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61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소리를듣지못하는여동생-1.jpg

 

언젠가 장애를 가진 여동생을 둔 한분과 긴 시간 대화를 나눈 적이 있다. “여동생의 모습이 너무 애처로워 견디기 힘든 시간이 많았다.”는 고백부터 “그 여동생을 한국에 남겨두고 미국에 살고 있는 자신의 모습이 너무 싫어질 때가 많다.”고 하였다. 필자는 장애인이다. 이렇게 말하면 남녀차별적인 발언이라 할지 모르지만 같은 장애인이라 할지라도 성별에 따라 장애를 견뎌내는 차원이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통상적으로 볼 때에 남자 장애인들은 장애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잘 견디어 나가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연약한 여인에게 장애는 너무나 버거운 멍에임에 틀림이 없다.

여기 장애인 여동생을 둔 한 남자가 있다. 그는 장애를 가진 여동생의 정신적 지주였고 인간지팡이로 살았다. 그런데 그는 군 입대를 앞두고 있다. 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그는 장애를 가진 여동생을 두고 군대에 가야 한다는 것이 너무 고통스러워 밤잠을 설치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여동생은 검정고시로 중고등학교를 마쳤다. 지금은 집에서 너무나 적은 월급이지만 재택으로 컴퓨터 워드입력 일을 하고 있다. 맞벌이를 하시는 부모님이 출근을 하고나면 여동생만이 홀로 집에 남겨져야만 한다. 그 사실이 군 입대를 앞둔 오빠의 마음을 짓눌러 온다. 어디서 배웠는지 여동생은 언제부터인가 담배를 피운다. 몸도 약한 아이가 담배까지 피우는 것이 오빠로서는 너무 안타까웠다. 완강하게 야단을 치고 담배를 끊게 하려고도 했지만 ‘얼마나 답답하면 피울까?’하는 생각이 들어 차마 입을 열지 못했다.

어린 시절 명절을 쇠느라 시골에 갔다 오다가 사고가 났다. 차에는 온가족이 타고 있었는데 여동생만 장애인이 되고 말았다. 명치 아래로 신경이 죽어서 휠체어 생활이 시작되었고 그날부터 집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삶이 시작된 것이다. 그러다가 어떤 모임에 나가게 되었는데 친절하게 대해주는 한 남학생에게 호감을 가졌던 모양이다. 하지만 그 청년은 여동생을 그냥 호기심, 동정심 이런 걸로 관심을 보였을 뿐이라는 사실과 그 청년이 다른 자매와 가까이 지내는 것을 보면서 많은 실망에 휩싸이게 된다. 내성적이고 감성적인 그녀는 큰 상처를 받게 되었다. 사람들은 장애인들도 이성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똑같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 같다.

오빠는 고백한다. 중학교에 다닐 때까지는 장애인 여동생이 있다는 사실이 못내 수치스러웠다고, 장애인 동생이 있는 것을 알고 수군거리는 친구들이 못마땅했고 이상한 질문과 소문을 내는 아이들과 싸운 적도 많이 있었다. 집에 손님이 오면 방에 들어 앉아 인기척도 안내는 동생의 모습이 너무 애처로웠다. 장애를 가진 모습을 남에게 보이기 싫어하는 여동생이 그래서 더 불쌍하게 느껴진다고 했다.

장애인들이 사는 길은 하나이다. 세상 밖으로 나와야 한다. 집밖으로 나와 사람들을 만나는 순간부터 새 세상이 열리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힘이 들고 많은 사람의 따가운 시선을 견뎌내기가 힘들겠지만 만남을 통해 새로운 세계가 열리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지대한 공을 세운 것이 “밀알선교단”이다. 미주 밀알도 그렇지만 한국에 가보니 수십년 집안에서만 살고 있던 많은 장애인들을 밀알선교단으로 이끌어내며 삶을 완전히 바꾸어 놓는 놀라운 사례들이 즐비하다.

장애인을 가족이 품고 사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같은 장애인들을 만날 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을 가족 이상으로 사랑하고 보살펴주는 가슴 따뜻한 분들을 만나야 새로운 인생이 열리는 것이다. 달걀은 그냥 놓아두면 언제까지만 달걀로 끝난다. 하지만 어미 닭이 21일을 품으면 달걀은 병아리로 변한다. 병아리로 태어날 때에도 달걀 껍질을 깨고 나오는 것은 병아리가 스스로 해야만 한다. 장애의 무게가 버거운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에 개의치 않고 도전과 모험을 감당하는 분들에게는 상상할 수 없는 축복이 예비 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싶다. 여동생을 사랑하는 오빠를 위로하고 싶다. 그리고 알려주고 싶다. 세상에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천사들이 도처에 살고 있노라고.


  1. 언덕에 서면

    불현듯 서러움이 밀려왔다. 뜻 모를 감정은 세월의 흐름에 역행할 수 없는 인생의 한계를 실감해서일까? 2015년이 우리 곁을 떠나려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그 신선한 이름과 반갑게 악수를 나눈 지가 그리 길지 않은 것 같은데 말이다. 참 바쁘게도 살아왔다...
    Views62966
    Read More
  2. 연필, 그 속에 들어있는 이야기

    우리는 연필세대이다. 처음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사용하던 연필은 지금 생각하면 ‘열악’ 그 자체였다. ‘연필심’이 물러 뭉그러지기도 하고 어떤 것은 너무 날카로워 공책을 찢어놓기 일수였다. 어떨 때는 글씨를 쓰다가 연필이 반쪽...
    Views75437
    Read More
  3. 사랑 참 어렵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나 사랑을 갈구하다가 사랑으로 일생을 마감한다. 요람으로부터 무덤까지 사람은 사랑을 위해 살다간다 해도 결코 지나친 말이 아니다. 사랑을 받아 행복해 하기도하지만 때로는 사랑을 구걸하며 살아가기도 한다. 평생 사랑을 베푸는 것...
    Views65062
    Read More
  4. 나도 가고 너도 가야지 11/27/15

    초등학교 3학년으로 기억한다. 나는 그때 경기도 양평군 “강상”이란 곳에 살았다. 세를 들어 살았는데 집 주인은 양평과 강상사이를 오가는 배에 노를 젓는 뱃사공이었다. 집은 동리에서 조금 떨어져 있었고 집 위로 나지막한 산이 있었다. 문제...
    Views66701
    Read More
  5. ‘시애틀’의 비 내리는 밤 11/20/15

    8년 만에 시애틀을 찾았다. 시애틀의 가을향취를 기대했건만 오는 날부터 내내 비가 뿌리고 있다. 비가와도 보통 비가 아니다. 며칠 동안 내내 소낙비가 쏟아지고 있다. 시애틀의 하늘에는 댐이 존재하고 있는듯하다. 처음 비행장을 빠져 나올 때만해도 운치...
    Views77033
    Read More
  6. 아버지의 시선 11/13/15

    나의 아버지는 엄한 분이였고 항상 어려웠다. 동리 분들과 어울리실 때는 퍽 다정다감한 것 같은데 자식들 앞에서는 무표정이셨다. 그것이 사춘기시절에는 못 마땅했다. 이유 없는 반항을 하며 대들어보기도 했지만 아버지는 요지부동이셨다. 나이가 들어가며...
    Views71167
    Read More
  7. 세상에서 가장 슬픈 소원 11/6/15

    영화 <말아톤>을 보면 장애우 “초원”이 엄마와 마라톤 감독 간에 대화가 주목을 끈다. 감독이 초원이 엄마(김미숙 분)에게 묻는다. “아줌마 소원이 무엇입니까?” 망설이듯 하던 초원 엄마가 대답한다. “내 소원은 초원이보다 ...
    Views71225
    Read More
  8. 가을 편지 10/30/15

    우리 집 앞마당에는 커다란 나무 한그루가 자태를 뽐내며 서있다. 이름도 알 수 없는 이 나무는 희한하게 늦은 봄에 잎사귀를 틔우고 가을만 되면 일찌감치 낙엽을 떨어뜨린다. 남들이 새싹을 드러낼 때에는 느긋하다가 느즈막히 잎을 드러내는 것은 그렇다치...
    Views68919
    Read More
  9. 고양이를 아시나요? 10/23/15

    나는 고양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특별한 사연이 있는 것도 아닌데 그냥 싫다. 눈매와 발톱이 너무 날카로워서일까? 아니면 울음소리 때문일까? “야∼∼옹!” 흉내만 내도 기분이 섬뜻해 진다. 무엇보다 어릴 때 보았던 영화 탓이 큰 것...
    Views71853
    Read More
  10. 드라마 법칙 10/16/15

    가까이 지내는 목사님에게 물었다. “드라마 보십니까?” 정색을 하며 대답한다. “드라마를 보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그 목사님 설교는 어째 Dry하다. 드라마를 멀리하는 것이 경건일까? 드라마는 사람들의...
    Views65301
    Read More
  11. 아내는 반응을 고대하며 산다 10/9/15

    사람은 혼자 살수 없다. 다른 사람과 관계를 해야 사는 것이 인생이다. 관계는 네 분야로 나눌 수 있다. 1:1대응, 1:다대응, 다대:다대응, 다대:1대응. 어떤 분은 많은 사람들과는 잘 어울리는데 1:1의 만남에서는 어색해 한다. 여성들은 다대응:다대응보다는...
    Views75053
    Read More
  12. 친구가 되어주세요!10/2/15

    <팔 없는 친구에게 3년간 우정의 팔.> 오래 전, 한국 신문 기사에 난 타이틀이다. 양팔이 전혀 없는 친구를 위해 3년 동안 헌신한 우정에 대한 기사였다. “김영태”군은 6살 때 불의의 감전사고로 양팔을 잃게 되었다. 팔이 없이 살아간다는 것은 ...
    Views74048
    Read More
  13. 반말 & 존댓말 9/25/15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말을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할 정도로 말수가 적은 사람이 있다. 그래서 대화가 되는 것 같다. 말 많은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말을 잘라버리는 상황이 벌어진다. 말이 없는 사람끼리 만나면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나의 가장 ...
    Views67120
    Read More
  14. 바다 그리고 음파 9/18/15

    세상에는 노래가 많다. 사실 들리는 모든 소리가 리듬을 타고 있다. 어린 시절에 우리 동네에는 물레방아가 있었다. 그 옆에는 대장간이 마주했다. 친구들과 심심하면 그 앞에 자리를 틀고 앉았다.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모습은 신기하기 이를 데 없었다. 커다...
    Views64447
    Read More
  15. 니, 우째 잠이오노? 9/11/15

    한국의 격동기 시절. 경남 고성에 18살 먹은 철없는 아가씨가 있었다. 시절이 어려운지라 친정아버지는 ‘부랴부랴’ 혼처를 알아보고 딸을 출가시킨다. 엄처시하의 환경 속에서도 해맑은 신부는 철없는 행동을 하지만 시부모님의 사랑을 받으며 효...
    Views66296
    Read More
  16. 밀알의 밤 바다 9/4/15

    가을이 되면 밀알선교단에서는 음악회를 연다. 2003년 7월. 밀알선교단 단장으로 부임하여 장애인사역의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지만 당시 선교단의 상황은 열악했다. 전임 단장이 채 3년을 채우지 못하고 급작스럽게 사임하면서 시...
    Views64286
    Read More
  17. 나를 만든것은 바람 8/28/15

    미당 서정주 선생은 “자화상”이라는 시에서 이렇게 노래한다. “스믈세햇동안 나를 키운건 8할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 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입에서 천치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Views66889
    Read More
  18. 생각바꾸기 8/14/15

    인생은 한마디로 “어떤 생각을 하고 사느냐?”입니다. 성경은 말합니다. “대저 그 마음의 생각이 어떠하면 그 위인도 그러한 즉”(잠언 23:7). 생각이 그 사람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위대한 발명왕 에디슨은 “천재는 1%의 영감과...
    Views65562
    Read More
  19. 아내는 “에제르”(Ezer) 8/14/15

    하나님은 사람을 만드시되 먼저 남자를 만드셨다. 그리고는 “남자가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판단하시고 여자를 만들어 배필로 주셨다. 아내의 다른 이름은 '돕는 배필'이다. 이 말은 남자 스스로 인생을 만들어내기보다 아내가 ...
    Views77180
    Read More
  20. 장애인을 어떻게 불러야 하나요? 8/7/15

    장애인 호칭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혼돈을 일으킨다. 내가 어릴 때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들을 여과 없이 쏟아냈다. “장애자”에서 다듬어진 호칭은 이제는 “장애인”이라는 말로 정착을 했다. 한때는 “장애우”라는 말을 ...
    Views733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