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7.05.12 15:31

독방 체험

조회 수 539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감옥체험.jpg

 

 

 죄를 짓지 않고도 스스로 감옥행을 택한 이들이 있다. 감옥은 자유를 구속하는 곳이면서도 누군가에게는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고 통찰력을 기르는 깨달음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쇠창살만 없지 영락없는 교도소다. 5㎡(1.5평) 남짓한 독방 28개가 복도를 마주하고 위아래로 늘어서 있다. 각 방에는 세면대와 변기가 있고, 식사도 배식구를 통해 넣어 준다. 강원 홍천군 남면 용수리에 마련된 사단법인 행복공장의 <내 안의 감옥>이다. 행복공장은 ‘독방에서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통해 개개인이 행복해지고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위기와 갈등을 극복하자’는 취지로 문을 열었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20대부터 70대까지 나이는 물론 직업도 모두 다양하다. 이들은 마치 교도소 수감자들처럼 번호표가 붙은 수의 비슷한 옷을 입고 독방에 들어가 24시간 동안 수감자가 된다. 오후 2시, 방 안에는 간단한 침구와 세면대가 달린 화장실, 그리고 필기도구만 있다. “처음 들어갔을 때 문이 ‘찰칵’ 하고 잠기는데 가슴이 ‘철렁’하더군요. 그 ‘찰칵’ 하는 소리가 가슴을 두드려요. ‘내가 갇혀 있는 거지, 이제 내 마음대로 나갈 수가 없는 거고, 나는 자유롭지 못하고’ 그런 생각들이 올라오더라고요.” 한사람은 ‘아, 어떻게 견디지?’하는 생각이 엄습했다. 단절된 느낌, 뭔가 끊어지는 느낌에 ‘살짝’ 두렵기도 했던 것이다.

 

 핸드폰이 없으면 견디지 못하고 TV. 인터넷이 없이는 갑갑해서 견디지 못하는 일상에서 벗어나 다 끊어버리는 것은 대단한 결단이다. 감옥에 갇혀있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과연 어떤 생각을 할까? 현직 변호사는 원인모를 눈물이 흘러 주체를 못한다. ‘내가 무엇을 위해 그리 바쁘게 달려왔던가?’에 대한 회한이었다. 중직 회사원은 그냥 누워 허공을 주시하며 몇 시간을 보낸다. 어떤 사람은 몇 시간이나 좁은 감방을 서성인다. 그러다가 ‘내가 스스로 이곳에 온 것이 다행이다. 정말 죄를 짓고 감옥에 갇혔다면 어쩔 뻔했을까?’하며 자신을 위로한다.

 

 두려움 반, 기대 반-그렇게 사람들은 각자 독방에서 24시간을 보낸다. 그들의 목적은 ‘나를 찾는 것’이었다. 너무 바쁘게 살아온 삶을 잠시 멈추고 <감옥>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통해서 자신을 성찰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어떤 이는 생각 끝에 ‘유언장’을 작성해 보기로 한다. 그는 말한다. “그런데 그건 너무 빨리 끝나더군요. 그걸 쓰는 데 딱 10분 걸렸습니다.” 하지만 그는 유언장을 쓰며 심연 깊이 숨어있는 “욕심”을 끌어내는데 성공한다. ‘아, 그래. 모든 것이 내 욕심에서 시작되었구나!’

 

 독방의 유리창은 날이 어두워지며 거울이 된다. 그리 선명하지는 않지만 창문 거울에 비추어지는 얼굴을 대하며 사람들은 또 다른 명상에 잠긴다. ‘아직도 내가 버려야 할 게 많구나. 혼탁한 구석이 많구나.’ 큰 깨달음은 없었지만 모처럼 자신과 대화하는 시간을 사람들은 독방에서 체험한다. 현직 교수는 독방에 들어가자마자 잠부터 잤다. 깨어나니 불현듯 과거 일들이 주마등처럼 스쳐가기 시작했다. ‘기뻤던 일, 잘못했던 일들, 행복했던 순간들.’ 생각이 꼬리를 문다. 그러다가 ‘만약 지금부터 1년만 살게 된다면?’ 질문을 던진다. 가족들에게는 정말 미안하지만 ‘마지막 1년을 즐기다 가리라!’ 생각하다 ‘피식’ 웃는다.

 

 왜 사람들은 하필 독방에 스스로 갇힌 것일까? 혼자 있기 위해서이고 결국은 자신을 만나기 위해서이다. 드디어 독방에 갇혔던 시간이 끝나고 24시간 만에 감옥 문이 열린다. 사람들은 “정신적으로 샤워하고 난 느낌이었다.”고 고백한다. “완전히 깨끗한 건 아니더라도 한결 정신이 맑아지고 차분해졌다. 충전을 한 것 같다.”는 소감이 이어졌다. 알면서도 내려놓지 못하는 것들을 독방체험을 통해서라도 실천해 보려는 현대인들의 몸부림에 안타까움이 밀려왔다.

 

 “사람이 행복하지 않은 이유는 작은 방에 혼자 머무르는 법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라는 파스칼의 말에 동감하면서도 “과연 기독교는 지금 무슨 역할을 하고 있는지?” 질문을 던져본다. 그러면서 때로는 혼자 있는 시간을 통해 삶의 현주소를 점검해보는 것도 지혜라는 깨달음이 왔다.


  1. 톡 쏘는 느낌을 갖고 싶어~~

    미혼 시절에는 이성에 반하는 타입이 다채롭다. 남자들은 공히 곱게 빗어 넘긴 생머리에 청순가련형의 인상을 가진 여성들에게서 시선을 놓지 못한다. 반면 여성들은 과묵한 남자에 끌린다. 촐싹대고 말이 많은 남자보다는 묵직한 인상으로 분위기를 주도하는...
    Views47426
    Read More
  2. 슬프고 안타까운 병

    초등학교 시절. 방학을 손꼽아 기다렸다. 포천 큰댁으로 달려갈 생각에 가슴이 설레었다. 드디어 방학을 하고 시골에 가면 집안 어른들에게 두루 다니며 인사를 하고 후에 누이와 가는 곳이 있었다. 바로 외가댁이었다. 걸어서 30분이면 외가에 도착을 했고 ...
    Views41633
    Read More
  3. 어머니∼

    누구에게나 마음의 고향이 있다. 바로 어머니이다. 나이가 들어도 안기고 싶은 곳은 어머니 품이다. ‘남자는 평생 엄마의 품을 그리워하며 산다.’는 속설이 있다. 그래서 결혼을 위해 많은 교제를 하다가도 결국은 어머니 같은 여인과 결혼을 하...
    Views49624
    Read More
  4. 손을 보며

    손을 들여다본다. 손등이 눈에 들어오고 뒤집으면 바닥이 매끄럽게 드러난다. 각각 다른 길이의 손가락이 조화를 이룬다. 손가락을 구부려 움켜쥐면 금새 동그란 주먹이 만들어 진다. 손가락마다 무늬가 새겨있는데 지문이라 부른다. 지문이 같은 사람이 없다...
    Views42622
    Read More
  5. 있을 때 잘해!

    한 부부가 차에 기름을 넣기 위해 주유소에 들어왔다. 주유소 직원은 기름을 넣으면서 차의 앞 유리를 닦아준다. 기름이 다 들어가자 직원은 부부에게 다 되었다는 신호를 보낸다. 그런데 남편이 “유리가 아직 더럽네요. 한 번 더 닦아주세요.”라...
    Views47466
    Read More
  6. 저는 휠체어 탄 여행가입니다

    장애인들이 제일 좋아하는 것은 여행이다. 장애인들은 내달리는 차에 올라 차창 밖으로 펼쳐지는 풍경을 무척이나 즐긴다. 일명 휠체어 여행가가 있다. 홍서윤. 그녀가 주인공이다. 자신을 휠체어 탄 여행가라고 소개하면 주위 사람들은 다들 깜짝 놀란 얼굴...
    Views47882
    Read More
  7. 그 분이 침묵 하실 때

    하이웨이에 차량들이 제 속도를 내며 원활하게 소통될 때 시원함을 느낀다. 누구와 하며 공감대를 느낄때에 통쾌함을 느낀다. 야구 경기의 흐름이 빨라지면 흥미진진함을 느낀다. 드라마를 볼 때도 스토리를 신속하게 풀어나가는 작가를 사람들은 좋아한다. ...
    Views47380
    Read More
  8. 사투리 정감(情感)

    서울 전철 안에서 경상도 사나이들이 너무도 큰소리로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한켠에 승차한 여성 두 명이 두 사람을 쳐다본다. 하는 말이 “아니, 왜 저렇게 시끄럽게 떠들지?” “외국사람 같은데” “아냐, 우리나라 사람이야&rd...
    Views44794
    Read More
  9. 내 옷을 벗으면

    사람들은 모두 옷을 입는다. 아침에 샤워를 마치는 순간부터 사람들은 ‘무슨 옷을 입고 나갈까?’를 고민한다. 여성들은 남성들이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옷에 예민하다. 옷 입는 모습을 보면 그 사람의 성향과 추구하는 삶의 방향을 엿볼 수 있다....
    Views47053
    Read More
  10. “성일아, 엄마 한번 해봐. 엄마 해봐…”

    나이가 들어가는 장애인들의 소망은 결혼이다. 문제는 장애인과 장애인이 부부가 되었을 때 그 사이에서 태어나는 2세를 생각해야 한다. 선천 장애인들끼리의 결혼은 같은 장애를 가진 아이가 태어날 가능성이 높다. 여기 장애에 대물림으로 아파하는 사람이 ...
    Views47952
    Read More
  11. 2018년/ 이제 다시 시작이다!

    대망의 새해가 밝았다. 세월의 흐름 속에 사연을 안고 새해의 품안에 안긴다. 처음에는 어색하지만 곧 익숙해 질 것이다. 우리는 당연한 마음으로 새해의 문턱에 들어서고 있지만 세상을 떠나간 사람들이 그토록 살고 싶어 했던 내년이 2018년이다. 영어로 선...
    Views51929
    Read More
  12. 참, 고맙습니다!

    2017년이 단 이틀 남았다. 돌아보면 은혜요, 일체 감사뿐이다. 고마운 분들을 그리며 금년 마지막 칼럼을 쓰고 있다. 그때그때마다 다가와 위로해 주던 많은 사람들, 여전히 그 자리에서 사역에 힘을 실어주는 분들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 어린...
    Views52526
    Read More
  13. 깡통차기

    초등학교 시절, 학교를 나서며 찌그러진 깡통 하나를 발견했다. 처음에는 장난삼아 ‘툭툭’치고 가다가 시간이 지나며 ‘사명감’(?)에 차고 나가고, 나중에는 오기가 발동하면서 집에 올 때까지 ‘깡통차기’는 계속된다. 잘...
    Views50308
    Read More
  14. 특이한 언어 자존심

    사람은 말을 해야 사는 존재이다. “언어가 통한다는 것”은 대단한 것이다. 아무리 좋은 내용이라도, 아무리 재미있는 ‘조크’도 알아듣지 못하면 전혀 효과가 없다. 우리는 대한민국 사람이다. 따라서 한국말을 쓴다. 그런데 우리가 ...
    Views52859
    Read More
  15. 울고 싶을 때는 울어야 산다

    인생을 살다보면 억울하고 답답하고 나도 모르게 눈물이 솟구치는 순간을 맞이할 때가 있다. 내 불찰과 잘못으로 일이 벌어지기도 하지만 순항하던 내 삶에 난데없는 사람이나, 사건이 끼어들면서 어려움을 당할 때가 있다. 그런데 정작 울려고 하는데 눈물이...
    Views50851
    Read More
  16. 얘야, 괜찮아. 다 모르고 그랬는걸 뭐!

    누구에게나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한 순간, 한 마디의 말, 한 사람이 인생전반에 은은한 잔영으로 남아있게 마련이다. 어느 날 문득 삶을 되돌아보면 말로 표현하기 힘든 그 무언가가 끊임없이 나에게 에너지를 주고 있었음을 깨닫는다. 고등학교 3학년, 예...
    Views48661
    Read More
  17. 살아있는 날 동안

    아르바이트 면접에 합격한 아들은 곧장 엄마에게 전화를 걸었다. 사실 엄마는 “공부하라”며 아들의 아르바이트를 말렸다. 아들은 ‘어려운 가정형편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다.’는 기쁨이 앞섰다. 그러나 엄마는 전화를 받지 않...
    Views46815
    Read More
  18. 공항의 두얼굴

    1970년대 공항에 대한 노래가 유행한 적이 있었다. “공항 대합실” “공항에 부는 바람” “공항의 이별” 가수 ‘문주란’은 굵고 특이하면서도 구성진 창법으로 연속 히트를 쳤다. 그때만 해도 특권층만이 국제 ...
    Views52452
    Read More
  19. 꼰대여, 늙은 남자여!

    사람은 다 늙는다. 여자나 남자나 다 늙어간다. 나이가 들어가는 서러움을 달랠량으로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소리쳐 보지만 늙어가는 것은 어찌할 수가 없다. 젊은이들에게 나이든 남자의 이미지를 물었다.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
    Views53177
    Read More
  20. 아미쉬(Amish) 마을 사람들

    사람들은 유명하고 소중한 것이 가까이에 있으면 그 가치를 모르는 것 같다. 우리로 말하면 “아미쉬 마을”이다. 아미쉬는 푸르른 초원을 가슴에 안은 채 특유의 삶을 이어간다. 아미쉬의 특징은 전기, 자동차, 텔레비전 같은 문명의 이기를 철저...
    Views546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