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4:08

깍두기

조회 수 832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990285165_ebfb5162_C1F8B4DEB7A13.jpg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 중에 하나가 “깍두기”이다. 무우를 알맞은 크기로 잘라 적당히 양념을 버무려놓으면 감칠맛 나는 “깍두기”가 탄생한다. “깍두기”하면 설렁탕이 생각나는 것은 둘이 너무나 궁합이 잘 맞기 때문이다. 설렁탕 국물에 “깍두기”를 겸하면 부러울 것 없는 식탁이 된다. 한국 사람치고 “깍두기”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배추김치도 좋지만 “깍두기”는 독특한 맛을 고수하고 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신조어가 생겨났다. “깍두기”는 분명히 김치이름인데 사람을 “깍두기”로 부르기 시작한 것이다. 바로 ‘조직폭력배’를 가르키는 말이다. 아마 육중한 체격에 옆을 바짝 쳐서 깍은 머리모양이 “깍두기”를 연상시키기에 붙여진 것 같다. 그 순수하고 맛있는 “깍두기”김치가 끔찍한 조폭을 지칭하는 말이 된 것은 너무도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오늘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은 김치도 아니고 조폭과는 전혀 다른 “깍두기”이다. 내가 어린 시절에는 갖가지 놀이가 많았다. 지금 아이들은 컴퓨터나 게임기에 얽매어 살았지만 우리는 동무(친구의 옛 호칭)들끼리 서로 부딪히며 우정을 쌓아 갔다. 만나면 서로 편을 갈라 경쟁하는 놀이를 많이 했다. 그러다보면 꼭 끼어드는 아이들이 있었다. 아니 끼어든다기보다 어머니가 돌보라고 맡겨놓은 동생들이 있었다. 놀이는 해야 하겠고 동생도 돌보아야 하는 상황에서 등장하는 것이 “깍두기”였다. 어린 아이라고 해서 쫓아버리거나 구석에 처박아 놓는 일이 없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데리고 놀아주는 것이 “깍두기”였다. “너는 깍두기다.” 그때부터 친구 동생의 눈에서 빛이 난다. 사실 “깍두기”는 역할이 없다. 편도 없다. 상황에 따라 이편저편을 돌아가며 게임의 흐름을 이어간다.

하지만 “깍두기” 본인도 소외당하지 않고 존재감을 불어넣어주며 한때를 이어 갈 수 있어 좋았다. 물론 상대가 되지는 않는다. 그런데도 다들 “너는 깍두기다.”라는 한마디에 아이들은 없는 힘까지 뽑아내며 최선을 다했다. 지금 생각해 보니 참으로 지혜롭고 현명한 편법이었다. 누구도 소외시키지 않으면서 공동의 목적을 이루는 좋은 방법이었던 것이다. 그러고 보니 우리 밀알선교단에도 “깍두기”들이 있다. 분명히 장애인인데 “자신은 장애가 없다.”고 한다. 자신의 장애를 순순히(?) 인정하지 않는 사람에게 굳이 “당신은 장애인이야!”라고 할 필요는 없다. 봉사차원에서 나와 다른 장애인들을 성심으로 돌보는 그들은 실로 “아름다운 깍두기”인 것이다.

어른들끼리 윷놀이를 할 때면 꼭 철모르는 아이들이 “자신도 끼워 달라.”고 할 때가 있다. 그때 자연스럽게 쓰는 방법이 “깍두기 전법”이다. “그래 너는 깍두기다.”하고는 기회가 될 때면 윷을 던지게 한다. 그러면 아이들의 마음을 상하지 않고 기분 좋게 흐름을 이어갈 수 있다. 신이 나서 집어 던지고 또 다음 차례를 기다리는 모습은 얼마나 넉넉한 장면인가? 대학시절에 <영문학 개론>을 접하면서 서양과 동양의 애정관이 극명히 다름을 깨달은 적이 있다. 영국, 프랑스, 독일의 고전 문학에 나타나는 남녀의 애증(愛憎)의 관계에 있어서 만일 상대방이 배신을 하면 남자이건 여자이건 상대방을 찾아가 복수를 하고 피를 보는 것으로 결말이 난다.

우리나라는 다르다. 김소월의 시 “진달래 꽃”은 이렇게 시작된다.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애간장을 태우면서도 님을 보내드리는 것이 우리의 정서이다. “일출봉에 해 뜨거든, 월출봉에 달뜨거든 날 불러주오” 얼마나 순수하고 낭만이 있는가? 우리나라 문화는 문자 그대로 [깍두기 문화]이다. 애정도 그렇고, 시합도 그렇고, 오락도 그렇다. 약한 자도 참여시키고, 패자에게도 부활의 기회가 주어지는 진정한 깍두기 인간형이다. 큰사람이 누구인가? 덕이 있는 사람이다. 덕은 아량이다 배려이다. “넌 안돼!”가 아니라 “너는 깍두기다.” 기회를 주는 것이다. 내 것만 옳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집이다. 시각을 바꾸면 상대방의 말이 더 맞는 말일 수도 있다. 내치지 않고 끌어안는, 능력위주 보다는 한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아름다운 사회가 되기를 “깍두기”를 통해 조명해 보고 싶다.


  1. 언덕에 서면

    불현듯 서러움이 밀려왔다. 뜻 모를 감정은 세월의 흐름에 역행할 수 없는 인생의 한계를 실감해서일까? 2015년이 우리 곁을 떠나려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그 신선한 이름과 반갑게 악수를 나눈 지가 그리 길지 않은 것 같은데 말이다. 참 바쁘게도 살아왔다...
    Views62945
    Read More
  2. 연필, 그 속에 들어있는 이야기

    우리는 연필세대이다. 처음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사용하던 연필은 지금 생각하면 ‘열악’ 그 자체였다. ‘연필심’이 물러 뭉그러지기도 하고 어떤 것은 너무 날카로워 공책을 찢어놓기 일수였다. 어떨 때는 글씨를 쓰다가 연필이 반쪽...
    Views75413
    Read More
  3. 사랑 참 어렵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나 사랑을 갈구하다가 사랑으로 일생을 마감한다. 요람으로부터 무덤까지 사람은 사랑을 위해 살다간다 해도 결코 지나친 말이 아니다. 사랑을 받아 행복해 하기도하지만 때로는 사랑을 구걸하며 살아가기도 한다. 평생 사랑을 베푸는 것...
    Views65055
    Read More
  4. 나도 가고 너도 가야지 11/27/15

    초등학교 3학년으로 기억한다. 나는 그때 경기도 양평군 “강상”이란 곳에 살았다. 세를 들어 살았는데 집 주인은 양평과 강상사이를 오가는 배에 노를 젓는 뱃사공이었다. 집은 동리에서 조금 떨어져 있었고 집 위로 나지막한 산이 있었다. 문제...
    Views66699
    Read More
  5. ‘시애틀’의 비 내리는 밤 11/20/15

    8년 만에 시애틀을 찾았다. 시애틀의 가을향취를 기대했건만 오는 날부터 내내 비가 뿌리고 있다. 비가와도 보통 비가 아니다. 며칠 동안 내내 소낙비가 쏟아지고 있다. 시애틀의 하늘에는 댐이 존재하고 있는듯하다. 처음 비행장을 빠져 나올 때만해도 운치...
    Views77028
    Read More
  6. 아버지의 시선 11/13/15

    나의 아버지는 엄한 분이였고 항상 어려웠다. 동리 분들과 어울리실 때는 퍽 다정다감한 것 같은데 자식들 앞에서는 무표정이셨다. 그것이 사춘기시절에는 못 마땅했다. 이유 없는 반항을 하며 대들어보기도 했지만 아버지는 요지부동이셨다. 나이가 들어가며...
    Views71156
    Read More
  7. 세상에서 가장 슬픈 소원 11/6/15

    영화 <말아톤>을 보면 장애우 “초원”이 엄마와 마라톤 감독 간에 대화가 주목을 끈다. 감독이 초원이 엄마(김미숙 분)에게 묻는다. “아줌마 소원이 무엇입니까?” 망설이듯 하던 초원 엄마가 대답한다. “내 소원은 초원이보다 ...
    Views71216
    Read More
  8. 가을 편지 10/30/15

    우리 집 앞마당에는 커다란 나무 한그루가 자태를 뽐내며 서있다. 이름도 알 수 없는 이 나무는 희한하게 늦은 봄에 잎사귀를 틔우고 가을만 되면 일찌감치 낙엽을 떨어뜨린다. 남들이 새싹을 드러낼 때에는 느긋하다가 느즈막히 잎을 드러내는 것은 그렇다치...
    Views68907
    Read More
  9. 고양이를 아시나요? 10/23/15

    나는 고양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특별한 사연이 있는 것도 아닌데 그냥 싫다. 눈매와 발톱이 너무 날카로워서일까? 아니면 울음소리 때문일까? “야∼∼옹!” 흉내만 내도 기분이 섬뜻해 진다. 무엇보다 어릴 때 보았던 영화 탓이 큰 것...
    Views71848
    Read More
  10. 드라마 법칙 10/16/15

    가까이 지내는 목사님에게 물었다. “드라마 보십니까?” 정색을 하며 대답한다. “드라마를 보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그 목사님 설교는 어째 Dry하다. 드라마를 멀리하는 것이 경건일까? 드라마는 사람들의...
    Views65291
    Read More
  11. 아내는 반응을 고대하며 산다 10/9/15

    사람은 혼자 살수 없다. 다른 사람과 관계를 해야 사는 것이 인생이다. 관계는 네 분야로 나눌 수 있다. 1:1대응, 1:다대응, 다대:다대응, 다대:1대응. 어떤 분은 많은 사람들과는 잘 어울리는데 1:1의 만남에서는 어색해 한다. 여성들은 다대응:다대응보다는...
    Views75046
    Read More
  12. 친구가 되어주세요!10/2/15

    <팔 없는 친구에게 3년간 우정의 팔.> 오래 전, 한국 신문 기사에 난 타이틀이다. 양팔이 전혀 없는 친구를 위해 3년 동안 헌신한 우정에 대한 기사였다. “김영태”군은 6살 때 불의의 감전사고로 양팔을 잃게 되었다. 팔이 없이 살아간다는 것은 ...
    Views74041
    Read More
  13. 반말 & 존댓말 9/25/15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말을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할 정도로 말수가 적은 사람이 있다. 그래서 대화가 되는 것 같다. 말 많은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말을 잘라버리는 상황이 벌어진다. 말이 없는 사람끼리 만나면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나의 가장 ...
    Views67106
    Read More
  14. 바다 그리고 음파 9/18/15

    세상에는 노래가 많다. 사실 들리는 모든 소리가 리듬을 타고 있다. 어린 시절에 우리 동네에는 물레방아가 있었다. 그 옆에는 대장간이 마주했다. 친구들과 심심하면 그 앞에 자리를 틀고 앉았다.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모습은 신기하기 이를 데 없었다. 커다...
    Views64435
    Read More
  15. 니, 우째 잠이오노? 9/11/15

    한국의 격동기 시절. 경남 고성에 18살 먹은 철없는 아가씨가 있었다. 시절이 어려운지라 친정아버지는 ‘부랴부랴’ 혼처를 알아보고 딸을 출가시킨다. 엄처시하의 환경 속에서도 해맑은 신부는 철없는 행동을 하지만 시부모님의 사랑을 받으며 효...
    Views66288
    Read More
  16. 밀알의 밤 바다 9/4/15

    가을이 되면 밀알선교단에서는 음악회를 연다. 2003년 7월. 밀알선교단 단장으로 부임하여 장애인사역의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지만 당시 선교단의 상황은 열악했다. 전임 단장이 채 3년을 채우지 못하고 급작스럽게 사임하면서 시...
    Views64278
    Read More
  17. 나를 만든것은 바람 8/28/15

    미당 서정주 선생은 “자화상”이라는 시에서 이렇게 노래한다. “스믈세햇동안 나를 키운건 8할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 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입에서 천치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Views66887
    Read More
  18. 생각바꾸기 8/14/15

    인생은 한마디로 “어떤 생각을 하고 사느냐?”입니다. 성경은 말합니다. “대저 그 마음의 생각이 어떠하면 그 위인도 그러한 즉”(잠언 23:7). 생각이 그 사람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위대한 발명왕 에디슨은 “천재는 1%의 영감과...
    Views65555
    Read More
  19. 아내는 “에제르”(Ezer) 8/14/15

    하나님은 사람을 만드시되 먼저 남자를 만드셨다. 그리고는 “남자가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판단하시고 여자를 만들어 배필로 주셨다. 아내의 다른 이름은 '돕는 배필'이다. 이 말은 남자 스스로 인생을 만들어내기보다 아내가 ...
    Views77166
    Read More
  20. 장애인을 어떻게 불러야 하나요? 8/7/15

    장애인 호칭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혼돈을 일으킨다. 내가 어릴 때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들을 여과 없이 쏟아냈다. “장애자”에서 다듬어진 호칭은 이제는 “장애인”이라는 말로 정착을 했다. 한때는 “장애우”라는 말을 ...
    Views7338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