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6.07.23 21:50

소금인형

조회 수 688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SEA.jpg

 

 인도의 엔소니 드 멜로 신부가 쓴 ‘소금 인형’이야기가 있다. 소금으로 만들어진 인형이 하나 있었다. 인형은 어느 날 자신이 누구인지 궁금해졌다. ‘자신이 태어나고 자신이 누구인지 알 수 있는 곳’을 향해 소금 인형은 무작정 길을 떠나게 된다. 그렇게 걷다가 걷다가 바위에게 물었다. "바위야, 넌 내가 누구인지 아니?" 바위는 대답하기를 "아니, 하지만 저 앞에 있는 나무는 알꺼야." 소금인형은 나무에게 가서 물었다. "나무야, 넌 내가 누구인지 아니?" 나무는 "아니, 하지만 저 하늘에 있는 해는 알꺼야."라고 한다.

 

 소금인형은 해에게 가서 물었다. "해야, 넌 내가 누구인지 아니?" 해는 "아니, 하지만 지나가는 바람은 알꺼야." 소금인형은 지나가는 바람에게 물었다. "바람아, 넌 내가 누구인지 아니?" 바람은 "아니, 하지만 저기 있는 바다는 알꺼야." 또다시 들을 지나고 산을 넘는다. 강을 건너고 수많은 날을 걸어서 도착한 곳은 아무도 없는 바다였다. 소금 인형의 눈앞에는 오직 바다만 보일 뿐이었다. 그래서 바다에게 묻는다. “바다야, 너는 내가 누구인지 아니?”

 

 소금 인형을 물끄러미 바라보던 바다가 소금인형을 보고 말한다. “말로 너를 설명하기는 곤란해. 직접 네가 내 안에 들어와 보면 알 수 있어.” 그 말에 '소금인형'은 살며시 왼쪽 발을 바닷물에 담궈 보았다. 그러자 왼쪽 발이 사라져 버렸다. 깜짝 놀라 도망가려는 소금인형에게 바다가 말린다. “겁먹지 말고 조금만 더 들어와 봐! 그러면 정말 네가 누군지 알 수 있어” '소금 인형'은 겁이 났지만 바다의 말을 믿고 오른쪽 발도 집어넣었다. 그랬더니 이제는 오른쪽 발도 사라져 버렸다.

 

 바다에 닿는 즉시 자신의 형체가 없어져 버린 '소금 인형'은 두발을 잃어 도망칠 수 없게 되자 용기를 내어 돌이키게 된다. 바다가 일러 준대로 천천히 조심스럽게 오른팔과 왼팔을, 그리고 자신의 얼굴까지 바다 속으로 집어넣었다. 소금인형은 마침내 아주 작은 알갱이 하나로 남게 되었다. 그 작은 알갱이 하나마저 사라지려고 하는 순간 '소금 인형'은 환희에 찬 목소리로 소리를 질렀다. “그래, 이제 알겠어. 나는 바다였어, 내가 이제야 바다가 되었구나!” 소금인형은 그렇게 처음 자신이 태어났던 바다로 돌아가게 된다.

 

 소금 인형이 자신을 찾는 과정 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물음’이었다. 한국의 교육은 오로지 주입식이다. 질문을 자주하는 아이는 금방 왕따를 당한다. 가르치는 대로 조용히 받아들이는 아이가 대우를 받는다. 발명왕 “에디슨”이 처음 수학을 접하며 가진 질문은 “왜 1+1=2일까?”였다. ‘하나는 하나밖에 없어서 하나일 터인데 어디 또 하나가 있어 더해질 수 있을까?’ 이 수수께끼를 풀어가며 에디슨은 드디어 발명왕의 경지에 이른다.

 

 나는 대학교 1학년에 만난 “철학개론”에서 마음이 불편했다. 흘려들을 수 있는 것에 의미를 부여하려 애쓰는 철학이 마음에 거슬렸다. 하지만 이제는 안다. 그 질문 속에서 삶의 보화가 드러난다는 것을. 나는 학창시절부터 질문대장이었다. 그것은 아버지가 해 주신 “한번 부끄러우면 영원히 행복하지만 그것을 넘어서지 못하면 영원히 부끄럽게 산다.”는 말씀 때문이었다. 그런데 나이가 조금씩 들어가면서 '물음'을 잃어버렸다. 근본은 보지 못하고, 적절한 '해법'만 찾으며 사는 나를 발견하고 스스로 놀랐다.

 

 

 '물음'은 감격에서 나온다. 작은 것에 감동하고 호기심을 갖는데서 질문이 나오는 것이다. 주변의 모든 것이 신기하고 의문투성이인 어린아이의 마음을 가져야 질문이 생겨난다. 질문은 생각을 깊이하게 만들고 결국 행동으로 삶을 이끈다. 삶은 경험이다. 소금인형이 바다를 깊이 경험 할 때에 바다자신이 될 수 있었다. 깊이 가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은 영적존재이다. 영적 세계 속에 깊이 들어가는 것을 두려워하는 사람이 있다. 그래서 참 평안과 기쁨을 놓쳐버린 채 바람을 잡으며 살고 있다.

 

 깊이 있는 삶을 살자!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보아야 사랑스럽다. 너도 그렇다. 이름을 알고 나면 이웃이 되고, 색깔을 알고 나면 친구가 되고, 모양까지 알고 나면 연인이 된다.”(“풀꽃”-시인 나태주)

 

 


  1. 시각장애인의 찬양

    장애 중에 눈이 안 보이는 어려움은 가장 극한 고통일 것이다. 그러나 시각장애인 중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존경의 대상이 될 만한 인물들이 속속 배출된 것을 보면 고난은 오히려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끈질긴 내성을 키워내는 것 같다. 한국이...
    Views29105
    Read More
  2. 칭찬에 배가 고팠다

    어린 시절 가장 부러운 것이 있었다. 부친을 “아빠”라고 부르는 친구와 아빠에게 칭찬을 듣는 아이들이었다. 라디오 드라마(당시에는 TV가 없었음)에서는 분명 “아빠”라고 하는데 우리 집에서는 항상 “아부지”라고 불러...
    Views30169
    Read More
  3. 늘 푸른 인생

    한국 방송을 보다보면 나이가 지긋한 분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늘어나는 것을 본다. 부부가 출연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때로는 홀로 나오기도 한다. “인생살이”에 대한 진솔한 대담은 현실적 삶의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나이 드신 ...
    Views29775
    Read More
  4. 핸드폰 없이는 못살아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의 손에는 핸드폰이 들려 있는 시대가 되었다. 모든 세대를 초월하여 핸드폰 없이는 사는 것 자체가 의미 없는 세상이 된 것 같다. 눈을 뜨면서부터 곁에 두고 사는 새로운 가족기기가 탄생한 것이다. 이제는 기능도 다양해져서 통화영역...
    Views33784
    Read More
  5. 부부의 사랑은~

    아이들은 혼자서도 잘 논다. 그러다가 친구를 알고 이성에 눈을 뜨며 더 긴밀한 관계를 알아차리게 된다. 사춘기에 다가서는 이성은 등대처럼 영롱하게 빛으로 파고든다. 청춘에 만난 남 · 녀는 로맨스와 위안, 두 가지만으로 충분하다. 눈을 감고 내 ...
    Views28214
    Read More
  6. 장애인들의 행복한 축제

    어느새 27회를 맞이한 밀알 사랑의 캠프(25일~27일)가 막을 내렸다. 실로 역동적인 캠프였다. 마지막 날은 언제나 그렇듯이 눈물을 가득 담고 곳곳을 응시하며 다녀야 했다. 철없는 10대 Youth 친구들이 장애아동들을 돌보는 모습 자체가 감동으로 다가오기 ...
    Views32073
    Read More
  7. 쾌락과 기쁨

    사람들은 만나면 인사를 한다. “요즈음 재미 좋으세요?” 재미, 복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한마디로 사는 맛이 있느냐는 것이다. 대답은 갈라진다. “그저, 그렇지요.” 내지는 “예, 좋습니다.” 사실 사람은 재미를 찾아 ...
    Views35253
    Read More
  8. 나에게 영성은…

    같은 인생을 살면서도 눈앞만 보고 걷는 사람이 있고, 내다보고 사는 인생이 있다. 중학교 동창 중에 희한한 친구가 있다. 남들은 공부를 열심히 해서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좋은 대학교에 가는 것을 목표로 살아가고 있을때에 미국을 품는다. 벼...
    Views31132
    Read More
  9. 밤나무 & 감나무

    나무마다 생긴 모양도 다르고 맺는 열매도 다양하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생김새가 다르듯 성향도 다 각각이다. 그것이 사람의 매력이다. 나무와 비교해 보자. 밤나무는 밤나무대로, 감나무는 나름대로 개성과 멋을 풍기며 자라고 열매를 맺는다. 밤나무는 ...
    Views32699
    Read More
  10. 죽음과의 거리

    지난 주간 우리는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만 했다. 젊은 목회자 가정에 불어 닥친 교통사고 소식에 모두는 말을 잃었다. 얼마나 큰 사고였으면 온 식구가 병원에 실려가야했고, 그 충격으로 세 자녀 중에 막내 딸은 결국 숨을 거두고 말았다. 겨우 5살 나이에...
    Views33129
    Read More
  11. 생각의 시차

    한국의 지인에게 전화를 할라치면 반드시 체크하는 것이 있다. ‘지금, 한국은 몇시지?’ 시차이다. 같은 지구별에 사는데 미국과 한국과는 13시간이라는 차이가 난다. 여기는 밤인데 한국은 대낮이고, 한창 활동하는 낮이면 반대로 한국은 한밤중...
    Views29955
    Read More
  12. 냄새

    누구나 아침에 눈을 뜨면 냄새를 느끼며 하루를 시작한다. 날씨, 온도, 집안분위기를 냄새로 확인한다. 저녁 무렵 주방에서 풍겨 나오는 냄새를 맡으며 식탁의 기쁨을 기대한다. 아내는 음식솜씨가 좋아 움직이는 소리만 나도 기대가 된다. 나는 계절을 냄새...
    Views32058
    Read More
  13. 야매 부부?

    지금은 오로지 장애인사역(밀알)을 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목회를 하면서 가정 사역을 하며 많은 부부를 치유했다. 결혼을 하고 마냥 행복했다. 먼저는 외롭지 않아서 좋았고 어여쁘고 착한 아내를 만났다는 것이 너무도 신기하고 행복했다. 하지만 허니문이...
    Views30634
    Read More
  14. 끝나기 전에는 끝난 것이 아니다

    인생을 살다보면 평탄한 길만 가는 것이 아니다. 험산 준령을 만날 때도 있고 무서운 풍파와 생각지 않은 캄캄한 밤을 지날 때도 있다. 그런 고통의 시간을 만날 때 사람들은 좌절한다. “이제는 끝이라”고 생각하고 포기 해 버린다. 이 땅에는 성...
    Views31321
    Read More
  15. 상큼한 백수 명예퇴직

    부지런히 일을 하며 달리는 세대에는 쉬는 것이 작은 소망이다. ‘언제나 일에서 자유로워져서 쉴 수 있을까?’ 젊은 직장인들의 한결같은 하소연이다. 해서 내 오랜 친구는 50에 접어들며 이런 넋두리를 했다. “재철아, 난 일찍 은퇴하고 싶...
    Views30952
    Read More
  16. 봄날은 간다

    봄은 보여서 봄이다. 겨울의 음산한 기운에 모든 것이 눌려 있다가 대기에 따스한 입김이 불기 시작하면 곳곳에서 생명이 움트기 시작한다. 숨어있던 모든 것들이 서서히 존재를 드러내는 것이다. 실로 봄은 모든 것을 보게 한다. 아지랑이의 어른거름이 아름...
    Views31728
    Read More
  17. 어린이는 "얼인"이다!

    5월은 가정의 달이요, 5일은 어린이 날이다. “어린이날”을 손꼽아 기다리던 때가 있었다. 어린이날은 왠지 모든 면에서 너그러웠기 때문이다. 어른들도 야단치는 것을 그날만은 자제하는 듯 했다. 화려하진 않았지만 어린이날은 우리에게 꿈을 주...
    Views33072
    Read More
  18. 장모님을 보내며

    수요일 오후 급보가 날아들었다. 근간 몇 년 동안 숙환으로 고생하시던 장모님이 하나님의 부름을 받은 것이다. 난감한 것은 월요일에 중요한 행사를 앞두고 있었다. 장모님이기에 한국에 나가긴 해야 하는데 너무도 부담스러웠다. 월요일 뉴욕에서 열리는 행...
    Views32441
    Read More
  19. No Image

    아빠, 내 몸이 할머니 같아

    장애인사역을 하면서 가장 가슴이 아플 때는 희귀병을 앓는 장애인을 만날 때이다. 병명도 원인도 모른 채 고통당하는 아이를 바라보는 부모와 가족들은 커다란 멍에를 지고 가는 듯 한 고통을 감내해야만 한다. 2개의 희귀질병 앓고 있는 김새봄 양. 대학입...
    Views31206
    Read More
  20. 혹시 중독 아니세요?

    사람은 누구나 무엇엔가 사로잡혀 산다. 문제는 “얼마나 바람직한 것에 이끌려 사느냐?” 하는 것이다. 사로잡혀 사는 측면이 부정적일 때 붙이는 이름이 있다. 바로 중독이다. 중독이란 말이 들어가면 어떤 약물, 구체적인 행동을 통제할 수 없어...
    Views3316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