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817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규환 교수.jpg

 

 

  삶에는 시련이 있다. 하지만 극한 장애가 찾아온다면 견뎌낼 사람이 있을까? 그것도 온몸이 마비되는 경우에 말이다. 그런데 그런 드라마에나 나올듯한 상황을 역전시켜 당당히 살아가는 주인공이 있다. 이규환 교수. 그는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치과 진료를 하는 현직 의사이다. 원래 체격 좋고 공부도 잘해서 남 부러울 게 없었던 청년이었다. 그런데 그만 2002년 다이빙을 하다가 목이 부러지는 사고를 당한다. “오지게 다쳤네.” 병원에 실려 온 이규환을 본 의사의 첫 마디였다. 결국 그 사고로 신경, 운동 기능과 관련된 5, 6번 경수 손상으로 전신마비 장애인이 되었다. 치대 본과 3학년 시절이다.

 

  188cm에 운동을 좋아하던 그는 하루아침에 전동 휠체어 없이는 움직일 수 없는 신세가 되었다. “깨어나 보니 중환자실이었습니다. 아직도 그때를 잊지 못합니다.” 얼굴 아래는 물론 손가락마저 감각이 없는 것을 깨달으며, 그는 깊은 암흑 속에 들어간다. 이규환은 의사에게 수면제를 달라고 했다. “‘이게 꿈이라고, 다시 돌아갈 것이라고 생각하고 계속 자보았는데 현실이더라구요. 원망이 나오기 시작하더군요. 하늘에 욕도 하고 나 좀 죽여달라고 했지만 현실을 받아들여야만 하였다.

 

  중환자실에서의 악몽을 이규환은 생생히 기억한다. “매일 매일 고통의 공간이었습니다. 사람은 죽어 나가고 비명이 들리는 공간이었습니다. 책을 읽어야만 그 상황을 견딜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덕분에 당시 병원에서 100권 정도를 읽었다고 한다. 모두 포기하라고 했지만 그는 수술 1년 만에 다시 학교로 복학했다. 하루 대부분을 앉거나 누워서 보내야하는 전신마비 장애인들은 피부 욕창 등이 자주 발생될 수 있다. 그 역시도 욕창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자신의 몸에 욕창이 생긴 줄도 모르고 공부에 열중하였다. 엄청난 고통과 심적 부담을 겪어야만 했다. 하지만 그때마다 동기, 후배들의 도움과 격려로 견뎌낼 수 있었다. 끝없는 노력 끝에 결국 이규환은 세계 최초의 중증 장애인 치과의사가 되었다.

 

  의사가 되었다고 끝이 아니었다. 예민한 기술이 필요한 치과 진료는 새로운 도전을 필요로 하였다. 그는 자신의 팔에 끼워 쓸 수 있는 특수도구를 개발했다. 전담 위생사의 도움을 받아 드디어 병원을 개업했다. 개업하여 마주친 첫 환자는 휠체어에 앉은 그를 보자마자 병신에게 진료받기 싫다는 막말을 내뱉고 돌아섰다. 그가 보는 앞에서 침을 뱉고 나가는 환자도 있었다. 같은 돈을 내고 치료를 받는 것이니 모든 상황을 감내해야만 하였다. 어느 정도 각오는 했지만 너무도 가혹한 현실이었다. 10명이 방문하면 7명은 진료를 받지 않고 그냥 돌아갔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았다. 다른 의사는 30분이면 끝내는 스케일링도 이 씨는 1시간 넘게 걸렸다. 그러나 그는 환자에게 시간이 두 배 걸리는 대신 제가 세계에서 가장 꼼꼼하게 해 드릴 께요라며 온 정성을 다했다. 그의 진심과 실력은 통했고 하나둘 환자가 늘어갔다. 지금은 분당서울대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검사, 상담, 판독, 예방 클리닉을 담당하는 교수로 일하고 있다. 이 교수는 장애인도 모든 일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비장애인보다 10배의 노력을 할 각오만 있으면 말입니다.”고 다부지게 말한다. 이런 대단한 일들을 감당해 낸 그이지만 항상 부모에게는 평생 불효자라고 되뇌인다. 그가 다쳤을때에 부모는 실신하다시피 했지만 다시 일어서려는 그를 누구보다 응원해 주었다.

 

  이규환 교수는 하늘이 자신에게 이런 길을 가도록 만든 뜻이 있을 것이라고 고백한다. 장애를 가지게 되면서 보이지 않았던 것들이 보이며, 그는 자신이 가진 재능을 바탕으로 의료봉사를 하기 시작했다. 우리 필라밀알선교단에도 4분의 전신마비 장애인이 있었다. 그들을 처음 만났을때에 전이되어오는 아픔 때문에 힘들었던 때가 있었다. 그것은 같은 장애인으로서의 동병상련이었다. 극한 장애를 이겨내고 가장 예민한 감각이 필요한 치과의사로 살아가는 이규환 교수를 그래서 더욱 존경하고 귀하게 바라본다.

 

 

 

 

 


  1. No Image

    개 팔자의 격상

    동물 중에 사람과 가장 가까운 존재가 개일 것이다. 개는 어디에나 있다. 내가 어릴때에도 동네 곳곳에 개가 있었다. 그 시절에 개는 정말 개 취급을 당했다. 개집도 허술했고, 있다고해도 지저분하기 이를데 없었다. 개가 먹는 것은 밥상에서 남은 음식찌꺼...
    Views2737
    Read More
  2. No Image

    눈 뜨면 이리도 좋은 세상

    감사의 달이다. 한해를 돌아보며 그동안 누려왔던 은혜를 되새김해 본다. 알게 모르게 도움을 준 분들을 생각한다. 지난 3년의 세월동안 우리는 코로나에 휩싸여 살아야 했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세균이 번지며 일상은 여지없이 무너졌다. 이제 거추장스럽던...
    Views2919
    Read More
  3. No Image

    등대

    항구마다 바다를 마주한 아름다운 등대가 있다. 등대는 가야 할 길을 몰라 방황하는 배와 비행기에 큰 도움을 주며, 때로는 많은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도 한다. 등대 빛을 알아볼 수 있는 최대 거리를 ‘광달거리’라 한다. 한국에서 광달거리가 큰...
    Views2706
    Read More
  4. 외다리 떡장수

    최영민(48)은 다리 하나가 없다. 어릴 적에는 부모에게 버려진 아픔이 있다. 열살이 되던 해, 하교 길에 횡단 보도를 건너다 버스에 치어 왼쪽 다리를 잃었다. 사고 후 그는 너무 절망해서 집안에 틀어박혀 살았다. 그러다가 매일 도서관을 찾는 일이 일상이 ...
    Views3160
    Read More
  5. 가을 창가에서

    사람마다 계절의 감각을 달리 느낀다. 여성들은 봄의 감성에 손쉽게 사로잡힌다. 나는 가을을 탄다. 가을의 스산한 바람이 옷깃을 스치면 원인 모를 외로움이 살며시 고개를 내어민다.홍릉의 가로수 마로니에 잎이 흐드러지게 날리는 것을 보며 사춘기를 넘어...
    Views3454
    Read More
  6. 천국에는 아라비아 숫자가 없다

    태초에는 숫자가 없었다. 그래서 열손가락을 사용했고, 셈을 하느라 애를 먹었다. 그러다가 오늘날 통용되는 아라비아 숫자까지 발전을 해왔다.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각자에게 번호가 주어진다. 키가 작은 아이부터 숫자가 주어졌다. 어릴 때부터 키가 작았던...
    Views3692
    Read More
  7. 남편의 위상

    “결혼 안하는 남자”라는 영상을 보았다. 소위 전문직에 종사하는 엘리트 총각들이 모든 것을 다 갖추고도 결혼을 안 하는 현대의 자화상을 담아낸 영상물이었다. 인물, 신장, 집안, 학력 모두 상당한 수준에 있는 젊은이들이었다. 거기다가 전문...
    Views3967
    Read More
  8. 내게 한사람이 있습니다

    우연히 차를 몰다가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 때문에 미소를 짓기도 하고 입을 ‘삐죽’여 보기도 한다. 나를 행복하게 했던 한 사람이 있었다. 내 눈에서 눈물이 나게 했던 야속한 한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세월은 안 좋은 생각은 다 걷어 ...
    Views4052
    Read More
  9. 보람과 아쉬움

    매년 가을이면 기대하던 밀알의 밤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열일을 젖혀놓고 매년 참석하는 분들이 고맙기 그지없다. 밀알의 밤 준비는 행사 3개월 전에 출연자를 결정하는 기획에 들어가고, 19년째, 40일 금식을 이어가며 준비하게 된다. 힘은 들지만 마음...
    Views3911
    Read More
  10. No Image

    마음 속 어린아이

    사람은 누구나 궁금함에서 삶을 시작한다. 그것을 호기심이라고 하기에는 범위가 너무 좁다. 사람의 즐거움은 다양하다. 우선 오감을 자극시켜 주는 즐거움이 있다. 사람의 인지능력은 시력을 통해 가동되는 경향이 높다. ‘무언가 새로운 것을 보고 싶...
    Views4150
    Read More
  11. No Image

    이태백

    칼럼 제목을 보고 옛날 당나라의 풍류 시인 “이태백”을 떠올렸다면 미안한 마음이 든다. “이십대 태반이 백수”의 약자이다. 희망에 부풀어 살아야 할 청년 실업자가 100만명을 넘어선 지 오래이다. 실로 취업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Views4243
    Read More
  12. 행복의 샘, 밀알의 밤

    미국 역사상 최대의 재벌은 록펠러이다. 그는 만고의 노력 끝에 억만 장자가 되었지만 행복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보통 돈만 많아도 행복할 것이라 생각이 드는데 말이다. 55세에 그는 불치병을 만나 “1년 이상 살지 못한다”는 사형 선고를 받게 ...
    Views4309
    Read More
  13. No Image

    사랑이 다른 사랑으로 잊혀지네

    인생사에 사랑보다 더 소중한 것이 있을까? 사랑으로 태어나고 사랑으로 사람은 성장한다. 우연히 “회장님댁 사람들”이라는 영상을 보았다. 장장 22년을 방영한 인기 드라마 <전원일기>를 재구성하는 케이블방송이었다. 마침 <쎄시봉>팀들이 출연...
    Views4309
    Read More
  14. No Image

    밥상의 주인은 밥이다

    팬데믹을 지나며 놀라는 것은 물가가 너무 올랐다는 것이다. 차 운행이 필수인 미국에서 개솔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지인들을 만나 식사를 할라치면 음식 가격에 눈이 휘둥그레진다. ‘런치 스페셜?’ 옛날이야기이다. 저렴한 스페셜이...
    Views4227
    Read More
  15. No Image

    철학자의 인생론

    한때 ‘철학계의 삼총사’로 불리우며 다양한 철학논리를 펼친 학자들이 있다. 김형석(연대), 김태길(서울대), 안병욱 교수(숭실대)이다. 철학은 모든 학문의 기초라고 하지 않는가? 나야 대학 초년생때 <철학개론>마저도 고루하게 생각했던 장본인...
    Views4561
    Read More
  16. No Image

    아미쉬(Amish) 사람들

    사람들은 유명하고 소중한 것이 가까이에 있으면 그 가치를 모르는 것 같다. 사실 진리는 가까운 곳에 있는데 말이다. ‘필라델피아’하면 사람들이 떠올리는 것이 있다. 영화 “록키”에서 주인공이 뛰어올라 두 손을 높이 들고 환호하...
    Views4741
    Read More
  17. 장애인들의 행복한 축제

    여름이 다가오면 장애인들과 장애아동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시간이 있다. 바로 “동부 사랑의 캠프”이다. 어떤 때는 밀알선교센터 달력이 다 찢기워 나가고 7월이 펼쳐져 있는 진풍경도 연출된다. 하지만 지난 3년 멈춰서야만 하였다. 끔찍한 팬데...
    Views4528
    Read More
  18. No Image

    그 강 건너편

    사람마다 살아가며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내 생애에 꼽으라면 단연 천정웅 목사님이다. 나를 오늘의 나로 가꾸어 준 멘토이다. 그분은 정말 건강했다. 20대 초반, 교회 청년부에서 ‘아야진’(동해 휴전선 근처 마을)으로 하기수련회를 갔던 때였...
    Views4418
    Read More
  19. No Image

    눈은 알고 있다

    사람에게는 오감이 있다.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이 감각이 살아있어야 사람은 살맛이 난다.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농인들이 있다. 하지만 그들은 수화, 구화를 통하여 청각 마비의 핸디캡을 커버하며 살아간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치명적인 후유...
    Views4489
    Read More
  20. No Image

    때 이른 성공

    신동이란 어린 나이에 별스런 재주를 나타내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지식은 물론, 예 · 체능에서 탁월한 재능을 발휘할때에 그런 명칭이 붙는다. 일단 그를 낳은 부모들이 자긍심을 느끼고, 주위 사람들의 경탄을 불러일으킨다. 우리 시대에도 신...
    Views437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