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83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휠체어_장애인.jpg

 

 

나는 장애인이다. 모두가 그렇듯이 나도 귀한 가정에 아들로 태어났다. 아들을 둘이나 낳았지만 갓난아기 때 병으로 다 잃어버리고, 딸을 낳아 기르다가(누나)내가 태어났으니 부모님은 얼마나 기뻐하셨을까? 하지만 돌이 지나며 ‘소아마비’에 걸려 나는 오른쪽 다리를 제대로 쓰지 못하는 장애인이 되었다. “아들이 장애인이 되었다.”는 사실이 고통스러우셨던지 아버지는 전쟁고아를 데려다가 수양아들로 기르셨다. 의붓 형의 이름은 ‘은경’이었다.

‘은경’ 형을 통해 내가 장애인이 된 것에 대한 아쉬움을 달래려고 하셨던 것 같다. 그러나 머리가 커지며 은경이 형은 새처럼 훨훨 날아가 버렸다. 지금은 어느 하늘 아래 살고 있는지 모르지만 초등학교 3학년 때인가? 한 밤중에 싸리나무 울타리 사이로 파인애플 통조림을 놓고 어머니와 한참을 울다 간 모습 밖에는 은경이 형에 대한 기억은 전혀 없다.

워낙 몸이 약했던 나는 같은 또래의 아이들이 걷고 뛰어 다닐 시기에도 기어 다녀야만 했다. 6살 때 까지 나는 세브란스 병원에서 소독약 냄새를 맡으며 살아야했다. 눈만 뜨면 들어오는 담쟁이 넝쿨에 익숙해져 갈 때 겨우 그곳을 벗어날 수 있었다. 어린 시절, 동네 한복판을 지나 갈 때면 아이들은 나를 그냥 보내는 법이 없었다. 다리 저는 흉내를 내며 가까이 와서 약을 올리고, 머리를 툭툭 건드리며 짖굿게 괴롭혀댔다. 그래도 동네를 벗어나면 난 하늘을 보고 웃었다. 눈에는 눈물이 가득한 채로.

“이 순경 아들”. 이것이 나의 다른 호칭이었다. 어느 날 “남 순경”이란 분이 아버지가 근무하는 지소(지금의 파출소)로 전근을 오셨다. 아들은 나와 동갑내기였고 그 밑에 딸이 있었는데 장애아였다. 지금생각해 보면 다리 뿐 아니라 손까지 장애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뇌성마비(뇌병변)었던것 같다. 그 아이가 나를 몹시 따랐다. 얼굴은 아주 예쁜 편이었다. 하지만 침을 흘리고 손까지 꼬며 내 곁에 다가오는 것이 나는 싫었다. 그 아이가 엄마와 함께 우리 집에 올라치면 난 어디론가 사라져버렸다. 정말 그 아이를 만나는 것이 싫었다.

중학교 시절, 2년 선배 중에 장애인 형이 있었다. 소아마비 장애를 가진 그 형은 나보다 장애가 심해 목발을 짚고 다녔다. 밴드부에서 드럼을 쳤는데 실력이 놀라웠다. 장애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 형은 깡패였다. 서울에 가서 목발 돌리는 기술을 익혔다고 하던가! 싸움을 하면 목발을 이용 해 상대를 무차별 가격했다.그 형은 나를 무척 좋아했다. 그 형 덕분에 그 누구도 나를 건드리지 못했다. 마주치면 불러서 좋은 이야기도 많이 해 준 것 같은데 정작 난 그 형이 가까이 오는 것조차 싫었다.

20여년이 흐른 후 중학교 동창들과 만나자마자 그 형의 소식을 물었더니 “자살했다”는 말을 전해 듣고 얼마나 가슴이 아팠는지 모른다. 필자는 특수학교를 다니지 않았다. 초등학교부터 대학원까지 비장애인들과 더불어 일반 학교를 다녔다. 장애가 있지만 장애인라고 생각도 안했고, 장애인이 싫었다. 대학원에 다닐 때도 장애를 가진 전도사님을 만났다. 나이도 연배인지라, 나만 만나면 위로가 되고 힘이 되는 이야기를 많이 해주었다. 하지만 난 그분의 말을 들으면서도 “당신과 나는 다르다”고 생각하며 주의 깊게 이야기를 듣지 않았다.

소명을 받고 목사가 되어 목회를 하면서도 나는 장애인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었다. 소위 특수 목회는 생각도 못했다. 일반 목회에 성공하는 것을 생의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어느 날 그분은 내 목회의 방향을 완전히 틀어버리셨다. 장애인들을 위해 살지 않고는 견디지 못하도록 강권적인 역사를 나타내셨다. 그 과정에서 드렸던 기도는 가슴의 목회였다. 장애인들을 만난다는 것이 두려웠지만 그 분은 내 가슴을 여시고 하나 둘 장애인들을 만나게 하셨다. 그리고 경험한 또 다른 환희와 기쁨! 장애인으로 장애인을 만난다는 것이 이렇게 편안할 줄이야! 속마음을 나누고 장애를 가지고 살아야 하는 아픔을 함께 나눌 때에 우리는 어느새 한 가족이 되는 것을 느낀다. 이제는 안다. 왜 그리 오랜 세월을 장애의 아픔을 가지고 울어야했는지! 왜 하늘을 보며 웃으며 그 골짜기를 지나야만 했는지! 난 장애인이 좋다. 장애인들이 예쁘다. 특수 우주복을 입고 한 세상을 살아가는 그들이야말로 시냇가에 심은 나무처럼 아름답지 않은가!


  1. 부부의 사랑은~

    아이들은 혼자서도 잘 논다. 그러다가 친구를 알고 이성에 눈을 뜨며 더 긴밀한 관계를 알아차리게 된다. 사춘기에 다가서는 이성은 등대처럼 영롱하게 빛으로 파고든다. 청춘에 만난 남 · 녀는 로맨스와 위안, 두 가지만으로 충분하다. 눈을 감고 내 ...
    Views26684
    Read More
  2. 장애인들의 행복한 축제

    어느새 27회를 맞이한 밀알 사랑의 캠프(25일~27일)가 막을 내렸다. 실로 역동적인 캠프였다. 마지막 날은 언제나 그렇듯이 눈물을 가득 담고 곳곳을 응시하며 다녀야 했다. 철없는 10대 Youth 친구들이 장애아동들을 돌보는 모습 자체가 감동으로 다가오기 ...
    Views30547
    Read More
  3. 쾌락과 기쁨

    사람들은 만나면 인사를 한다. “요즈음 재미 좋으세요?” 재미, 복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한마디로 사는 맛이 있느냐는 것이다. 대답은 갈라진다. “그저, 그렇지요.” 내지는 “예, 좋습니다.” 사실 사람은 재미를 찾아 ...
    Views33668
    Read More
  4. 나에게 영성은…

    같은 인생을 살면서도 눈앞만 보고 걷는 사람이 있고, 내다보고 사는 인생이 있다. 중학교 동창 중에 희한한 친구가 있다. 남들은 공부를 열심히 해서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좋은 대학교에 가는 것을 목표로 살아가고 있을때에 미국을 품는다. 벼...
    Views29697
    Read More
  5. 밤나무 & 감나무

    나무마다 생긴 모양도 다르고 맺는 열매도 다양하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생김새가 다르듯 성향도 다 각각이다. 그것이 사람의 매력이다. 나무와 비교해 보자. 밤나무는 밤나무대로, 감나무는 나름대로 개성과 멋을 풍기며 자라고 열매를 맺는다. 밤나무는 ...
    Views31170
    Read More
  6. 죽음과의 거리

    지난 주간 우리는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만 했다. 젊은 목회자 가정에 불어 닥친 교통사고 소식에 모두는 말을 잃었다. 얼마나 큰 사고였으면 온 식구가 병원에 실려가야했고, 그 충격으로 세 자녀 중에 막내 딸은 결국 숨을 거두고 말았다. 겨우 5살 나이에...
    Views31563
    Read More
  7. 생각의 시차

    한국의 지인에게 전화를 할라치면 반드시 체크하는 것이 있다. ‘지금, 한국은 몇시지?’ 시차이다. 같은 지구별에 사는데 미국과 한국과는 13시간이라는 차이가 난다. 여기는 밤인데 한국은 대낮이고, 한창 활동하는 낮이면 반대로 한국은 한밤중...
    Views28465
    Read More
  8. 냄새

    누구나 아침에 눈을 뜨면 냄새를 느끼며 하루를 시작한다. 날씨, 온도, 집안분위기를 냄새로 확인한다. 저녁 무렵 주방에서 풍겨 나오는 냄새를 맡으며 식탁의 기쁨을 기대한다. 아내는 음식솜씨가 좋아 움직이는 소리만 나도 기대가 된다. 나는 계절을 냄새...
    Views30467
    Read More
  9. 야매 부부?

    지금은 오로지 장애인사역(밀알)을 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목회를 하면서 가정 사역을 하며 많은 부부를 치유했다. 결혼을 하고 마냥 행복했다. 먼저는 외롭지 않아서 좋았고 어여쁘고 착한 아내를 만났다는 것이 너무도 신기하고 행복했다. 하지만 허니문이...
    Views29118
    Read More
  10. 끝나기 전에는 끝난 것이 아니다

    인생을 살다보면 평탄한 길만 가는 것이 아니다. 험산 준령을 만날 때도 있고 무서운 풍파와 생각지 않은 캄캄한 밤을 지날 때도 있다. 그런 고통의 시간을 만날 때 사람들은 좌절한다. “이제는 끝이라”고 생각하고 포기 해 버린다. 이 땅에는 성...
    Views29719
    Read More
  11. 상큼한 백수 명예퇴직

    부지런히 일을 하며 달리는 세대에는 쉬는 것이 작은 소망이다. ‘언제나 일에서 자유로워져서 쉴 수 있을까?’ 젊은 직장인들의 한결같은 하소연이다. 해서 내 오랜 친구는 50에 접어들며 이런 넋두리를 했다. “재철아, 난 일찍 은퇴하고 싶...
    Views29505
    Read More
  12. 봄날은 간다

    봄은 보여서 봄이다. 겨울의 음산한 기운에 모든 것이 눌려 있다가 대기에 따스한 입김이 불기 시작하면 곳곳에서 생명이 움트기 시작한다. 숨어있던 모든 것들이 서서히 존재를 드러내는 것이다. 실로 봄은 모든 것을 보게 한다. 아지랑이의 어른거름이 아름...
    Views30271
    Read More
  13. 어린이는 "얼인"이다!

    5월은 가정의 달이요, 5일은 어린이 날이다. “어린이날”을 손꼽아 기다리던 때가 있었다. 어린이날은 왠지 모든 면에서 너그러웠기 때문이다. 어른들도 야단치는 것을 그날만은 자제하는 듯 했다. 화려하진 않았지만 어린이날은 우리에게 꿈을 주...
    Views31593
    Read More
  14. 장모님을 보내며

    수요일 오후 급보가 날아들었다. 근간 몇 년 동안 숙환으로 고생하시던 장모님이 하나님의 부름을 받은 것이다. 난감한 것은 월요일에 중요한 행사를 앞두고 있었다. 장모님이기에 한국에 나가긴 해야 하는데 너무도 부담스러웠다. 월요일 뉴욕에서 열리는 행...
    Views30865
    Read More
  15. No Image

    아빠, 내 몸이 할머니 같아

    장애인사역을 하면서 가장 가슴이 아플 때는 희귀병을 앓는 장애인을 만날 때이다. 병명도 원인도 모른 채 고통당하는 아이를 바라보는 부모와 가족들은 커다란 멍에를 지고 가는 듯 한 고통을 감내해야만 한다. 2개의 희귀질병 앓고 있는 김새봄 양. 대학입...
    Views29669
    Read More
  16. 혹시 중독 아니세요?

    사람은 누구나 무엇엔가 사로잡혀 산다. 문제는 “얼마나 바람직한 것에 이끌려 사느냐?” 하는 것이다. 사로잡혀 사는 측면이 부정적일 때 붙이는 이름이 있다. 바로 중독이다. 중독이란 말이 들어가면 어떤 약물, 구체적인 행동을 통제할 수 없어...
    Views31674
    Read More
  17.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니다

    봄이 성큼 다가서고 있다. 미주 동부는 정말 아름답다. 무엇보다 사계절이 뚜렷한 것이 커다란 매력이다. 서부 L.A.를 경험한 나는 처음 필라델피아를 만났을 때에 숨통이 트이는 시원함을 경험했다. 계절은 인생과 같다. 푸릇푸릇한 봄 같은 시절을 지내면 ...
    Views32462
    Read More
  18. 가위, 바위, 보 인생

    누구나 살아오며 가장 많이 해 온 것이 가위 바위 보일 것이다. 누가 어떤 제의를 해오던 “그럼 가위 바위 보로 결정하자”고 손을 내어민다. 내기를 하거나 순서를 정할 때에도 사람들은 손가락을 내어 밀어 가위 바위 보를 한다. 모두를 승복하...
    Views35021
    Read More
  19. 절단 장애인 김진희

    인생을 살다보면 벼라 별 일을 다 겪게 된다. 영화나 드라마에나 나올법한 일이 현실로 닥쳐올 때에 사람들은 흔들린다. 그것도 불의의 사고로 뜻하지 않은 장애를 입으면 당황하고 좌절한다. 나처럼 아예 갓난아이 때 장애를 입은 사람은 체념을 통해 현실을...
    Views32626
    Read More
  20. 별밤 50년

    우리는 라디오 세대이다. 당시 TV를 소유한 집은 부유의 상징일 정도로 드물었다. 오로지 라디오를 의지하며 음악과 드라마, 뉴스를 접하며 살았다. 내 삶을 돌아보면 가장 고민이 많았던 때가 고교시절이었던 것 같다. 그때 다정한 친구처럼 다가온 것이 심...
    Views3034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