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4:08

깍두기

조회 수 8092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990285165_ebfb5162_C1F8B4DEB7A13.jpg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 중에 하나가 “깍두기”이다. 무우를 알맞은 크기로 잘라 적당히 양념을 버무려놓으면 감칠맛 나는 “깍두기”가 탄생한다. “깍두기”하면 설렁탕이 생각나는 것은 둘이 너무나 궁합이 잘 맞기 때문이다. 설렁탕 국물에 “깍두기”를 겸하면 부러울 것 없는 식탁이 된다. 한국 사람치고 “깍두기”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배추김치도 좋지만 “깍두기”는 독특한 맛을 고수하고 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신조어가 생겨났다. “깍두기”는 분명히 김치이름인데 사람을 “깍두기”로 부르기 시작한 것이다. 바로 ‘조직폭력배’를 가르키는 말이다. 아마 육중한 체격에 옆을 바짝 쳐서 깍은 머리모양이 “깍두기”를 연상시키기에 붙여진 것 같다. 그 순수하고 맛있는 “깍두기”김치가 끔찍한 조폭을 지칭하는 말이 된 것은 너무도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오늘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은 김치도 아니고 조폭과는 전혀 다른 “깍두기”이다. 내가 어린 시절에는 갖가지 놀이가 많았다. 지금 아이들은 컴퓨터나 게임기에 얽매어 살았지만 우리는 동무(친구의 옛 호칭)들끼리 서로 부딪히며 우정을 쌓아 갔다. 만나면 서로 편을 갈라 경쟁하는 놀이를 많이 했다. 그러다보면 꼭 끼어드는 아이들이 있었다. 아니 끼어든다기보다 어머니가 돌보라고 맡겨놓은 동생들이 있었다. 놀이는 해야 하겠고 동생도 돌보아야 하는 상황에서 등장하는 것이 “깍두기”였다. 어린 아이라고 해서 쫓아버리거나 구석에 처박아 놓는 일이 없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데리고 놀아주는 것이 “깍두기”였다. “너는 깍두기다.” 그때부터 친구 동생의 눈에서 빛이 난다. 사실 “깍두기”는 역할이 없다. 편도 없다. 상황에 따라 이편저편을 돌아가며 게임의 흐름을 이어간다.

하지만 “깍두기” 본인도 소외당하지 않고 존재감을 불어넣어주며 한때를 이어 갈 수 있어 좋았다. 물론 상대가 되지는 않는다. 그런데도 다들 “너는 깍두기다.”라는 한마디에 아이들은 없는 힘까지 뽑아내며 최선을 다했다. 지금 생각해 보니 참으로 지혜롭고 현명한 편법이었다. 누구도 소외시키지 않으면서 공동의 목적을 이루는 좋은 방법이었던 것이다. 그러고 보니 우리 밀알선교단에도 “깍두기”들이 있다. 분명히 장애인인데 “자신은 장애가 없다.”고 한다. 자신의 장애를 순순히(?) 인정하지 않는 사람에게 굳이 “당신은 장애인이야!”라고 할 필요는 없다. 봉사차원에서 나와 다른 장애인들을 성심으로 돌보는 그들은 실로 “아름다운 깍두기”인 것이다.

어른들끼리 윷놀이를 할 때면 꼭 철모르는 아이들이 “자신도 끼워 달라.”고 할 때가 있다. 그때 자연스럽게 쓰는 방법이 “깍두기 전법”이다. “그래 너는 깍두기다.”하고는 기회가 될 때면 윷을 던지게 한다. 그러면 아이들의 마음을 상하지 않고 기분 좋게 흐름을 이어갈 수 있다. 신이 나서 집어 던지고 또 다음 차례를 기다리는 모습은 얼마나 넉넉한 장면인가? 대학시절에 <영문학 개론>을 접하면서 서양과 동양의 애정관이 극명히 다름을 깨달은 적이 있다. 영국, 프랑스, 독일의 고전 문학에 나타나는 남녀의 애증(愛憎)의 관계에 있어서 만일 상대방이 배신을 하면 남자이건 여자이건 상대방을 찾아가 복수를 하고 피를 보는 것으로 결말이 난다.

우리나라는 다르다. 김소월의 시 “진달래 꽃”은 이렇게 시작된다.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애간장을 태우면서도 님을 보내드리는 것이 우리의 정서이다. “일출봉에 해 뜨거든, 월출봉에 달뜨거든 날 불러주오” 얼마나 순수하고 낭만이 있는가? 우리나라 문화는 문자 그대로 [깍두기 문화]이다. 애정도 그렇고, 시합도 그렇고, 오락도 그렇다. 약한 자도 참여시키고, 패자에게도 부활의 기회가 주어지는 진정한 깍두기 인간형이다. 큰사람이 누구인가? 덕이 있는 사람이다. 덕은 아량이다 배려이다. “넌 안돼!”가 아니라 “너는 깍두기다.” 기회를 주는 것이다. 내 것만 옳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집이다. 시각을 바꾸면 상대방의 말이 더 맞는 말일 수도 있다. 내치지 않고 끌어안는, 능력위주 보다는 한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아름다운 사회가 되기를 “깍두기”를 통해 조명해 보고 싶다.


  1. 스쳐 지나간 사람들 속에 내 모습이 있다

    인생을 길게 살아왔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사람들을 만났다는 이야기가 된다. 어린 시절에 만나 긴 세월을 여전히 만나는 사람들. 일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만나는 사람들. 그립고 사랑해서 만나는 사람들. 그냥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 만남의 형태는 다양하다...
    Views55176
    Read More
  2. 행복을 원하십니까?

    새해가 밝자마자 시카고 집회를 다녀와 보니 어느새 1월 중순이다. 시카고의 겨울이 그렇게 매서울지 몰랐다. 집회를 인도하는 동안 온몸을 움츠리고 이동을 해야만 하였다. 5일 만에 돌아오는 비행기 상공에서 바라본 필라는 온통 하얀색이었다. 내가 없는 ...
    Views58351
    Read More
  3. 2017년 첫 칼럼 "미지의 세계로"

    새해가 밝았다. 60년 만에 찾아온 ‘붉은 닭띠 해’라며 사람들은 호들갑을 떤다. “띠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통계학으로 보면 혈액형, 고향, 인종, 띠는 전혀 근거 없는 낭설은 아니다. ‘그런 유형...
    Views58389
    Read More
  4. 아름다운 매듭

    실로 격동의 2016년이 마무리되어 가고 있다. 미국은 대선을 치르느라 분주했고, 한국은 말을 꺼내기조차 두려운 현실이 이어지고 있다. “다사다난!”이란 사자성어가 적합한 한해였던 것 같다. 또한 성경 잠언 16:9 “사람이 마음으로 자기...
    Views55056
    Read More
  5. 초심(初心) 지키기

    이제 막 입학한 신학생들의 모습을 꼬집는 ‘조크’가 있다. 처음 입학하면 목사처럼 산다. 처음 신학대학에 입학하던 때가 생각난다. 신기하고 두렵고 희한하고 기분이 묘했다. ‘와우, 내가 신학생이 되다니!’ 걸음걸이도, 말씨도, 마...
    Views57207
    Read More
  6. 흘러가는 세월을 붙잡고

    세월은 흐르는 물처럼 빨리도 지나간다. ‘그런 말은 결코 다시 쓰지 않으리라!’ 다짐을 하건만 이맘때가 되면 또다시 되뇌이게 된다. 젊음이 오랜 줄 알고 그냥 저냥 지내던 20살 때에 고향 ‘포천’에서 사촌 형님이 오셨다. 우리 집...
    Views59625
    Read More
  7. 비바람 너머 별들은 빛나고 있으니

    부르기만 해도 설레이는 단어가 “결혼”이다. 사랑해서 만나고 영원히 헤어지기 싫어 결혼을 한다. 신혼에 행복하지 않은 부부가 어디 있으랴! 환상을 꿈꾸며 가정을 꾸미지만 신혼의 단꿈이 사라지고 결혼이 차디찬 현실로 다가 올 때에 부부는 ...
    Views53578
    Read More
  8. 인생을 3D로 살라!

    바야흐로 3D 시대가 열렸다. 3D란 “Three Dimensions, Three Dimensional”의 약자로 수학에서 공간 내에 있는 점 등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축의 개수를 말한다. 평면에 포함된 한 점의 위치를 지정하는 데에는 두 개의 숫자가 필요하다....
    Views57728
    Read More
  9. 내 목소리가 들려?

    사람들은 각자 다른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각자의 지문이 다르듯이 사람들은 독특한 목소리를 소유하며 살고 있다. 나는 20대 초반, 교회 ‘어린이 성가대’를 지휘한 경험이 있다. 음악적인 재능은 어느 정도 가지고 있었지만 지휘는 ‘문외...
    Views56300
    Read More
  10. 수은주의 눈금이 내려가면 그리움의 온도는 올라간다

    가을이 깊어간다. 어느새 겨울의 반갑지 않은 입김이 서서히 옷깃을 여미게 한다. 서부에 살 때에는 한결같은 청명한 날씨가 지루하게 느껴질 때도 있었지만 동부는 그런 여유를 가질 틈도 없이 계절이 옷을 갈아입고 있다. 흩날리는 가을 낙엽 속에서 불현 ...
    Views60828
    Read More
  11. 시간이 더디갈 때

    나만 그러는 줄 알았다. 약속시간에 늦어 열심히 자동차 페달을 밟아대지만 신호등은 계속 빨갛게 변하며 나를 멈추게 한다. 넉넉히 시간을 잡고 집을 나서서 ‘약속장소에 너무 일찍 도착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하는 순간부터 신호는 왜 그리 녹...
    Views55130
    Read More
  12. 내가 그리는 가을 그림

    사계절이 주는 의미는 다양하다. 철이 없을 때는 기온의 차이로만 느꼈지만 나이가 들어가며 계절의 감각이 새롭게 다가온다. 여자는 봄에 예민하고 남자는 가을을 타는가보다. 봄의 의미는 신비이다. 여자는 참으로 신비한 존재이다. 사춘기 시절에 접어들며...
    Views55239
    Read More
  13. 그때 그 소녀들의 함성 “밀알의 밤”

    밀알의 밤이 열네 번째 기적을 남기며 막을 내렸다. 스산한 가을기운을 헤치고 찾아온 수많은 동포들의 사랑을 가슴에 머금을 수 있었음이 행운이다. 가을은 결실의 계절이다. 갖가지 과일과 다양한 모양의 곡식이 저마다 풍성한 열매로 한해의 삶을 그려낸다...
    Views56946
    Read More
  14. 태국 & 국왕

    2년 전, 처음으로 태국을 방문했다. 절친한 김 목사가 방콕으로 선교를 간지 14년만이다. 선교하는 “태국 새비전교회” 예배당 건축을 기념하여 “와서 부흥회를 인도해 달라!”는 친구의 강청에 이끌리어 태국행을 결단했다. 공항은 동...
    Views59432
    Read More
  15. 누가 알리요, 부모의 심정을!

    “장애인 아들 감금 폭행한 비정(非情)의 목사 부부” 언젠가 한국에서 보도된 신문 기사 제목이다. 목회자가 장애를 가진 아들을 감금하고 폭행까지 하다니! 그것도 10년 동안이나. “발에 긴 쇠사슬을 묶어 도망을 가지 못하게 만들었다&rdq...
    Views58756
    Read More
  16. 가을남자 박완규

    밀알의 밤이 두주 앞으로 다가왔다. 게스트를 확정하고 밀알 단원들에게 “아직 멀었지만 미리 기도로 준비하자!”고 하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지척이다. 가을은 묘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 삶을 돌아보게 하고 항상 들었던 음악의 느낌을 가슴으로 ...
    Views59357
    Read More
  17. 여기가 좋사오니

    사람은 누구나 안정된 환경과 분위기를 원한다. 예수님의 제자들도 그랬다. 예수님과 변화산(헬몬산)에 올라 예수님의 형상이 변화하고 황홀경을 경험하며 베드로는 외쳤다. “주님, 여기가 좋사오니!” 그 고백은 모든 사람들의 공통적인 욕구인지...
    Views57822
    Read More
  18. 가는 길 다시 묻고, 묻고 물어

    “니이체”는 인간의 의식 발전을 세 단계로 이야기한다. 첫째. 낙타의 단계: 낙타는 무거운 짐을 지고 가는 짐승이다. 시키는 대로 하고 입력된 대로 산다. 물음이 없다. 저항도 없다. 평생 하라는 대로만 하는 영성지수 100-150의 단계이다. 둘째...
    Views60094
    Read More
  19. 야구 몰라요!

    매우 친숙한 목소리, 걸쭉한 입담, 야구인다운 외모. 수십 년간 야구해설가로 명성을 날리며 모두에게 친숙하게 다가온 남자. 그는 야구해설을 하다가 종종 외쳤다. “야구, 몰라요!” 상상을 초월하는 역전극이 벌어질 때나 경기흐름이 예상을 벗...
    Views57654
    Read More
  20. 행복한 부부생활의 묘약

    누구나 행복하기 위해 결혼을 한다. 그런데 “행복”이라는 것이 말처럼 쉽게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님을 얼마 지나지 않아 깨닫는다. 실로 결혼은 “종합 예술”이라고 하면 지나친 표현일까? 세상에서 남녀가 만나 한 가정을 이루며 산다...
    Views6291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