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5:52

선생님 5/28/2012

조회 수 623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주일학-1.jpg

 

 

언제나 부르면 가슴이 뭉클 해 지는 이름이다. 내가 여기까지 살아오는 동안 얼마나 많은 선생님들의 교육과 사랑이 있었는지 모른다. 지금은 어딘가에 살고 계실 그분들이 그래서 그립고 고맙다. 선생님이 되려면 사대나 교대를 나와야 한다. 그런데 나는 20살에 “선생님”이 되었다. 바로 교회 주일학교(Sunday School)에서 말이다. 그 당시만 생각하면 가슴이 뛴다. 대학입학시험에 낙방한 나는 교회에 가는 발걸음을 끊어버렸다. 돈독한 신앙도 없이 교회에 나가던 내가 대학입시에 좌절을 맛보면서 교회에 등을 돌린 것은 당연한 결과인지도 모른다. 명문대에 합격한 친구들의 얼굴을 마주하는 것은 고통이었고 실패한 모습을 후배들과 성도들에게 보인다는 것 자체가 너무도 싫었다. 알량한 자존심 때문이었으리라!

우연히 함께 교회 중고등부를 다녔던 친구를 만났다. 그리 친하지도 그리 멀지도 않은 친구가 나를 보자마자 “재철아! 너 교사(반사)로 임명되었어. 담당 전도사님이 너를 몹시 보고싶어 하던데” “그게 무슨 소리야! 교회도 안 나가는 사람을 교사를 시킨다는게 말이 되냐?” 그냥 무시해 버렸다. 그런데 친구의 말이 뇌리를 맴돌았다. 정말 내 속에 겨자씨만한 믿음이 있기는 있었나 보다. 그날부터 고민에 빠졌다. 나처럼 대학에 떨어진 아이들도 교회에 나온다는 소식이 들려오면서 흔들리기 시작하였다. 믿음은 없었지만 열심히 교회를 다녔던 그때가 그리웠다. 그래서 어느 주일 밤 예배에 ‘슬쩍’ 얼굴을 드러냈다.

예배가 끝나자 함께 중고등부에서 동거동락했던 아이들이 달려왔다. 선배 누나들이 달려와 “재철아! 정말 오랜만이다.” 어깨를 치며 호들갑을 떨었다. 싫지는 않았다. 이윽고 나는 주일학교를 담당하고 있는 “김정남 전도사님”과 마주 앉았다. “이 선생님, 반가워요. 얘기 많이 들었습니다.” “전도사님, 저는 선생님이 아닙니다. 말씀 낮추세요.” 정말 어색했다. 갑자기 선생님이라니! 너무 어색했다. 하지만 그날부터 나는 주일에 가장 바빠진 삶을 시작했다. 주일학교 선생님뿐 아니라 성가대 테너 파트의 직분을 맡았기 때문이었다.

교사 임명을 받고 주일 아침 9시. 교회 주일학교 예배에 참석을 하게 되었다. 본당은 2층에 있었고 주일학교는 1층 교육관에서 예배를 드렸다. 그것도 신발을 벗고 들어가 앉아야 하는 마루바닥이었다. 신입 교사이기에 맨 뒤에 앉아 예배드리는 모습을 바라보고 있었다. 어리디 어린 아이들, 천방지축이었다. 찬송을 부를 때는 그렇다 할지라도 기도나 설교 시간에 딴 짓을 하는 녀석들이 눈에 들어왔다. 한숨이 나왔다. ‘과연 내가 잘 할 수 있을까?’ 교사들을 소개하는 시간이 왔다. 나도 앞으로 나갔다. 다리를 절며 아이들 앞에 선다는 것은 내게는 참으로 힘든 시간이었다.

나에게 배당된 아이들은 2학년 남자아이들이었다. 반 이름은 “안드레 반”. 벌써 30여년이 흘렀지만 지금도 반 이름과 아이들의 모습을 생생히 기억하는 것은 내가 태어나 처음으로 “선생님” 호칭을 듣는 순간이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안드레반 아이들과의 첫 인연은 시작되었다. 순수하게 아이들에게 성경만 가르치면 되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주일마다 ‘반별 출석수, 성경 요절외우기, 전도, 헌금 등’으로 점수를 먹이고 우승 반을 결정하여 발표한다. 잠재해 있던 내 승부욕에 불이 붙기 시작했다. 신앙인지 내 스스로의 열심인지 알 수 없는 뜨거움이 나를 움직였다. 힘에 지나도록 열정을 불살랐고 매주 우리 “안드레”반이 우승하는 쾌거가 이어졌다.

그런 열심을 하나님이 귀하게 보셨는지 소명을 받은 나는 결국 신학대학교에 입학하여 신학도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신학대학 2학년에 전도사 임명을 받은 나는 토요일마다 “전도특공대”를 이끌고 노방전도에 나섰고 동네 아이들을 예배당 가득히 불러 모으는 대역사를 이루어 나갔다. 내가 20대에 가르쳤던 아이들이 또다시 선생님이 되고 이제 전도사, 목사의 길을 걷는 아이(?)들도 있다. 이제 40대에 접어든 아이들에게서 “스승의 날”이 되면 감사의 메일과 전화가 온다. “목사님, 목사님이 계셔서 너무 행복해요! 감사합니다.” 전해져 오는 말 한마디에 삶의 희열이 솟아난다. 선생님! 그래 내가 선생님이다. 선생님을 통해 내가 선생님이 되고 내가 가르친 아이들이 나이를 먹으며 이제 선생님의 삶을 살고 있다. 선생님!


  1. 언덕에 서면

    불현듯 서러움이 밀려왔다. 뜻 모를 감정은 세월의 흐름에 역행할 수 없는 인생의 한계를 실감해서일까? 2015년이 우리 곁을 떠나려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그 신선한 이름과 반갑게 악수를 나눈 지가 그리 길지 않은 것 같은데 말이다. 참 바쁘게도 살아왔다...
    Views62793
    Read More
  2. 연필, 그 속에 들어있는 이야기

    우리는 연필세대이다. 처음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사용하던 연필은 지금 생각하면 ‘열악’ 그 자체였다. ‘연필심’이 물러 뭉그러지기도 하고 어떤 것은 너무 날카로워 공책을 찢어놓기 일수였다. 어떨 때는 글씨를 쓰다가 연필이 반쪽...
    Views75297
    Read More
  3. 사랑 참 어렵다!

    사람은 사랑으로 태어나 사랑을 갈구하다가 사랑으로 일생을 마감한다. 요람으로부터 무덤까지 사람은 사랑을 위해 살다간다 해도 결코 지나친 말이 아니다. 사랑을 받아 행복해 하기도하지만 때로는 사랑을 구걸하며 살아가기도 한다. 평생 사랑을 베푸는 것...
    Views65003
    Read More
  4. 나도 가고 너도 가야지 11/27/15

    초등학교 3학년으로 기억한다. 나는 그때 경기도 양평군 “강상”이란 곳에 살았다. 세를 들어 살았는데 집 주인은 양평과 강상사이를 오가는 배에 노를 젓는 뱃사공이었다. 집은 동리에서 조금 떨어져 있었고 집 위로 나지막한 산이 있었다. 문제...
    Views66595
    Read More
  5. ‘시애틀’의 비 내리는 밤 11/20/15

    8년 만에 시애틀을 찾았다. 시애틀의 가을향취를 기대했건만 오는 날부터 내내 비가 뿌리고 있다. 비가와도 보통 비가 아니다. 며칠 동안 내내 소낙비가 쏟아지고 있다. 시애틀의 하늘에는 댐이 존재하고 있는듯하다. 처음 비행장을 빠져 나올 때만해도 운치...
    Views76915
    Read More
  6. 아버지의 시선 11/13/15

    나의 아버지는 엄한 분이였고 항상 어려웠다. 동리 분들과 어울리실 때는 퍽 다정다감한 것 같은데 자식들 앞에서는 무표정이셨다. 그것이 사춘기시절에는 못 마땅했다. 이유 없는 반항을 하며 대들어보기도 했지만 아버지는 요지부동이셨다. 나이가 들어가며...
    Views71055
    Read More
  7. 세상에서 가장 슬픈 소원 11/6/15

    영화 <말아톤>을 보면 장애우 “초원”이 엄마와 마라톤 감독 간에 대화가 주목을 끈다. 감독이 초원이 엄마(김미숙 분)에게 묻는다. “아줌마 소원이 무엇입니까?” 망설이듯 하던 초원 엄마가 대답한다. “내 소원은 초원이보다 ...
    Views71075
    Read More
  8. 가을 편지 10/30/15

    우리 집 앞마당에는 커다란 나무 한그루가 자태를 뽐내며 서있다. 이름도 알 수 없는 이 나무는 희한하게 늦은 봄에 잎사귀를 틔우고 가을만 되면 일찌감치 낙엽을 떨어뜨린다. 남들이 새싹을 드러낼 때에는 느긋하다가 느즈막히 잎을 드러내는 것은 그렇다치...
    Views68797
    Read More
  9. 고양이를 아시나요? 10/23/15

    나는 고양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특별한 사연이 있는 것도 아닌데 그냥 싫다. 눈매와 발톱이 너무 날카로워서일까? 아니면 울음소리 때문일까? “야∼∼옹!” 흉내만 내도 기분이 섬뜻해 진다. 무엇보다 어릴 때 보았던 영화 탓이 큰 것...
    Views71607
    Read More
  10. 드라마 법칙 10/16/15

    가까이 지내는 목사님에게 물었다. “드라마 보십니까?” 정색을 하며 대답한다. “드라마를 보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그 목사님 설교는 어째 Dry하다. 드라마를 멀리하는 것이 경건일까? 드라마는 사람들의...
    Views65223
    Read More
  11. 아내는 반응을 고대하며 산다 10/9/15

    사람은 혼자 살수 없다. 다른 사람과 관계를 해야 사는 것이 인생이다. 관계는 네 분야로 나눌 수 있다. 1:1대응, 1:다대응, 다대:다대응, 다대:1대응. 어떤 분은 많은 사람들과는 잘 어울리는데 1:1의 만남에서는 어색해 한다. 여성들은 다대응:다대응보다는...
    Views74972
    Read More
  12. 친구가 되어주세요!10/2/15

    <팔 없는 친구에게 3년간 우정의 팔.> 오래 전, 한국 신문 기사에 난 타이틀이다. 양팔이 전혀 없는 친구를 위해 3년 동안 헌신한 우정에 대한 기사였다. “김영태”군은 6살 때 불의의 감전사고로 양팔을 잃게 되었다. 팔이 없이 살아간다는 것은 ...
    Views73994
    Read More
  13. 반말 & 존댓말 9/25/15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말을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할 정도로 말수가 적은 사람이 있다. 그래서 대화가 되는 것 같다. 말 많은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말을 잘라버리는 상황이 벌어진다. 말이 없는 사람끼리 만나면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나의 가장 ...
    Views67018
    Read More
  14. 바다 그리고 음파 9/18/15

    세상에는 노래가 많다. 사실 들리는 모든 소리가 리듬을 타고 있다. 어린 시절에 우리 동네에는 물레방아가 있었다. 그 옆에는 대장간이 마주했다. 친구들과 심심하면 그 앞에 자리를 틀고 앉았다.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모습은 신기하기 이를 데 없었다. 커다...
    Views64366
    Read More
  15. 니, 우째 잠이오노? 9/11/15

    한국의 격동기 시절. 경남 고성에 18살 먹은 철없는 아가씨가 있었다. 시절이 어려운지라 친정아버지는 ‘부랴부랴’ 혼처를 알아보고 딸을 출가시킨다. 엄처시하의 환경 속에서도 해맑은 신부는 철없는 행동을 하지만 시부모님의 사랑을 받으며 효...
    Views66177
    Read More
  16. 밀알의 밤 바다 9/4/15

    가을이 되면 밀알선교단에서는 음악회를 연다. 2003년 7월. 밀알선교단 단장으로 부임하여 장애인사역의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지만 당시 선교단의 상황은 열악했다. 전임 단장이 채 3년을 채우지 못하고 급작스럽게 사임하면서 시...
    Views64213
    Read More
  17. 나를 만든것은 바람 8/28/15

    미당 서정주 선생은 “자화상”이라는 시에서 이렇게 노래한다. “스믈세햇동안 나를 키운건 8할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 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죄인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입에서 천치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Views66764
    Read More
  18. 생각바꾸기 8/14/15

    인생은 한마디로 “어떤 생각을 하고 사느냐?”입니다. 성경은 말합니다. “대저 그 마음의 생각이 어떠하면 그 위인도 그러한 즉”(잠언 23:7). 생각이 그 사람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위대한 발명왕 에디슨은 “천재는 1%의 영감과...
    Views65470
    Read More
  19. 아내는 “에제르”(Ezer) 8/14/15

    하나님은 사람을 만드시되 먼저 남자를 만드셨다. 그리고는 “남자가 독처하는 것이 좋지 못하다.”고 판단하시고 여자를 만들어 배필로 주셨다. 아내의 다른 이름은 '돕는 배필'이다. 이 말은 남자 스스로 인생을 만들어내기보다 아내가 ...
    Views77084
    Read More
  20. 장애인을 어떻게 불러야 하나요? 8/7/15

    장애인 호칭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혼돈을 일으킨다. 내가 어릴 때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들을 여과 없이 쏟아냈다. “장애자”에서 다듬어진 호칭은 이제는 “장애인”이라는 말로 정착을 했다. 한때는 “장애우”라는 말을 ...
    Views7329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