사업일 수도 있고, 취미일 수도 있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 보라. 만약 내가 내일이라도 중병에 걸려 영영 병상에 누워 있어야 할 처지가 된다고 해보자. 도대체 누가, 무엇이 끝까지 나와 함께 하겠는가? 아마 6개월만 지나도 아니 그보다 먼저 내가 그토록 기다리는 친구들은 나를 기억조차 않을지도 모른다. 그 많은 사람들이 나를 다시 생각한다면 그것은 “내가 세상을 떠났다.”는 부고장을 받았을 때일 것이다. 사업도, 취미도, 돈도 더 이상 나의 벗이 되어 주지는 않는다.

이 세상 모든 것이 나를 버리고 떠나도, 끝까지 내 곁을 지키고 있을 사람은 오직 한 사람, 아내밖에 없다. 내가 이 세상을 떠나 관 속에 눕는 날, 나의 죽음을 진심으로 슬퍼할 사람도 아내뿐이다. 그리고 이 세상에 남아 내가 못다 이룬 뜻을 자식들의 삶 속에 심어 줄 사람도 아내뿐이다. 당부한다. 지금부터 진정으로 아내를 사랑하라! 내가 아내 사랑하기를 멈추지 않을 때, 아내는 내 사랑에 자신의 생명으로 보답할 것이다. 아내를 가꾸자. 쓰다듬자. 소중히 여기자. 아내의 기쁨을 위해 살자! 그 이상의 행복이 ‘팝콘’되어 내 가슴에 안길 것이다.


  1. 새해 2020

    새해가 밝았다. 2020. 뭔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신선한 이름이다. 사람은 언제 행복할까? 우선 주어진 기본욕구가 채워지면 행복하다. 문제는 그 욕구충족이 사람마다 다 다르다는 것이요, 나이가 들수록 그 한계가 점점 넓어지고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
    Views23634
    Read More
  2. 연날리기

    바람이 분다. 겨울이라 그런지 바람 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앙상한 나뭇가지를 훑어대며 내는 소리는 ‘앙칼지다’라고 밖에는 표현이 안된다. 내가 어릴 때는 집이 다 창호지 문이었다. 어쩌다 자그마한 구멍이라도 생기면 파고드는 칼바람의 위력...
    Views25871
    Read More
  3. 나를 잃는 병

    세상에서 가장 끔찍하고 무서운 병은 어떤 것일까? 알츠하이머? 치매가 아닐까? 자신은 행복할지 모르지만 가족들과 지인들을 안타깝고 힘들게 만드는 병. 얼마 전 명배우 윤정희 씨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그의 부군이자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
    Views25754
    Read More
  4. 가정이 무너지고 있다

    정신과 창구에 비친 한국 가족 위기의 실상은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려병원 신경정신과 이시형 박사가 “우리 가족 이대로 좋은가?”라는 발표를 들여다보며 그 사실을 실감한다. 먼저는 남편이 무너지고 있다. 우리가 어릴 ...
    Views28810
    Read More
  5. 삶은 경험해야 할 신비

    어느새 2019년의 끝이 보인다. 금년에도 다들 열심히 살아왔다. 수많은 위기를 미소로 넘기며 당도한 12월이다. 이제 달랑 한 장 남은 캘린더 너머에 숨어있는 2020년을 바라본다. 산다는 것은 참 신비한 일이다. 하지만 인생을 살아갈수록 사람들은 ‘...
    Views26199
    Read More
  6. 고통의 의미

    지난 주간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 했다. 고교시절부터 우정을 나누는 죽마고우 임 목사가 뇌졸증으로 쓰러졌다는 급보였다. 앞이 캄캄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서 만나 함께 뒹굴며 지내다 왔는데. 워낙 키와 덩치가 커서 고교 시절부터 씨름을 하던 친구여서 ...
    Views27575
    Read More
  7. 민들레 식당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과 ‘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 민들레처럼...
    Views26379
    Read More
  8. 노년의 행복

    요사이 노년을 나이로 나누려는 것은 촌스러운(?)일이다. 워낙 건강한 분들이 많아 노인이라는 말을 사용하기가 송구스럽다. 굳이 인생을 계절로 표현하자면 늦가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늙는 것이 서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삶의 수확을 거두는 시기가 노...
    Views26842
    Read More
  9. 최초 장애인 대학총장 이재서

    지난봄. 밀알선교단을 창립하고 이끌어오는 이재서 박사가 총신대학교 총장에 출마하였다는 소식에 접하게 되었다. 고개를 갸우뚱하였다. “대학교 총장?” 이제 은퇴를 하고 물러나는 시점인데 난데없이 총장 출마라니? 함께 사역하는 단장들도 다...
    Views27295
    Read More
  10. 그래도 살아야 한다

    지난 14일. 배우 겸 가수인 설리(최진리)가 자택에서 사체로 발견되었다. 그녀의 나이 겨우 25살.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한 청춘은 우울증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청순하고 빼어난 미모, 평소 밝은 성격의 그녀가 자살한 것은 커다란 충...
    Views28425
    Read More
  11. 가을, 밀알의 밤

    어느새 가을이다. 낯선 2019년과 친해지려 애쓰던 것이 바로 어제 같은데 겨울을 거쳐 봄, 여름이 지나가고 어느새 초록이 지쳐가고 있다. 여기저기 온갖 자태를 뽐내며 물들어 가는 단풍이 매혹적이기는 한데 애처로워 보이는 것은 내 기분 탓일까? 가을은 ...
    Views28676
    Read More
  12. 생각이 있기는 하니?

    생각? 사람들은 오늘도 생각을 한다. 아니 지금도 생각중이다. 그런데 정작 삶에는 철학도, 일관성도 없다. 그래서 누군가가 “넌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며 사냐?”라고 핀잔을 주면 “나도 나를 모르겠다.”고 대답을 한다. '나는 ...
    Views26448
    Read More
  13. 침묵 속에 버려진 청각장애인들

    “숨을 내쉬면서 혀로 목구멍을 막는 거야. ‘학’ 해 봐.” 6살 “별이”는 엄마와 ‘말 연습’을 하고 있다. 마주 앉은 엄마가 입을 크게 벌리고 “학”이라고 말하면 별이는 ‘하’ 아니면 &...
    Views30271
    Read More
  14. 사랑이란 무엇일까?

    오늘 우리는 왜 살고 있는가? 사랑 때문이다. 사랑을 하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할 수 없고,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죽지 못해 살아가게 된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난다. 한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사랑이 필...
    Views26292
    Read More
  15. No Image

    이름이 무엇인고?

    사람은 물론 사물에는 이름이 다 붙는다. 10년 전 고교선배로부터 요크샤테리아 한 마리를 선물 받았다. 원래 지어진 이름이 있었지만 온 가족이 마주 앉아 새로운 이름을 지어 주기로 하였다. 갑론을박 끝에 “쵸코”라는 이름이 나왔다. “...
    Views27454
    Read More
  16. 이혼 지뢰밭

    어린 시절에 명절은 우리의 꿈이었고 긴긴날 잠못자게 하는 로망이었다. 가을 풍경이 짙어진 고향산천을 찾아가는 기쁨, 집안사람들을 모두 만나는 자리, 또래 친척 아이들을 만나 추억을 만드는 동산, 모처럼 산해진미를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기 때문...
    Views27379
    Read More
  17. 시각장애인의 찬양

    장애 중에 눈이 안 보이는 어려움은 가장 극한 고통일 것이다. 그러나 시각장애인 중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존경의 대상이 될 만한 인물들이 속속 배출된 것을 보면 고난은 오히려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끈질긴 내성을 키워내는 것 같다. 한국이...
    Views27650
    Read More
  18. 칭찬에 배가 고팠다

    어린 시절 가장 부러운 것이 있었다. 부친을 “아빠”라고 부르는 친구와 아빠에게 칭찬을 듣는 아이들이었다. 라디오 드라마(당시에는 TV가 없었음)에서는 분명 “아빠”라고 하는데 우리 집에서는 항상 “아부지”라고 불러...
    Views28649
    Read More
  19. 늘 푸른 인생

    한국 방송을 보다보면 나이가 지긋한 분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늘어나는 것을 본다. 부부가 출연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때로는 홀로 나오기도 한다. “인생살이”에 대한 진솔한 대담은 현실적 삶의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나이 드신 ...
    Views28352
    Read More
  20. 핸드폰 없이는 못살아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의 손에는 핸드폰이 들려 있는 시대가 되었다. 모든 세대를 초월하여 핸드폰 없이는 사는 것 자체가 의미 없는 세상이 된 것 같다. 눈을 뜨면서부터 곁에 두고 사는 새로운 가족기기가 탄생한 것이다. 이제는 기능도 다양해져서 통화영역...
    Views3203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