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48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휠체어.jpg

 

  사람에 대한 호칭이 중요하다. 성도들이 목사님이라고 부르면서 강단에 올라 대표 기도를 할 때에는 그 명칭이 다양해진다. “목사님, 주의 사자, 은 이해가 간다. 어떤 분은 오늘 주의 종님이 말씀을 증거하실때에라고 한다. 종은 종이지 거기에 님을 붙이니 헷갈린다. 우리가 어릴 때는 대통령에게 각하라는 말을 붙였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대통령님이라고 한다. 뭔가 어색하다. 국문학자가 아니기에 어떤 의미로 그렇게 바뀌었는지는 몰라도 높이려면 높이고 낮추려면 낮춰야 하지 않을까? 그런 면에서 같은 직업인데도 호칭이 많이 달라졌다. 시청 청소원을 환경미화원”, 때밀이를 세신사”, 간호원을 간호사”, 미용사를 헤어디자이너”, 보험사원을 생활설계사”, 집안에서 허드렛일을 하는 분을 가사도우미로 부른다. 호칭을 바꾸면서 그 일에 종사하는 분들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 것은 틀림없다.

 

  우리 밀알선교단은 장애인선교를 하는 곳이다. 선교회가 아니라 선교단이라고 하는 이유는 40년 전 밀알선교단을 세울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1979. 그때에는 장애인에 대한 호칭이 거의 없었다. 장님, 꼽추, 절뚝발이, 벙어리, 병신, 바보, 앉은뱅이. 나는 고등학교에 다닐 때지체부자유자로 불리웠다. 밀알선교단을 처음 설립한 이재서 박사(당시 전도사)<선교단>이라는 특이한 이름을 붙였다. 그 의미는 올림픽선수단이 대회를 치르고 나면 해체하듯이 밀알선교단으로 출발해서 교회나 사회 전반에서 장애인 선교를 적극적으로 펼치는 날이 오면 밀알선교단은 자동 해체되어야 한다는 긴장 의식을 갖자는 깊은 의미였다. 내가 설교를 하러 가서 가면 목사님들 대부분은 밀알선교회로 부르고 있다.

 

  그러면 이제 더 예민한 장애인 호칭에 대해 생각해 보자. 처음에는 장애자였다. 그런데 한문으로 놈 라며 사람 이 되었다. 한때 많이 쓰던 명칭이 장애우이다. 듣기가 참 좋아 보인다. 친구 하지만 나이가 지긋한 분들을 향해 장애우라고 부르는 것은 실례이다. 우리 할아버지가 장애우이신데앞뒤가 맞지 않는다. 장애인의 날이라고 하면서 장애우라고 부르는 것도 모순이다. ‘장애인(障碍人)’은 장애를 가진 사람이다. 그런데 장애우(障碍友)’라고하면 장애를 가진 친구가 된다. “나는 장애우입니다.” 이것도 어법에 맞지 않는다. 이제 다시 장애인이 통칭이 되었다. 대한민국에서의 법적인 공식 용어는 장애인이다.

그러면 장애인의 반대말은 무엇일까? 사람들은 정상인이라는 말을 서슴없이 사용한다. 그러면 장애인은 비정상인이라는 말인가? 정상의 기준이 장애가 있고, 없음이라는 잣대를 들이대는 것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건강한 사람들조차 스스로 말한다. “이 세상에 장애인 아닌 사람이 있나요?” 장애인 사역자들이 가장 흔히 듣는 말이다. 장애인의 반대말은 비정상인이 아니라 비장애인이라는 단어를 새삼 각인하게 되는 경우였다.

 

  내친김에 장애인을 부르는 말을 정리해 보고 싶다. 현재 잘못 사용하고 있는 용어를 노골적으로 표현하는 것에 양해를 바란다. 장님, 소경, 봉사는 시각장애인. 애꾸눈, 외눈박이도 같은 명칭을 사용해야 한다. 사팔눈, 사팔뜨기는 사시장애인. 바보, 얼간이, 등신, 백치는 정신지체인. 정신박약, 저능아는 정신지체로 불러야 한다. 그럼 육신이 불편한 분들은 어떻게 불러야 할까? 앉은뱅이, 절름발이, 절뚝발이, 찐따는 지체장애인. 곱사등, 꼽추, 곱사는 척추장애인. 외팔이, 외팔뚝이는 지체장애인 혹은 절단장애인으로 해야 한다. 난쟁이는 왜소증. 언어와 듣는 것에 장애를 가진 분들이 있다. 귀머거리는 청각장애인, 벙어리는 언어장애인. 언청이, 째보는 구개파열장애(언어장애인)로 호칭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전통적으로 Disabled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다. 한때 Handicapped라고 불렀지만 장애우와 비슷한 이유로 쓰이지 않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Disability, Challenged가 있다. 같은 상황이라면 누가 들어도 좋고 특히 당사자들에게 보다 부드럽고 순화적인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바로 배려요, 사랑이다.

 

 

 

 


  1. 언덕에 서면

    불현듯 서러움이 밀려왔다. 뜻 모를 감정은 세월의 흐름에 역행할 수 없는 인생의 한계를 실감해서일까? 2015년이 우리 곁을 떠나려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그 신선한 이름과 반갑게 악수를 나눈 지가 그리 길지 않은 것 같은데 말이다. 참 바쁘게도 살아왔다...
    Views62945
    Read More
  2. 연필, 그 속에 들어있는 이야기

    우리는 연필세대이다. 처음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사용하던 연필은 지금 생각하면 ‘열악’ 그 자체였다. ‘연필심’이 물러 뭉그러지기도 하고 어떤 것은 너무 날카로워 공책을 찢어놓기 일수였다. 어떨 때는 글씨를 쓰다가 연필이 반쪽...
    Views75414
    Read More
  3. 사랑 참 어렵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나 사랑을 갈구하다가 사랑으로 일생을 마감한다. 요람으로부터 무덤까지 사람은 사랑을 위해 살다간다 해도 결코 지나친 말이 아니다. 사랑을 받아 행복해 하기도하지만 때로는 사랑을 구걸하며 살아가기도 한다. 평생 사랑을 베푸는 것...
    Views65057
    Read More
  4. 나도 가고 너도 가야지 11/27/15

    초등학교 3학년으로 기억한다. 나는 그때 경기도 양평군 “강상”이란 곳에 살았다. 세를 들어 살았는데 집 주인은 양평과 강상사이를 오가는 배에 노를 젓는 뱃사공이었다. 집은 동리에서 조금 떨어져 있었고 집 위로 나지막한 산이 있었다. 문제...
    Views66701
    Read More
  5. ‘시애틀’의 비 내리는 밤 11/20/15

    8년 만에 시애틀을 찾았다. 시애틀의 가을향취를 기대했건만 오는 날부터 내내 비가 뿌리고 있다. 비가와도 보통 비가 아니다. 며칠 동안 내내 소낙비가 쏟아지고 있다. 시애틀의 하늘에는 댐이 존재하고 있는듯하다. 처음 비행장을 빠져 나올 때만해도 운치...
    Views77031
    Read More
  6. 아버지의 시선 11/13/15

    나의 아버지는 엄한 분이였고 항상 어려웠다. 동리 분들과 어울리실 때는 퍽 다정다감한 것 같은데 자식들 앞에서는 무표정이셨다. 그것이 사춘기시절에는 못 마땅했다. 이유 없는 반항을 하며 대들어보기도 했지만 아버지는 요지부동이셨다. 나이가 들어가며...
    Views71160
    Read More
  7. 세상에서 가장 슬픈 소원 11/6/15

    영화 <말아톤>을 보면 장애우 “초원”이 엄마와 마라톤 감독 간에 대화가 주목을 끈다. 감독이 초원이 엄마(김미숙 분)에게 묻는다. “아줌마 소원이 무엇입니까?” 망설이듯 하던 초원 엄마가 대답한다. “내 소원은 초원이보다 ...
    Views71218
    Read More
  8. 가을 편지 10/30/15

    우리 집 앞마당에는 커다란 나무 한그루가 자태를 뽐내며 서있다. 이름도 알 수 없는 이 나무는 희한하게 늦은 봄에 잎사귀를 틔우고 가을만 되면 일찌감치 낙엽을 떨어뜨린다. 남들이 새싹을 드러낼 때에는 느긋하다가 느즈막히 잎을 드러내는 것은 그렇다치...
    Views68909
    Read More
  9. 고양이를 아시나요? 10/23/15

    나는 고양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특별한 사연이 있는 것도 아닌데 그냥 싫다. 눈매와 발톱이 너무 날카로워서일까? 아니면 울음소리 때문일까? “야∼∼옹!” 흉내만 내도 기분이 섬뜻해 진다. 무엇보다 어릴 때 보았던 영화 탓이 큰 것...
    Views71851
    Read More
  10. 드라마 법칙 10/16/15

    가까이 지내는 목사님에게 물었다. “드라마 보십니까?” 정색을 하며 대답한다. “드라마를 보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그 목사님 설교는 어째 Dry하다. 드라마를 멀리하는 것이 경건일까? 드라마는 사람들의...
    Views65295
    Read More
  11. 아내는 반응을 고대하며 산다 10/9/15

    사람은 혼자 살수 없다. 다른 사람과 관계를 해야 사는 것이 인생이다. 관계는 네 분야로 나눌 수 있다. 1:1대응, 1:다대응, 다대:다대응, 다대:1대응. 어떤 분은 많은 사람들과는 잘 어울리는데 1:1의 만남에서는 어색해 한다. 여성들은 다대응:다대응보다는...
    Views75046
    Read More
  12. 친구가 되어주세요!10/2/15

    <팔 없는 친구에게 3년간 우정의 팔.> 오래 전, 한국 신문 기사에 난 타이틀이다. 양팔이 전혀 없는 친구를 위해 3년 동안 헌신한 우정에 대한 기사였다. “김영태”군은 6살 때 불의의 감전사고로 양팔을 잃게 되었다. 팔이 없이 살아간다는 것은 ...
    Views74044
    Read More
  13. 반말 & 존댓말 9/25/15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말을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할 정도로 말수가 적은 사람이 있다. 그래서 대화가 되는 것 같다. 말 많은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말을 잘라버리는 상황이 벌어진다. 말이 없는 사람끼리 만나면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나의 가장 ...
    Views67107
    Read More
  14. 바다 그리고 음파 9/18/15

    세상에는 노래가 많다. 사실 들리는 모든 소리가 리듬을 타고 있다. 어린 시절에 우리 동네에는 물레방아가 있었다. 그 옆에는 대장간이 마주했다. 친구들과 심심하면 그 앞에 자리를 틀고 앉았다.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모습은 신기하기 이를 데 없었다. 커다...
    Views64435
    Read More
  15. 니, 우째 잠이오노? 9/11/15

    한국의 격동기 시절. 경남 고성에 18살 먹은 철없는 아가씨가 있었다. 시절이 어려운지라 친정아버지는 ‘부랴부랴’ 혼처를 알아보고 딸을 출가시킨다. 엄처시하의 환경 속에서도 해맑은 신부는 철없는 행동을 하지만 시부모님의 사랑을 받으며 효...
    Views66290
    Read More
  16. 밀알의 밤 바다 9/4/15

    가을이 되면 밀알선교단에서는 음악회를 연다. 2003년 7월. 밀알선교단 단장으로 부임하여 장애인사역의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지만 당시 선교단의 상황은 열악했다. 전임 단장이 채 3년을 채우지 못하고 급작스럽게 사임하면서 시...
    Views64284
    Read More
  17. 나를 만든것은 바람 8/28/15

    미당 서정주 선생은 “자화상”이라는 시에서 이렇게 노래한다. “스믈세햇동안 나를 키운건 8할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 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입에서 천치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Views66887
    Read More
  18. 생각바꾸기 8/14/15

    인생은 한마디로 “어떤 생각을 하고 사느냐?”입니다. 성경은 말합니다. “대저 그 마음의 생각이 어떠하면 그 위인도 그러한 즉”(잠언 23:7). 생각이 그 사람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위대한 발명왕 에디슨은 “천재는 1%의 영감과...
    Views65556
    Read More
  19. 아내는 “에제르”(Ezer) 8/14/15

    하나님은 사람을 만드시되 먼저 남자를 만드셨다. 그리고는 “남자가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판단하시고 여자를 만들어 배필로 주셨다. 아내의 다른 이름은 '돕는 배필'이다. 이 말은 남자 스스로 인생을 만들어내기보다 아내가 ...
    Views77168
    Read More
  20. 장애인을 어떻게 불러야 하나요? 8/7/15

    장애인 호칭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혼돈을 일으킨다. 내가 어릴 때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들을 여과 없이 쏟아냈다. “장애자”에서 다듬어진 호칭은 이제는 “장애인”이라는 말로 정착을 했다. 한때는 “장애우”라는 말을 ...
    Views7338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