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06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황소고집.jpg

 

 

사람들은 말한다. “나는 고집이 별로 없어!” 그런데 그를 아는 사람들은 “그 사람 고집이 쇠 힘줄이야!”라고 한다. 하도 오래되어서 이젠 우리 부부가 ‘가정사역자’라고 말하기도 민망하지만 부부들에게 물어보면 “저는 고집 없어요!”라고 대답을 한다. 그런데 정작 상대에게 물어보면 “저 사람 고집 때문에 살기 힘들다.”고 말한다. 그러고 보면 고집이 없는 사람은 없는 것 같다. 정말 고집이 없는 사람은 “착한 사람 콤플렉스”에 걸린 사람일 수 있다. 외향적인 사람은 대놓고 고집을 부리고, 내향적인 사람은 안보이게 특유의 고집으로 사람들을 힘들게 한다.

사람들은 보통 “최씨”성을 가진 분들이 고집이 세다고 한다. “최 씨가 한번 앉았다 일어나면 3년 동안 풀이 안 난다.”나. 그런데 아니다. “안. 강. 최”다. ‘안씨’고집이 최고라는 말이다. ‘최씨’가 고집 센 사람이 된 것도 안씨가 “‘최씨’가 제일 고집이 세다.”고 우겨서 생겨난 말이라는 속설이 있다. 고집이 필요 없다는 말이 아니다. 살면서 고집은 필요하다. 이 말에도 ‘흥’ 저 말에도 ‘흥’하는 사람보다야 주관이 뚜렷한 사람이 훨씬 낫다. 소위 “장인”이라는 분들의 고집은 대단하다. 전통 가구, 음식, 무형문화재의 주인공들. 그 고유의 것을 지키려는 고집은 존경스러울 만큼 눈물겹다.

문제는 쓸데없는 고집이다. 굳이 고집을 부리지 않아도 될 일을 끝까지 우겨 분위기를 망가뜨리고 낭패를 보고야 만다. 엄청난 폐해를 끼치고야 손을 든다. 그 고집 때문에 가정이 불안하고 공동체의 순조로운 흐름을 방해한다. 가만히 보면 사람들이 망하는 이유는 두 가지 인데 하나는 “몰라서”(無知)이고, 다른 하나는 고집 때문이다. 무지로 인해 우리 민족은 얼마나 고통스러운 삶을 살았는가? 그런데 그보다 더 큰 해악은 고집이다. 어느 정도하다말면 그만인 것을 끝까지 고집을 피우다 망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배 한 척이 칠흑 같은 어둠을 헤치며 항해를 하고 있었다. 갑자기 선장의 눈앞에 밝은 불빛이 나타났다. 그대로 가다간 그 불빛과 충돌할 가능성이 높았다. 선장은 급히 무선장치로 달려가 상대편 선박에 “항로를 동쪽으로 10도 돌리라.”는 긴급 메시지를 보냈다. 몇 초 후에 메시지가 돌아왔다. “그럴 수 없소. 당신들이 항로를 변경하시오.” 화가 난 선장은 다시 암호문을 보냈다. “나는 해군 함장이다. 그러니 당신이 항로를 변경하라.” 몇 초 후에 두 번째 메시지가 돌아왔다. “저는 이등수병이지만 방향을 바꿀 수 없습니다. 그쪽이 항로를 바꿔야 합니다.” 함장은 화가 머리꼭대기까지 솟아 최후통첩을 보냈다. “이 배는 전함이다! 우리는 항로를 바꿀 수 없다! 불응하면 발포하겠다.” 그러자 퉁명스러운 메시지가 돌아왔다. “그럼 마음대로 하십시오! 여기는 ‘등대’(燈臺)니까요.”

안 되는 것을 고집하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다. 과거에는 집안마다 형제가 많았다. 우리 세대만해도 최소한 3명에서 7남매, 10남매까지 자녀를 낳았다. 형제가 많다보니 다양하기 이를 데 없었다. 실로 바람 잘 날이 없을 정도로 사건사고(?)가 많았다. 그런데 그런 와중에 아이들은 가정에서 사회를 배우고 관계를 터득했다.어느 정도 고집을 부려야 돌아오는 것이 있고, 그 도를 벗어나면 ‘매를 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런데 요사이는 핵가족 시대이다. 많아야 셋이고 거의 둘이나 독자 세상이다. 그러니 내 자식이 귀할 수밖에.

아이가 고집을 부리면 부모는 어쩔 수 없이 따라가는 세상이 되었다. 고집이 무서운 것은 지나치면 교만과 통하기 때문이다. 고집을 부리는 이유를 들어가 보면‘나 정도면 이 정도의 권리나 대우는 받아야 한다.’는 위험한 논리가 숨어있다. 자칫 잘못하면 안하무인의 아이로 양육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전혀 손해를 보지 않으려는 아이는 외골수가 되어갈 수밖에 없고 결국 고집스러운 인격을 가지게 된다.

우유부단한 사람보다는 소신이 있는 사람이 좋다. 하지만 소신이 고집이 되고 주위사람들을 힘들게 한다면 그 고집은 접어야 한다. ‘적당한 고집’-이것이 인생을 살아가는 예술이 아닐까?


  1. 부부의 사랑은~

    아이들은 혼자서도 잘 논다. 그러다가 친구를 알고 이성에 눈을 뜨며 더 긴밀한 관계를 알아차리게 된다. 사춘기에 다가서는 이성은 등대처럼 영롱하게 빛으로 파고든다. 청춘에 만난 남 · 녀는 로맨스와 위안, 두 가지만으로 충분하다. 눈을 감고 내 ...
    Views26684
    Read More
  2. 장애인들의 행복한 축제

    어느새 27회를 맞이한 밀알 사랑의 캠프(25일~27일)가 막을 내렸다. 실로 역동적인 캠프였다. 마지막 날은 언제나 그렇듯이 눈물을 가득 담고 곳곳을 응시하며 다녀야 했다. 철없는 10대 Youth 친구들이 장애아동들을 돌보는 모습 자체가 감동으로 다가오기 ...
    Views30547
    Read More
  3. 쾌락과 기쁨

    사람들은 만나면 인사를 한다. “요즈음 재미 좋으세요?” 재미, 복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한마디로 사는 맛이 있느냐는 것이다. 대답은 갈라진다. “그저, 그렇지요.” 내지는 “예, 좋습니다.” 사실 사람은 재미를 찾아 ...
    Views33668
    Read More
  4. 나에게 영성은…

    같은 인생을 살면서도 눈앞만 보고 걷는 사람이 있고, 내다보고 사는 인생이 있다. 중학교 동창 중에 희한한 친구가 있다. 남들은 공부를 열심히 해서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좋은 대학교에 가는 것을 목표로 살아가고 있을때에 미국을 품는다. 벼...
    Views29697
    Read More
  5. 밤나무 & 감나무

    나무마다 생긴 모양도 다르고 맺는 열매도 다양하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생김새가 다르듯 성향도 다 각각이다. 그것이 사람의 매력이다. 나무와 비교해 보자. 밤나무는 밤나무대로, 감나무는 나름대로 개성과 멋을 풍기며 자라고 열매를 맺는다. 밤나무는 ...
    Views31173
    Read More
  6. 죽음과의 거리

    지난 주간 우리는 충격적인 소식을 접해야만 했다. 젊은 목회자 가정에 불어 닥친 교통사고 소식에 모두는 말을 잃었다. 얼마나 큰 사고였으면 온 식구가 병원에 실려가야했고, 그 충격으로 세 자녀 중에 막내 딸은 결국 숨을 거두고 말았다. 겨우 5살 나이에...
    Views31563
    Read More
  7. 생각의 시차

    한국의 지인에게 전화를 할라치면 반드시 체크하는 것이 있다. ‘지금, 한국은 몇시지?’ 시차이다. 같은 지구별에 사는데 미국과 한국과는 13시간이라는 차이가 난다. 여기는 밤인데 한국은 대낮이고, 한창 활동하는 낮이면 반대로 한국은 한밤중...
    Views28465
    Read More
  8. 냄새

    누구나 아침에 눈을 뜨면 냄새를 느끼며 하루를 시작한다. 날씨, 온도, 집안분위기를 냄새로 확인한다. 저녁 무렵 주방에서 풍겨 나오는 냄새를 맡으며 식탁의 기쁨을 기대한다. 아내는 음식솜씨가 좋아 움직이는 소리만 나도 기대가 된다. 나는 계절을 냄새...
    Views30467
    Read More
  9. 야매 부부?

    지금은 오로지 장애인사역(밀알)을 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목회를 하면서 가정 사역을 하며 많은 부부를 치유했다. 결혼을 하고 마냥 행복했다. 먼저는 외롭지 않아서 좋았고 어여쁘고 착한 아내를 만났다는 것이 너무도 신기하고 행복했다. 하지만 허니문이...
    Views29118
    Read More
  10. 끝나기 전에는 끝난 것이 아니다

    인생을 살다보면 평탄한 길만 가는 것이 아니다. 험산 준령을 만날 때도 있고 무서운 풍파와 생각지 않은 캄캄한 밤을 지날 때도 있다. 그런 고통의 시간을 만날 때 사람들은 좌절한다. “이제는 끝이라”고 생각하고 포기 해 버린다. 이 땅에는 성...
    Views29719
    Read More
  11. 상큼한 백수 명예퇴직

    부지런히 일을 하며 달리는 세대에는 쉬는 것이 작은 소망이다. ‘언제나 일에서 자유로워져서 쉴 수 있을까?’ 젊은 직장인들의 한결같은 하소연이다. 해서 내 오랜 친구는 50에 접어들며 이런 넋두리를 했다. “재철아, 난 일찍 은퇴하고 싶...
    Views29505
    Read More
  12. 봄날은 간다

    봄은 보여서 봄이다. 겨울의 음산한 기운에 모든 것이 눌려 있다가 대기에 따스한 입김이 불기 시작하면 곳곳에서 생명이 움트기 시작한다. 숨어있던 모든 것들이 서서히 존재를 드러내는 것이다. 실로 봄은 모든 것을 보게 한다. 아지랑이의 어른거름이 아름...
    Views30273
    Read More
  13. 어린이는 "얼인"이다!

    5월은 가정의 달이요, 5일은 어린이 날이다. “어린이날”을 손꼽아 기다리던 때가 있었다. 어린이날은 왠지 모든 면에서 너그러웠기 때문이다. 어른들도 야단치는 것을 그날만은 자제하는 듯 했다. 화려하진 않았지만 어린이날은 우리에게 꿈을 주...
    Views31593
    Read More
  14. 장모님을 보내며

    수요일 오후 급보가 날아들었다. 근간 몇 년 동안 숙환으로 고생하시던 장모님이 하나님의 부름을 받은 것이다. 난감한 것은 월요일에 중요한 행사를 앞두고 있었다. 장모님이기에 한국에 나가긴 해야 하는데 너무도 부담스러웠다. 월요일 뉴욕에서 열리는 행...
    Views30866
    Read More
  15. No Image

    아빠, 내 몸이 할머니 같아

    장애인사역을 하면서 가장 가슴이 아플 때는 희귀병을 앓는 장애인을 만날 때이다. 병명도 원인도 모른 채 고통당하는 아이를 바라보는 부모와 가족들은 커다란 멍에를 지고 가는 듯 한 고통을 감내해야만 한다. 2개의 희귀질병 앓고 있는 김새봄 양. 대학입...
    Views29669
    Read More
  16. 혹시 중독 아니세요?

    사람은 누구나 무엇엔가 사로잡혀 산다. 문제는 “얼마나 바람직한 것에 이끌려 사느냐?” 하는 것이다. 사로잡혀 사는 측면이 부정적일 때 붙이는 이름이 있다. 바로 중독이다. 중독이란 말이 들어가면 어떤 약물, 구체적인 행동을 통제할 수 없어...
    Views31677
    Read More
  17.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니다

    봄이 성큼 다가서고 있다. 미주 동부는 정말 아름답다. 무엇보다 사계절이 뚜렷한 것이 커다란 매력이다. 서부 L.A.를 경험한 나는 처음 필라델피아를 만났을 때에 숨통이 트이는 시원함을 경험했다. 계절은 인생과 같다. 푸릇푸릇한 봄 같은 시절을 지내면 ...
    Views32462
    Read More
  18. 가위, 바위, 보 인생

    누구나 살아오며 가장 많이 해 온 것이 가위 바위 보일 것이다. 누가 어떤 제의를 해오던 “그럼 가위 바위 보로 결정하자”고 손을 내어민다. 내기를 하거나 순서를 정할 때에도 사람들은 손가락을 내어 밀어 가위 바위 보를 한다. 모두를 승복하...
    Views35023
    Read More
  19. 절단 장애인 김진희

    인생을 살다보면 벼라 별 일을 다 겪게 된다. 영화나 드라마에나 나올법한 일이 현실로 닥쳐올 때에 사람들은 흔들린다. 그것도 불의의 사고로 뜻하지 않은 장애를 입으면 당황하고 좌절한다. 나처럼 아예 갓난아이 때 장애를 입은 사람은 체념을 통해 현실을...
    Views32626
    Read More
  20. 별밤 50년

    우리는 라디오 세대이다. 당시 TV를 소유한 집은 부유의 상징일 정도로 드물었다. 오로지 라디오를 의지하며 음악과 드라마, 뉴스를 접하며 살았다. 내 삶을 돌아보면 가장 고민이 많았던 때가 고교시절이었던 것 같다. 그때 다정한 친구처럼 다가온 것이 심...
    Views3034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