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5416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fear.jpg

 

                                         

 

 사람이 살면서 평생 풀어야 할 문제가 두려움이다. 아이가 태어나면 목을 놓아(?) 운다. 어렵게 태어났는데 나오자마자 웃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아이들은 울면서 인생을 시작한다. 왜 그럴까? 두려움 때문이다. 그 두려움 때문에 인생은 한날도 편안히 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대학생들이 졸업하는 것을 두려워한다고 한다. 취업난이 바늘구멍 같은 이유도 있지만 사회에 나가 생의 전선에 뛰어드는 것에 대해 겁을 먹고 있다.

 

 대학을 졸업하면 곧바로 대학원에 진학한다. 형편이 좋은 친구들은 유학을 떠난다. 나도 학생 시절을 지냈지만 사실 학생이라는 신분은 안전이 보장되어 있다. 실수를 해도 학생이라는 것이 참작이 된다. 우선 그렇게 큰 책임을 질 일도 없고, 캠퍼스 생활은 뭔가 준비하는 단계이기에 항상 기대감을 가질 수 있어 좋다. 그 생활에 안주하다보면 사회에 진출하여 부딪쳐야한다는 것이 두려움으로 다가 올 수 밖에 없다.

 

 필자는 어린 시절을 시골에서 보냈다. 어쩌다 서울에 오면 모든 것이 무서웠다. 사람이 너무 많은 것도 낯설었고 전차와 버스, 온갖 차량들이 뒤섞여 질주하는 것이 무서웠다. 특히 길을 건너는 것이 가장 두려웠다. 신호등이 초록색일 때 건너면 안전하다는 것을 몰랐기에 주춤거렸고, 그런 나를 누나는 책망하며 억지로 내손을 잡고 길을 건너야만 했다. 40대가 되면 병원에 가기가 두려워진다고 한다. 갖가지 성인병에 걸리는 시기이기에 병원에 가면 의사가 무슨 말을 할지가 겁이 나서이다.

 

 두려움의 속성을 알아야 한다. 두려움은 두려움일 뿐 실체는 아니다. 다시 말하면 두려워하는 생각일 뿐이다. 두려움은 막상 부딪쳐보면 전혀 두려워 할 대상이 아닌 것을 깨닫게 된다. 중 · 고등학교 시절, 단체 기합을 받을 때가 있다. 그 시대는 선생님들이 지나치리만큼 무지막지하게 학생들을 다루었다. 처음에는 단체로 주먹 쥐고 엎드려뻗치기를 시킨다. 그러다가 분이 안 풀리면 몽둥이로 엉덩이를 때리기 시작한다.(당시 용어로는 ‘빳다를 친다.’고 함) 주로 두 대씩 때리는데 “퍽, 퍽” “윽, 읍” 그 소리만 들어도 이쪽에 우리는 엎드려서 얼굴이 사색이 된다. 이윽고, 내 차례- 선생님이 내리친 몽둥이가 내 엉덩이에 닿는다.

 

 엄청 아프다. 앞으로 고꾸라진다. 그러면서 느끼는 해방감- ‘내 차례는 지났다는 것’과 ‘생각보다는 통증이 견딜만하다,’는데 대한 안도감이 겹치며 눈이 마주친 친구와 뜻 모를 눈웃음을 교환한다. 그때 깨달은 속담이 있다. “이왕 매를 맞으려면 먼저 맞는 것이 좋다” 매를 맞는 순간보다 저쪽에서부터 맞아오는 소리를 듣는 그 시간이 더 고통스럽다. 두려움이 나를 엄습 해 올 때, 정신적, 육신적인 고통이 밀려오지만 막상 그 문제와 직면해 보면 그동안 두려워했던 것보다는 능히 감당 할 수 있는 문제였음을 깨닫게 된다.

 

 두려움은 부딪쳐야 한다. 부딪치지 않는 한 두려움은 점점 증폭될 뿐이다. 현실에 들어가야 한다. 현실과의 부딪침을 소중히 여길 때 두려움은 아무것도 아닌 존재가 되고 만다. 그러기 위해서는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인정할 줄 알아야 한다. 자신의 삶을 정직하게 이야기 할 수 있어야한다. 남과 비교하지 말고, 내가 잘하는 것을 가지고 승부를 걸어보라! 남과 같이 되려고 하지 말고 내가 되려고 노력하라! 그때 두려움은 물러가고 새로운 창조의 역사가 시작된다.

 

 두려움은 훈련을 받으면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는 대상이다. 해병대가 왜 해병대인가? 죽음을 넘어서는 훈련을 받기에 해병대이다. 언젠가 모 TV 채널에서 해병대의 지옥훈련을 방영한 적이 있다. 입이 벌어질 정도로 그들이 받는 훈련의 강도는 혹독하였다. 하나님은 누구를 쓰시는가? 훈련받은 사람을 쓰신다. 어떻게 쓰시는가? 훈련 받은 만큼 쓰신다. 훈련이 끝나면 더 높은 계급장이 붙고 그 수준만큼 쓰신다. 두려움을 넘어서면 새로운 세계가 열린다. 두려움의 노예가 되지 말고, 그 두려움을 넘어서서 창파에 배를 띄우는 신비의 체험을 하시기를 소망 해 본다.


  1. 미안하고 부끄럽고

    매일 새벽마다 이런 고백을 하며 기도를 시작한다. “한번도 살아보지 않은 새날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렇다. 어제 잠자리에 들며 죽었다면 오늘 아침 다시 부활한 것이다. 지난밤에 세상을 떠난 사람들이 얼마나 많을까? 다시 깨어났으니 이것...
    Views41412
    Read More
  2. 야학 선생

    20대 초반 그러니까 신학대학 2학년 때였다. 같은 교회에서 사역하는 김건영 전도사께서 주일 낮 예배 후 “할 말이 있다.”며 다가왔다. 우리는 비어 있는 유년주일학교 예배 실 뒤편 탁자에 마주 앉았다. 용건은 나에게 “야학 선생을 해 달...
    Views42529
    Read More
  3. 광화문 연가

    나는 아이돌 노래를 좋아한다. 노래에서 풍기는 젊음의 활력, 에너지 넘치는 춤사위가 혀를 내두르게 한다. 사람의 몸이 저렇게도 유연할 수 있을까? 감탄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우리 시대의 가요는 정적이었다. 뭔가 생각하며 들을 수 있는, 듣다보면 젖...
    Views46013
    Read More
  4. 톡 쏘는 느낌을 갖고 싶어~~

    미혼 시절에는 이성에 반하는 타입이 다채롭다. 남자들은 공히 곱게 빗어 넘긴 생머리에 청순가련형의 인상을 가진 여성들에게서 시선을 놓지 못한다. 반면 여성들은 과묵한 남자에 끌린다. 촐싹대고 말이 많은 남자보다는 묵직한 인상으로 분위기를 주도하는...
    Views48897
    Read More
  5. 슬프고 안타까운 병

    초등학교 시절. 방학을 손꼽아 기다렸다. 포천 큰댁으로 달려갈 생각에 가슴이 설레었다. 드디어 방학을 하고 시골에 가면 집안 어른들에게 두루 다니며 인사를 하고 후에 누이와 가는 곳이 있었다. 바로 외가댁이었다. 걸어서 30분이면 외가에 도착을 했고 ...
    Views43128
    Read More
  6. 어머니∼

    누구에게나 마음의 고향이 있다. 바로 어머니이다. 나이가 들어도 안기고 싶은 곳은 어머니 품이다. ‘남자는 평생 엄마의 품을 그리워하며 산다.’는 속설이 있다. 그래서 결혼을 위해 많은 교제를 하다가도 결국은 어머니 같은 여인과 결혼을 하...
    Views51224
    Read More
  7. 손을 보며

    손을 들여다본다. 손등이 눈에 들어오고 뒤집으면 바닥이 매끄럽게 드러난다. 각각 다른 길이의 손가락이 조화를 이룬다. 손가락을 구부려 움켜쥐면 금새 동그란 주먹이 만들어 진다. 손가락마다 무늬가 새겨있는데 지문이라 부른다. 지문이 같은 사람이 없다...
    Views44056
    Read More
  8. 있을 때 잘해!

    한 부부가 차에 기름을 넣기 위해 주유소에 들어왔다. 주유소 직원은 기름을 넣으면서 차의 앞 유리를 닦아준다. 기름이 다 들어가자 직원은 부부에게 다 되었다는 신호를 보낸다. 그런데 남편이 “유리가 아직 더럽네요. 한 번 더 닦아주세요.”라...
    Views48918
    Read More
  9. 저는 휠체어 탄 여행가입니다

    장애인들이 제일 좋아하는 것은 여행이다. 장애인들은 내달리는 차에 올라 차창 밖으로 펼쳐지는 풍경을 무척이나 즐긴다. 일명 휠체어 여행가가 있다. 홍서윤. 그녀가 주인공이다. 자신을 휠체어 탄 여행가라고 소개하면 주위 사람들은 다들 깜짝 놀란 얼굴...
    Views49346
    Read More
  10. 그 분이 침묵 하실 때

    하이웨이에 차량들이 제 속도를 내며 원활하게 소통될 때 시원함을 느낀다. 누구와 하며 공감대를 느낄때에 통쾌함을 느낀다. 야구 경기의 흐름이 빨라지면 흥미진진함을 느낀다. 드라마를 볼 때도 스토리를 신속하게 풀어나가는 작가를 사람들은 좋아한다. ...
    Views48798
    Read More
  11. 사투리 정감(情感)

    서울 전철 안에서 경상도 사나이들이 너무도 큰소리로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한켠에 승차한 여성 두 명이 두 사람을 쳐다본다. 하는 말이 “아니, 왜 저렇게 시끄럽게 떠들지?” “외국사람 같은데” “아냐, 우리나라 사람이야&rd...
    Views46127
    Read More
  12. 내 옷을 벗으면

    사람들은 모두 옷을 입는다. 아침에 샤워를 마치는 순간부터 사람들은 ‘무슨 옷을 입고 나갈까?’를 고민한다. 여성들은 남성들이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옷에 예민하다. 옷 입는 모습을 보면 그 사람의 성향과 추구하는 삶의 방향을 엿볼 수 있다....
    Views48641
    Read More
  13. “성일아, 엄마 한번 해봐. 엄마 해봐…”

    나이가 들어가는 장애인들의 소망은 결혼이다. 문제는 장애인과 장애인이 부부가 되었을 때 그 사이에서 태어나는 2세를 생각해야 한다. 선천 장애인들끼리의 결혼은 같은 장애를 가진 아이가 태어날 가능성이 높다. 여기 장애에 대물림으로 아파하는 사람이 ...
    Views49557
    Read More
  14. 2018년/ 이제 다시 시작이다!

    대망의 새해가 밝았다. 세월의 흐름 속에 사연을 안고 새해의 품안에 안긴다. 처음에는 어색하지만 곧 익숙해 질 것이다. 우리는 당연한 마음으로 새해의 문턱에 들어서고 있지만 세상을 떠나간 사람들이 그토록 살고 싶어 했던 내년이 2018년이다. 영어로 선...
    Views53639
    Read More
  15. 참, 고맙습니다!

    2017년이 단 이틀 남았다. 돌아보면 은혜요, 일체 감사뿐이다. 고마운 분들을 그리며 금년 마지막 칼럼을 쓰고 있다. 그때그때마다 다가와 위로해 주던 많은 사람들, 여전히 그 자리에서 사역에 힘을 실어주는 분들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어린...
    Views54250
    Read More
  16. 깡통차기

    초등학교 시절, 학교를 나서며 찌그러진 깡통 하나를 발견했다. 처음에는 장난삼아 ‘툭툭’치고 가다가 시간이 지나며 ‘사명감’(?)에 차고 나가고, 나중에는 오기가 발동하면서 집에 올 때까지 ‘깡통차기’는 계속된다. 잘...
    Views51935
    Read More
  17. 특이한 언어 자존심

    사람은 말을 해야 사는 존재이다. “언어가 통한다는 것”은 대단한 것이다.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도, 아무리 재미있는 ‘조크’도 알아듣지 못하면 전혀 효과가 없다. 우리는 대한민국 사람이다. 따라서 한국말을 쓴다. 그런데 우리가 ...
    Views54640
    Read More
  18. 울고 싶을 때는 울어야 산다

    인생을 살다보면 억울하고 답답하고 나도 모르게 눈물이 솟구치는 순간을 맞이할 때가 있다. 내 불찰과 잘못으로 일이 벌어지기도 하지만 순항하던 내 삶에 난데없는 사람이나, 사건이 끼어들면서 어려움을 당할 때가 있다. 그런데 정작 울려고 하는데 눈물이...
    Views52421
    Read More
  19. 얘야, 괜찮아. 다 모르고 그랬는걸 뭐!

    누구에게나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한 순간, 한 마디의 말, 한 사람이 인생전반에 은은한 잔영으로 남아있게 마련이다. 어느 날 문득 삶을 되돌아보면 말로 표현하기 힘든 그 무언가가 끊임없이 나에게 에너지를 주고 있었음을 깨닫는다. 고등학교 3학년, 예...
    Views50171
    Read More
  20. 살아있는 날 동안

    아르바이트 면접에 합격한 아들은 곧장 엄마에게 전화를 걸었다. 사실 엄마는 “공부하라”며 아들의 아르바이트를 말렸다. 아들은 ‘어려운 가정형편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다.’는 기쁨이 앞섰다. 그러나 엄마는 전화를 받지 않...
    Views4827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