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624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6591537_orig.jpg

 

 

인생을 살아가면서 순간순간 기쁨이 있는 것은 “친구”가 있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친구가 참 많다. 그것도 오랜 지기들이 수두룩하다. 김치는 “묵은지”가 감칠맛이 있듯이 친구도 오랜 세월 변함없는 관계가 소중한 것 같다. 한국에 가면 3-40년 된 친구들이 맨발로 뛰어나온다. 지난번 한국에 갔을 때에는 “한복”이가 달려 나왔다. 미국에 온 이후에 소식이 끊어졌었는데 희한하게도 아내가 ‘Face Book’에 접속하면서 연락처를 알게 되었다. 한복이는 고교 1학년 때 만나 3년 동안 함께 웅변반과 신앙부 활동을 하며 우정과 추억을 쌓았다.

특별히 한복이가 고마운 것은 고교 3년 내내 무거운 책가방을 들어준 친구이기 때문이다. 무거운 책가방은 장애를 가진 나를 금방 지치게 만들었다. 그때마다 내 곁에는 한복이가 있었다. 싫은 표정 한번 없이 가만히 다가와 가방을 옮겨갔다. 장안동 민물장어 집에 마주앉았다. 식사를 하다말고 “한복아, 고맙다” 말을 건넸다. 눈물이 ‘핑’ 돌았다. 한복이가 당황하며 “자식아, 너 왜 그러냐?” 되받아온다. “얌마, 그때 내 무거운 책가방 들어줘서 정말 고맙다구.” 친구는 겸연쩍은 표정으로 창밖을 본다. 내가 한국에 있을때는 <테크노마트>에서 신사복 매장을 경영해서 옷을 많이도 제공(?)받았었는데 이제는 분당에서 원목가구를 생산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고교에 입학해서 선생님의 지시로 반 학생 신상을 정리하다보니 눈에 들어오는 아이가 있었다. “김봉채” 고향이 경기도 포천군 ‘이동’이었다. 다음날 학교에 가자마자 뒷자리에 앉아있는 봉채 앞으로 다가섰다. “야, 너 고향이 이동이냐?” 아는 사람은 안다. 중고등학교 시절에는 키가 큰 아이들이 작은 아이들을 얼마나 무시하는지. 그때 나는 7번이었고, 봉채의 키는 182Cm이었다. 봉채가 ‘가소롭다’는 듯이 나를 쳐다본다. “나는 일동 ‘화현’이 고향이야.” “그래서?” 어느새 주위에 키 큰 녀석들이 모여들어 호기심 어린 눈으로 자그마한 나를 내려다보고 있었다. “그래서는 뭐가 그래서야, 우리 친구하자고.” 봉채는 ‘기가 막히다.’는 표정을 지었고 우리는 그렇게 그날부터 친구가 되었다. 지금 생각해도 입가에 미소가 번진다.

봉채가 귀한 것은 나이가 들어가며 신앙심이 깊어졌다는 것이다. 내가 한국에 나갈라치면 봉채 아내가 더 나를 만나려고 한다. 남편 친구 중에 ‘목사’가 있다는 것이 그렇게 대견하고 좋은 모양이다. 아이들에게도 얼마나 내 얘기를 하는지 얼굴을 본적도 없는데 봉채 아이들에게 내 인기는 ‘아이돌’ 수준이다. 신앙이 없을 때는 만나면 고교 때 사고(?)치던 이야기만 했는데 이제는 만나면 신앙대화로 시간 가는 줄 모른다. 이제는 집사가 되고, 교회에서 “중보 기도팀”으로 봉사한다니 세상 참 오래살고 볼일이다.

그렇게 그리워하던 “정호”를 만났다. 그는 중학교 동창이다. 정호 아버지도 경찰이어서인지 우리는 자연스럽게 가까워졌다. 20대 초반에 소식이 끊어져 너무도 그리워했다. 몇 년 전에는 칼럼까지 쓰면서 찾으려고 했지만 소식은 감감했다. 그런데 작년(2011년) 5월에 기적적으로 소재를 파악하여 재회하게 되었다. 거의 30년 만이었다. 놀라웠다. 그는 ‘버지니아’에 살고 있었다. 큰 사업체를 경영하며 청소년 오케스트라까지 운영하고 있었다. 아내사이에 남매를 두고 말이다. 한 가지 변한 것은 그렇게 곱던 머리칼이 다 날아가 버렸다는 것이다. “헐!” 그렇게 우리는 다시 만났고 가족들이 합석하는 자리도 가졌다.

정호는 나를 처음 교회로 인도해 준 친구이다. 억지로 웅변을 가르치며 장애 때문에 소극적인 삶을 살아가던 나를 대중 앞에 당당히 설수 있도록 자신감을 불어넣어준 고마운 친구이다. 지난 5월 6일(주일) 오전 필라에서 예배를 마친 나는 아내와 함께 버지니아로 내달았다. 내 40년 친구의 “장로임직”을 축하하기 위해서였다. 임직식 순서를 맡아 단에 올랐고 장로 임직 때 나는 목사님들과 그의 머리에 손을 얹었다. 감격스러웠다. 10대에 만난 내 친구 정호가 미국에서 ‘장로’로 세움을 받는 자리이다. 꿈만 같았다. “정호야, 진실한 장로되라!” 예배 후 “허그”하며 내가 들려준 말이다. 세월은 가지만 내 곁에는 친구들이 여전히 그 자리를 지켜주고 있다. 친구들과 마주앉으면 금방 그 추억의 자리로 돌아간다. “친구들아, 영원한 전설로 그렇게 살아가자꾸나!”


  1. 톡 쏘는 느낌을 갖고 싶어~~

    미혼 시절에는 이성에 반하는 타입이 다채롭다. 남자들은 공히 곱게 빗어 넘긴 생머리에 청순가련형의 인상을 가진 여성들에게서 시선을 놓지 못한다. 반면 여성들은 과묵한 남자에 끌린다. 촐싹대고 말이 많은 남자보다는 묵직한 인상으로 분위기를 주도하는...
    Views47333
    Read More
  2. 슬프고 안타까운 병

    초등학교 시절. 방학을 손꼽아 기다렸다. 포천 큰댁으로 달려갈 생각에 가슴이 설레었다. 드디어 방학을 하고 시골에 가면 집안 어른들에게 두루 다니며 인사를 하고 후에 누이와 가는 곳이 있었다. 바로 외가댁이었다. 걸어서 30분이면 외가에 도착을 했고 ...
    Views41457
    Read More
  3. 어머니∼

    누구에게나 마음의 고향이 있다. 바로 어머니이다. 나이가 들어도 안기고 싶은 곳은 어머니 품이다. ‘남자는 평생 엄마의 품을 그리워하며 산다.’는 속설이 있다. 그래서 결혼을 위해 많은 교제를 하다가도 결국은 어머니 같은 여인과 결혼을 하...
    Views49507
    Read More
  4. 손을 보며

    손을 들여다본다. 손등이 눈에 들어오고 뒤집으면 바닥이 매끄럽게 드러난다. 각각 다른 길이의 손가락이 조화를 이룬다. 손가락을 구부려 움켜쥐면 금새 동그란 주먹이 만들어 진다. 손가락마다 무늬가 새겨있는데 지문이라 부른다. 지문이 같은 사람이 없다...
    Views42543
    Read More
  5. 있을 때 잘해!

    한 부부가 차에 기름을 넣기 위해 주유소에 들어왔다. 주유소 직원은 기름을 넣으면서 차의 앞 유리를 닦아준다. 기름이 다 들어가자 직원은 부부에게 다 되었다는 신호를 보낸다. 그런데 남편이 “유리가 아직 더럽네요. 한 번 더 닦아주세요.”라...
    Views47299
    Read More
  6. 저는 휠체어 탄 여행가입니다

    장애인들이 제일 좋아하는 것은 여행이다. 장애인들은 내달리는 차에 올라 차창 밖으로 펼쳐지는 풍경을 무척이나 즐긴다. 일명 휠체어 여행가가 있다. 홍서윤. 그녀가 주인공이다. 자신을 휠체어 탄 여행가라고 소개하면 주위 사람들은 다들 깜짝 놀란 얼굴...
    Views47762
    Read More
  7. 그 분이 침묵 하실 때

    하이웨이에 차량들이 제 속도를 내며 원활하게 소통될 때 시원함을 느낀다. 누구와 하며 공감대를 느낄때에 통쾌함을 느낀다. 야구 경기의 흐름이 빨라지면 흥미진진함을 느낀다. 드라마를 볼 때도 스토리를 신속하게 풀어나가는 작가를 사람들은 좋아한다. ...
    Views47221
    Read More
  8. 사투리 정감(情感)

    서울 전철 안에서 경상도 사나이들이 너무도 큰소리로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한켠에 승차한 여성 두 명이 두 사람을 쳐다본다. 하는 말이 “아니, 왜 저렇게 시끄럽게 떠들지?” “외국사람 같은데” “아냐, 우리나라 사람이야&rd...
    Views44672
    Read More
  9. 내 옷을 벗으면

    사람들은 모두 옷을 입는다. 아침에 샤워를 마치는 순간부터 사람들은 ‘무슨 옷을 입고 나갈까?’를 고민한다. 여성들은 남성들이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옷에 예민하다. 옷 입는 모습을 보면 그 사람의 성향과 추구하는 삶의 방향을 엿볼 수 있다....
    Views46974
    Read More
  10. “성일아, 엄마 한번 해봐. 엄마 해봐…”

    나이가 들어가는 장애인들의 소망은 결혼이다. 문제는 장애인과 장애인이 부부가 되었을 때 그 사이에서 태어나는 2세를 생각해야 한다. 선천 장애인들끼리의 결혼은 같은 장애를 가진 아이가 태어날 가능성이 높다. 여기 장애에 대물림으로 아파하는 사람이 ...
    Views47848
    Read More
  11. 2018년/ 이제 다시 시작이다!

    대망의 새해가 밝았다. 세월의 흐름 속에 사연을 안고 새해의 품안에 안긴다. 처음에는 어색하지만 곧 익숙해 질 것이다. 우리는 당연한 마음으로 새해의 문턱에 들어서고 있지만 세상을 떠나간 사람들이 그토록 살고 싶어 했던 내년이 2018년이다. 영어로 선...
    Views51827
    Read More
  12. 참, 고맙습니다!

    2017년이 단 이틀 남았다. 돌아보면 은혜요, 일체 감사뿐이다. 고마운 분들을 그리며 금년 마지막 칼럼을 쓰고 있다. 그때그때마다 다가와 위로해 주던 많은 사람들, 여전히 그 자리에서 사역에 힘을 실어주는 분들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어린...
    Views52448
    Read More
  13. 깡통차기

    초등학교 시절, 학교를 나서며 찌그러진 깡통 하나를 발견했다. 처음에는 장난삼아 ‘툭툭’치고 가다가 시간이 지나며 ‘사명감’(?)에 차고 나가고, 나중에는 오기가 발동하면서 집에 올 때까지 ‘깡통차기’는 계속된다. 잘...
    Views50221
    Read More
  14. 특이한 언어 자존심

    사람은 말을 해야 사는 존재이다. “언어가 통한다는 것”은 대단한 것이다.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도, 아무리 재미있는 ‘조크’도 알아듣지 못하면 전혀 효과가 없다. 우리는 대한민국 사람이다. 따라서 한국말을 쓴다. 그런데 우리가 ...
    Views52752
    Read More
  15. 울고 싶을 때는 울어야 산다

    인생을 살다보면 억울하고 답답하고 나도 모르게 눈물이 솟구치는 순간을 맞이할 때가 있다. 내 불찰과 잘못으로 일이 벌어지기도 하지만 순항하던 내 삶에 난데없는 사람이나, 사건이 끼어들면서 어려움을 당할 때가 있다. 그런데 정작 울려고 하는데 눈물이...
    Views50723
    Read More
  16. 얘야, 괜찮아. 다 모르고 그랬는걸 뭐!

    누구에게나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한 순간, 한 마디의 말, 한 사람이 인생전반에 은은한 잔영으로 남아있게 마련이다. 어느 날 문득 삶을 되돌아보면 말로 표현하기 힘든 그 무언가가 끊임없이 나에게 에너지를 주고 있었음을 깨닫는다. 고등학교 3학년, 예...
    Views48564
    Read More
  17. 살아있는 날 동안

    아르바이트 면접에 합격한 아들은 곧장 엄마에게 전화를 걸었다. 사실 엄마는 “공부하라”며 아들의 아르바이트를 말렸다. 아들은 ‘어려운 가정형편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다.’는 기쁨이 앞섰다. 그러나 엄마는 전화를 받지 않...
    Views46628
    Read More
  18. 공항의 두얼굴

    1970년대 공항에 대한 노래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공항 대합실” “공항에 부는 바람” “공항의 이별” 가수 ‘문주란’은 굵고 특이하면서도 구성진 창법으로 연속 히트를 쳤다. 그때만 해도 특권층만이 국제 ...
    Views52322
    Read More
  19. 꼰대여, 늙은 남자여!

    사람은 다 늙는다. 여자나 남자나 다 늙어간다. 나이가 들어가는 서러움을 달랠량으로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소리쳐 보지만 늙어가는 것은 어찌할 수가 없다. 젊은이들에게 나이든 남자의 이미지를 물었다.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
    Views53048
    Read More
  20. 아미쉬(Amish) 마을 사람들

    사람들은 유명하고 소중한 것이 가까이에 있으면 그 가치를 모르는 것 같다. 우리로 말하면 “아미쉬 마을”이다. 아미쉬는 푸르른 초원을 가슴에 안은 채 특유의 삶을 이어간다. 아미쉬의 특징은 전기, 자동차, 텔레비전 같은 문명의 이기를 철저...
    Views5452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