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56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03-pair-of-clouds-hearts.jpg

 

 

지난 초여름 한국을 뒤집어 놓은 사건이 있었다. 케이블·위성 방송 오락채널인 ‘티브이엔’이 야심차게 방영한 “코리아 갓 탤런트” 첫 회에 출연한 “최성봉”이란 젊은이 때문이었다. “코리아 갓 탤런트”에는 다재다능한 “끼”를 가진 사람들이 연령과 지역을 초월하여 구름떼처럼 모여들었다. 무대에 등장하여 짧은 인터뷰를 하고는 바로 준비한 공연에 돌입한다. 세 명의 심사위원이 “×” 버튼을 누를 때 까지만 시간이 허용된다. 열정은 높이 살만 하지만 준비한 공연을 다 마치기도 전에 심사위원들은 빨간 “×”를 눌러대기에 지역 예선을 합격하는 것만도 버거운 프로그램이다.

그 와중에 앳된 얼굴의 청년이 무대 중앙에 선다. 송윤아가 먼저 물었다. “지금 무슨 일을 하고 계시나요?” “예, 막노동을 하고 있습니다.” 질문자가 당황하며 다시 물었다. “지원서에 보면 가족사항이 전혀 없는데요. 왜죠?” 그는 어딘지 어색한 손짓과 불안한 눈빛과 더듬는 말투로 대답했다. “3살 때 고아원에 맡겨진 뒤 구타를 못 이겨 5살 때 고아원을 나와 껌과 박카스를 팔면서 살았습니다. 10년 동안 건물계단과 공용 화장실에서 잠을 자면서 거리생활을 했습니다.” 더 이상 질문을 이어가지 못할 정도로 심사위원이나 관중들은 숙연해 졌다.

앳된 얼굴을 가진 22살의 젊은이가 상상하기 힘든 질곡의 삶을 살아왔다는 사실이 믿어지지 않는 표정들이었다. 그래도 배움의 꿈을 잃지 않고 틈틈이 공부하여 초·중 과정 검정고시를 마치고 드디어 고등학교(대전예고)를 들어갔다고 했다. 그것이 그에게는 학교생활의 전부였다. 초유의 관심 속에 드디어 그의 노래가 시작되었다. “넬라 판타지아”였다. 정식으로 성악을 공부하지도 않은 그의 미성은 순식간에 관중들을 감동의 표정으로 바꾸어 놓았다. 이윽고 노래가 끝이 났을 때 심사위원인 뮤지컬 음악감독 박칼린, 배우 송윤아, 영화감독 장진의 눈가는 이미 촉촉이 젖어있었다. 그들은 심사평을 하지 못한 채 눈물만 흘렸다.

가까스로 진정을 하고 눈물범벅이 된 송윤아가 입을 열었다. “그냥 최성봉 씨를 너무 안아주고 싶어요.” 박칼린은 “(그의 마음속에) 악기는 어딘가 있는 것 같습니다. 레슨을 해주고 싶네요.”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최 군에게 물었다. “왜 노래를 하고 싶으세요?” 표정 없는 그가 입을 연다. “하루살이처럼 살다가 처음으로 좋아한 게 노래였어요. 어릴 때 사건이 되게 많았는데요. 어디 팔려가기도 하고 나이트클럽에서 껌을 팔면서 살아가고 있었는데 어느 날, 춤추는 음악이 아니라 성악 하는 사람이 진지하게 노래하는 모습에 매료되었습니다.”

방송 뒤 최씨의 동영상은 급속히 전파되며 CNN 유튜브는 순식간에 천만명 사람들의 손을 ‘클릭’하게 만들었다. ABC 방송은 그를 “한국의 수잔 보일, 폴포츠”로 소개했다. 그는 한국을 넘어 세계 사람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네티즌들은 이런 평을 쏟아냈다. “진정성이란 이런 게 아닐까? 담담한 표정. 눈물까지도 사치스러워서일까?” “동영상 보고 정말 감동 먹었음. 저렇게 살아왔는데 세상을 미워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노력하는 모습 자체에서 말이죠” “이 새벽 이 동영상이 나를 엄청 울린다. 저는 안 울고 나를 울리는 나쁜 놈.”

태어나자마자 부모에게 버림을 받은 것도 기구하지만 맡겨진 고아원에서 심한 구타를 견디다 못해 5살 때에 도망을 나와 생을 이어갔다는 사실이 상상이 가질 않는다. 껌과 박카스를 팔아 연명하고 계단에나 공중화장실에서 잠을 자면서 어린 그는 얼마나 서럽고 두려웠을까? 진정 그는 그의 고백처럼 “하루살이”처럼 살아왔다. 삶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생을 포기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하지만 “최성봉”은 일어섰다. 상상할 수 없는 극한 고통 속에서 그는 성악에 대한 꿈을 꾸었고 힘을 잃어버리고 허덕이는 이들에게 용기와 도전을 주고 있다.

그의 두 번째 무대에서 심사위원들이 그에게 가장 많이 주문한 것은 “웃어보라!”는 말이었다. 그는 얼굴을 펴는 것으로 웃음을 대신했다. 스페인 속담에 “돌이 많은 시내가 더 아름다운 음악을 만들어 낸다.”는 말이 있다. 시련은 성숙의 통로이며 기쁨으로 가는 정거장이다. 장한 젊은이의 앞날을 마음껏 축복하고 싶다.

 


  1. 톡 쏘는 느낌을 갖고 싶어~~

    미혼 시절에는 이성에 반하는 타입이 다채롭다. 남자들은 공히 곱게 빗어 넘긴 생머리에 청순가련형의 인상을 가진 여성들에게서 시선을 놓지 못한다. 반면 여성들은 과묵한 남자에 끌린다. 촐싹대고 말이 많은 남자보다는 묵직한 인상으로 분위기를 주도하는...
    Views47357
    Read More
  2. 슬프고 안타까운 병

    초등학교 시절. 방학을 손꼽아 기다렸다. 포천 큰댁으로 달려갈 생각에 가슴이 설레었다. 드디어 방학을 하고 시골에 가면 집안 어른들에게 두루 다니며 인사를 하고 후에 누이와 가는 곳이 있었다. 바로 외가댁이었다. 걸어서 30분이면 외가에 도착을 했고 ...
    Views41482
    Read More
  3. 어머니∼

    누구에게나 마음의 고향이 있다. 바로 어머니이다. 나이가 들어도 안기고 싶은 곳은 어머니 품이다. ‘남자는 평생 엄마의 품을 그리워하며 산다.’는 속설이 있다. 그래서 결혼을 위해 많은 교제를 하다가도 결국은 어머니 같은 여인과 결혼을 하...
    Views49572
    Read More
  4. 손을 보며

    손을 들여다본다. 손등이 눈에 들어오고 뒤집으면 바닥이 매끄럽게 드러난다. 각각 다른 길이의 손가락이 조화를 이룬다. 손가락을 구부려 움켜쥐면 금새 동그란 주먹이 만들어 진다. 손가락마다 무늬가 새겨있는데 지문이라 부른다. 지문이 같은 사람이 없다...
    Views42568
    Read More
  5. 있을 때 잘해!

    한 부부가 차에 기름을 넣기 위해 주유소에 들어왔다. 주유소 직원은 기름을 넣으면서 차의 앞 유리를 닦아준다. 기름이 다 들어가자 직원은 부부에게 다 되었다는 신호를 보낸다. 그런데 남편이 “유리가 아직 더럽네요. 한 번 더 닦아주세요.”라...
    Views47380
    Read More
  6. 저는 휠체어 탄 여행가입니다

    장애인들이 제일 좋아하는 것은 여행이다. 장애인들은 내달리는 차에 올라 차창 밖으로 펼쳐지는 풍경을 무척이나 즐긴다. 일명 휠체어 여행가가 있다. 홍서윤. 그녀가 주인공이다. 자신을 휠체어 탄 여행가라고 소개하면 주위 사람들은 다들 깜짝 놀란 얼굴...
    Views47816
    Read More
  7. 그 분이 침묵 하실 때

    하이웨이에 차량들이 제 속도를 내며 원활하게 소통될 때 시원함을 느낀다. 누구와 하며 공감대를 느낄때에 통쾌함을 느낀다. 야구 경기의 흐름이 빨라지면 흥미진진함을 느낀다. 드라마를 볼 때도 스토리를 신속하게 풀어나가는 작가를 사람들은 좋아한다. ...
    Views47302
    Read More
  8. 사투리 정감(情感)

    서울 전철 안에서 경상도 사나이들이 너무도 큰소리로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한켠에 승차한 여성 두 명이 두 사람을 쳐다본다. 하는 말이 “아니, 왜 저렇게 시끄럽게 떠들지?” “외국사람 같은데” “아냐, 우리나라 사람이야&rd...
    Views44749
    Read More
  9. 내 옷을 벗으면

    사람들은 모두 옷을 입는다. 아침에 샤워를 마치는 순간부터 사람들은 ‘무슨 옷을 입고 나갈까?’를 고민한다. 여성들은 남성들이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옷에 예민하다. 옷 입는 모습을 보면 그 사람의 성향과 추구하는 삶의 방향을 엿볼 수 있다....
    Views46995
    Read More
  10. “성일아, 엄마 한번 해봐. 엄마 해봐…”

    나이가 들어가는 장애인들의 소망은 결혼이다. 문제는 장애인과 장애인이 부부가 되었을 때 그 사이에서 태어나는 2세를 생각해야 한다. 선천 장애인들끼리의 결혼은 같은 장애를 가진 아이가 태어날 가능성이 높다. 여기 장애에 대물림으로 아파하는 사람이 ...
    Views47869
    Read More
  11. 2018년/ 이제 다시 시작이다!

    대망의 새해가 밝았다. 세월의 흐름 속에 사연을 안고 새해의 품안에 안긴다. 처음에는 어색하지만 곧 익숙해 질 것이다. 우리는 당연한 마음으로 새해의 문턱에 들어서고 있지만 세상을 떠나간 사람들이 그토록 살고 싶어 했던 내년이 2018년이다. 영어로 선...
    Views51853
    Read More
  12. 참, 고맙습니다!

    2017년이 단 이틀 남았다. 돌아보면 은혜요, 일체 감사뿐이다. 고마운 분들을 그리며 금년 마지막 칼럼을 쓰고 있다. 그때그때마다 다가와 위로해 주던 많은 사람들, 여전히 그 자리에서 사역에 힘을 실어주는 분들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어린...
    Views52459
    Read More
  13. 깡통차기

    초등학교 시절, 학교를 나서며 찌그러진 깡통 하나를 발견했다. 처음에는 장난삼아 ‘툭툭’치고 가다가 시간이 지나며 ‘사명감’(?)에 차고 나가고, 나중에는 오기가 발동하면서 집에 올 때까지 ‘깡통차기’는 계속된다. 잘...
    Views50242
    Read More
  14. 특이한 언어 자존심

    사람은 말을 해야 사는 존재이다. “언어가 통한다는 것”은 대단한 것이다.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도, 아무리 재미있는 ‘조크’도 알아듣지 못하면 전혀 효과가 없다. 우리는 대한민국 사람이다. 따라서 한국말을 쓴다. 그런데 우리가 ...
    Views52790
    Read More
  15. 울고 싶을 때는 울어야 산다

    인생을 살다보면 억울하고 답답하고 나도 모르게 눈물이 솟구치는 순간을 맞이할 때가 있다. 내 불찰과 잘못으로 일이 벌어지기도 하지만 순항하던 내 삶에 난데없는 사람이나, 사건이 끼어들면서 어려움을 당할 때가 있다. 그런데 정작 울려고 하는데 눈물이...
    Views50747
    Read More
  16. 얘야, 괜찮아. 다 모르고 그랬는걸 뭐!

    누구에게나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한 순간, 한 마디의 말, 한 사람이 인생전반에 은은한 잔영으로 남아있게 마련이다. 어느 날 문득 삶을 되돌아보면 말로 표현하기 힘든 그 무언가가 끊임없이 나에게 에너지를 주고 있었음을 깨닫는다. 고등학교 3학년, 예...
    Views48587
    Read More
  17. 살아있는 날 동안

    아르바이트 면접에 합격한 아들은 곧장 엄마에게 전화를 걸었다. 사실 엄마는 “공부하라”며 아들의 아르바이트를 말렸다. 아들은 ‘어려운 가정형편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다.’는 기쁨이 앞섰다. 그러나 엄마는 전화를 받지 않...
    Views46652
    Read More
  18. 공항의 두얼굴

    1970년대 공항에 대한 노래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공항 대합실” “공항에 부는 바람” “공항의 이별” 가수 ‘문주란’은 굵고 특이하면서도 구성진 창법으로 연속 히트를 쳤다. 그때만 해도 특권층만이 국제 ...
    Views52354
    Read More
  19. 꼰대여, 늙은 남자여!

    사람은 다 늙는다. 여자나 남자나 다 늙어간다. 나이가 들어가는 서러움을 달랠량으로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소리쳐 보지만 늙어가는 것은 어찌할 수가 없다. 젊은이들에게 나이든 남자의 이미지를 물었다.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
    Views53076
    Read More
  20. 아미쉬(Amish) 마을 사람들

    사람들은 유명하고 소중한 것이 가까이에 있으면 그 가치를 모르는 것 같다. 우리로 말하면 “아미쉬 마을”이다. 아미쉬는 푸르른 초원을 가슴에 안은 채 특유의 삶을 이어간다. 아미쉬의 특징은 전기, 자동차, 텔레비전 같은 문명의 이기를 철저...
    Views5455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