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338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말아톤.jpg

 

 

한국에서 장애인에 대한 시각을 새롭게 만들어 준 영화가 있다. 2005년 개봉한 영화 <말아톤>은 그해 여름에 열린 대종상 영화제 7개 부문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며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게 된다. 한 영화평론가는 “<말아톤>은 장애인에 대한 한국 사회의 속죄 의식의 내용을 담고 있다.”고 평했다. 영화는 5살 지능을 가진 스무살 한 청년 “초원”(자폐: 조승우 扮)이 마라톤 경기에 참가하면서 벌어지는 해프닝과 장애아 가정의 애환을 잔잔히 전해줌으로 커다란 감동을 주었다.자폐 아동들은 무엇인가에 집착하는 성향이 있다.

<말아톤>의 주인공 “초원”이는 “얼룩무늬”만 보면 어쩔 줄을 모르며 좋아한다. 어느 날, 지하철역에서 얼룩무늬 치마를 입은 여인의 몸에 손을 댔다가 큰 낭패를 보게 될 위기에 처한다. 당황하며 엄청난 화를 내는 여인과 몰려드는 사람들을 보며 초원이는 평소 엄마가 가르쳐준 말을 외치게 된다. “우리 아이는 장애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장면에서 울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조금만 이해를 해 주고 그 마음을 헤아려주면 장애인은 슬프지 않다.

  많은 곳을 다니며 설교를 하다보면 용어에 대한 통일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나는 “밀알선교단”에 책임을 맡고 있다. 그런데 간혹 “밀알선교회”라고 소개하는 곳이 있다. 왜 “선교회”가 아니고 “선교단”일까? 얼마 전, 러시아 “소치”에서 동계올림픽이 열려 지구촌을 뜨겁게 달궜다. 각국을 대표하여 많은 선수들이 참석을 했다. 그들을 “○○나라 올림픽 선수단”이라고 부른다. “선수회”가 아니다. 그 이유는 올림픽경기를 위해 구성된 선수집단이기 때문이다. 폐막식이 끝나고 고국에 돌아가면 자연스럽게 “선수단”은 해체된다. 우리가 “선교단”을 고집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실 “장애인 선교”는 교회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역이다.

  그런데 어떤 이유에서인지 장애인부서가 있는 교회는 극히 드물다. 필라에 장애인 부서가 있는 교회는 “한인연합교회” “영생장로교회” 뿐이다. 그 외에 “안디옥교회” “앰블러장로교회”등에서 부서는 따로 없지만 버금가는 장애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혹시 다른 교회가 있다면 알려주십시오.)교회에서 해야 할 사역을 밀알선교단이 대행하고 있는 것이다. 교회마다 장애인부서가 생겨나고 담임 목사님 이하 온 성도들이 “장애인 선교” 마인드를 가지고 적극 추진하는 시점이 오면 “밀알선교단”은 해체되어야 한다. 하지만 밀알선교단이 세워진지 35년이 지나가는 시점에도 그 꿈은 요원해 보인다.

  필라에 온지 11년이 되었다. 필라에 있는 목사님들 중에 나와 친하지 않은 목사님은 거의 없는 것 같다. 감사한 일이다. 희한한 것은 친한 것과 밀알선교단에 대한 관심이 비례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교회사정이 여의치 않아서이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장애인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 같다. 우리는 모든 면에서 절실하다. 조금만 더 사랑을 나타내 주고 후원해 준다면 지금보다 사역에 힘을 받을 것 같은데 그 기대가 번번히 무너진다. 꼭 물질 문제만은 아니다. 밀알모임에 나오고 싶어도 라이드가 없어 오지 못하는 분들이 있다.

  장애인을 어떻게 불러야 할까? 내가 어릴 때 가장 많이 들은 말은 “병신” “불구자” 혹은 “장애자”였다. 그러다가 나온 말이 “장애우”였다. 그 뜻은 “장애인 친구(友)”였고 부르기도 듣기도 좋아 모두가 즐겨 쓰는 용어가 되었다. 그런데 어린 사람이 나이가 지긋한 분을 향해 “장애우”라고 부르는 것은 예의와 어법에 어긋난다는 결론에 다다르게 된다. 그래서 이제는 다시 “장애인”이라 부르고 있다. 호칭이 중요해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장애인 당사자에게는 치명적인 일이 될 수 있음을 알아주었으면 좋겠다.

     생김새가 다르고 가진 능력이 다를 뿐이다. 장애인도 사랑받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장애인에 대한 바른 인식이 있어야 한다. 장애자가 아니다. “장애인”이라고 해야 한다. 밀알에 세심한 사랑을 보여주었으면 한다. “장애인이 아름다운 세상, 장애인이 행복한 세상”이 속히 왔으면 좋겠다.


  1. 겨울만 있는 것이 아니다

    봄이 성큼 다가서고 있다. 미주 동부는 정말 아름답다. 무엇보다 사계절이 뚜렷한 것이 커다란 매력이다. 서부 L.A.를 경험한 나는 처음 필라델피아를 만났을 때에 숨통이 트이는 시원함을 경험했다. 계절은 인생과 같다. 푸릇푸릇한 봄 같은 시절을 지내면 ...
    Views33862
    Read More
  2. 가위, 바위, 보 인생

    누구나 살아오며 가장 많이 해 온 것이 가위 바위 보일 것이다. 누가 어떤 제의를 해오던 “그럼 가위 바위 보로 결정하자”고 손을 내어민다. 내기를 하거나 순서를 정할 때에도 사람들은 손가락을 내어 밀어 가위 바위 보를 한다. 모두를 승복하...
    Views36508
    Read More
  3. 절단 장애인 김진희

    인생을 살다보면 벼라 별 일을 다 겪게 된다. 영화나 드라마에나 나올법한 일이 현실로 닥쳐올 때에 사람들은 흔들린다. 그것도 불의의 사고로 뜻하지 않은 장애를 입으면 당황하고 좌절한다. 나처럼 아예 갓난아이 때 장애를 입은 사람은 체념을 통해 현실을...
    Views34019
    Read More
  4. 별밤 50년

    우리는 라디오 세대이다. 당시 TV를 소유한 집은 부유의 상징일 정도로 드물었다. 오로지 라디오를 의지하며 음악과 드라마, 뉴스를 접하며 살았다. 내 삶을 돌아보면 가장 고민이 많았던 때가 고교시절이었던 것 같다. 그때 다정한 친구처럼 다가온 것이 심...
    Views31744
    Read More
  5. 아이가 귀한 세상

    우리가 어릴 때는 아이들만 보였다. 어디를 가든 아이들이 바글바글했다. 한 반에 60명이 넘는 학생이 오밀조밀 앉아 수업을 들어야만 하였다. 복도를 지날 때면 서로를 비집고 지나갈 정도였다. 그리 경제적으로 넉넉할 때가 아니어서 대부분 행색은 초라했...
    Views36121
    Read More
  6. 동화처럼 살고 싶다

    사람은 누구나 가슴에 동화를 품고 산다.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고 평생 가슴에 담고 싶은 나만의 동화가 있다. 아련하고 풋풋한 그 이야기가 있기에 사람은 나이가 들어도 늙지 않는다. 나이가 들면 저절로 철이 나고 의젓한 인생을 살줄 알았다. 하지만 나이...
    Views33159
    Read More
  7. 환상통(幻想痛)

    교통사고나 기타의 질병으로 신체의 일부를 절단한 사람들에게 여전히 느껴지는 통증을 환상통이라고 한다. 이미 절단되었기에 통증은 사라졌을 법한데 실제로 그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다. 통증뿐 아니라 가려움증도 있고 스멀거리기도 한단다. 절단 ...
    Views38379
    Read More
  8. 종소리

    세상에 모든 존재는 소리를 가지고 있다. 살아있는 것만이 아니라 광물성도 소리를 낸다. 소리를 들으면 어느 정도 무엇인지 알아차리게 되어 있다. 조금만 귀기우려 들어보면 소리는 두 개로 갈라진다. 무의미하게 나는 소리가 있는가하면 가슴을 파고드는 ...
    Views36408
    Read More
  9. 누구나 가슴에는 자(尺)가 들어있다

    사람들은 다 자신이 공평하다고 생각한다. 누구보다 의롭고 정직하게 산다고 자부한다. 사건과 사람을 만나며 아주 예리하고 현란한 말로 결론을 내린다. 왜 그럴까? 성정과정부터 생겨난 자신도 모르는 자(尺) 때문이다. ‘왜 저 사람은 매사에 저렇게 ...
    Views38908
    Read More
  10. 땅이 좋아야 한다

    가족은 토양이고 아이는 거기에 심기는 화초이다. 토양의 질에 따라 화초의 크기와 향기가 달라지듯이 가족의 수준에 따라 아이의 크기가 달라진다. 왜 결혼할 때에 가문을 따지는가? 집안 배경을 중시하는가? 사람의 성장과정이 너무도 중하기 때문이다. 미...
    Views37255
    Read More
  11. 목사님, 다리 왜 그래요?

    어린아이들은 순수하다. 신기한 것을 보면 호기심이 발동하며 질문하기 시작한다. 아이는 솔직하다. 꾸밈이 없다. 하고 싶은 말을 거리낌 없이 내뱉는다. 상황과 분위기에 관계없이 아이들은 속내를 배출한다. 그래서 나는 아이들이 무섭다. 한국에서 목회를 ...
    Views35523
    Read More
  12. 가상과 현실

    고교시절 가슴을 달뜨게 한 노래들이 멋진 사랑에 대한 로망을 품게 했다. 70년대 포크송이 트로트의 흐름을 잠시 멈추게 하며 가요판세를 흔들었다. 템포가 그리 빠르지 않으면서도 서정적인 가사는 청춘의 발걸음을 멈추게 만드는 묘한 매력을 지니고 있었...
    Views38875
    Read More
  13. 여자가 나라를 움직일 때

    내가 결혼 했을 즈음(80년대) 대부분 신혼부부들의 소망은 떡두꺼비 같은 아들을 낳아 부모님께 안겨드리는 것이었다. 이것은 당시 최고 효의 상징이었다. 그런 면에서 나는 딸 둘을 낳으면서 실망의 잔을 거듭 마셔야 했다. 모시고 사는 어머니의 표정은 서...
    Views36822
    Read More
  14. 백년을 살다보니

    새해 첫 KBS 인간극장에 철학교수 김형석 교수가 등장했다. 평상시 즐겨보는 영상은 아니지만 제목이 눈에 들어왔고, 평소 흠모하던 분의 다큐멘터리이기에 집중해서 보았다. 김 교수는 이미 “백년을 살다보니”라는 책을 97세에 집필하였다. 이런...
    Views35431
    Read More
  15. No Image

    <2019년 첫 칼럼> 예쁜 마음, 그래서 고운 소녀

    새해가 밝았다. 2019년 서서히 항해를 시작한다. 짙은 안개 속에 감취어진 미지의 세계를 향해 인생의 노를 젓는다. 돌아보면 그 노를 저어 온지도 꽤나 오랜 세월이 지나간 것 같다. 어리디 어린 시절에는 속히 어른이 되고 싶었다. 그만큼 어른들은 할 수 ...
    Views42896
    Read More
  16. No Image

    새벽송을 그리워하며

    어느새 성탄을 지나 2018년의 끝이 보인다. 기대감을 안고 출발한 금년이 이제는 과거로 돌아갈 채비를 서두르고 있는 것이다. 지난 토요일(22일) 첼튼햄 한아름마트 앞에서 구세군남비 모금을 위한 자그마한 단독콘서트를 가졌다. 내가 가진 기타는 12줄이다...
    Views36787
    Read More
  17. No Image

    월급은 통장을 스칠 뿐

    서민들에게 월급봉투는 생명 줄과 같다. 애써 한 달을 수고한 후에 받는 월급은 성취감과 새로운 꿈을 안겨준다. 액수의 관계없이 월급봉투를 받아드는 순간의 희열은 경험해 본 사람만 안다. 세대가 변하여 이제는 온라인으로 급여를 받는다. 편리할지는 모...
    Views37337
    Read More
  18. No Image

    “오빠”라는 이름의 남편

    처음 L.A.에 이민을 와서 유학생 가족과 가까이 지낸 적이 있다. 신랑은 남가주대학(U.S.C.)공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었고, 세 살 된 아들이 하나 있었다. 아이 엄마는 연신 남편을 향해 “오빠”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었다. 지금과 달라서 그때...
    Views39434
    Read More
  19. No Image

    영웅견 “치치”

    미국에 처음 와서 놀란 것은 미국인들의 유별난 동물사랑이다. 오리가족이 길을 건넌다고 양쪽 차선의 차량들이 모두 멈추고 기다려주는 장면은 감동이었다. 산책하는 미국인들의 손에는 반드시 개와 연결된 끈이 들려져있다. 덩치가 커다란 사람이 자그마한 ...
    Views38548
    Read More
  20. No Image

    행복은 어디에?

    사람은 누구나 행복을 목말라 하며 살고 있다. 저만큼 나아가면 행복할 것 같다. 하지만 그곳에 가도 그냥 그렇다. 과연 행복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누가 가장 행복한 사람일까? 과거에는 주로 경제적인 면에서의 결핍이 사람의 행복을 가로채 갔다. 맛있는 ...
    Views416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