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8.11.30 14:00

행복은 어디에?

조회 수 401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복한 미소.jpg

 

 사람은 누구나 행복을 목말라 하며 살고 있다. 저만큼 나아가면 행복할 것 같다. 하지만 그곳에 가도 그냥 그렇다. 과연 행복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누가 가장 행복한 사람일까? 과거에는 주로 경제적인 면에서의 결핍이 사람의 행복을 가로채 갔다. 맛있는 음식을 먹지 못하고 사고 싶은 것을 사지 못해 사람들은 불행하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제는 경제적으로 나아져서 마음만 먹으면 음식과 물건을 어느 정도 취할 수 있는 형편이 되었다. 그러면 행복해야 하지 않을까? 지금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 가운데 잠정적인 정신질환자의 비율이 70%라고 한다. 경제지수가 올라갈수록 사람들은 오히려 행복감을 잃어가며 힘들어 하고 있다.

 

 “왜 나는 평화를 못 누리는가?” “왜 나는 안식을 찾지 못하는가?” 대답은 간단하다. 마음속에 평화도, 안식도 없기 때문이다. 사람은 속에 있는 것이 겉으로 나오게 되어있다. 그것이 거짓 없이 투영되는 곳이 얼굴이다. 누구든 만나면 얼굴을 먼저 본다. 금방 상대방의 현재 상태를 가늠할 수 있다. 대번 반응을 내놓는 사람이 있다. “신수(身手)가 훤하십니다. 아주 보기 좋습니다.” 반대로 무슨 어려움이 있으세요? 안색이 안 좋으시네요.” 얼굴 표정에 모든 것이 드러나는 것이 사람이다.

 

 행복도 마찬가지이다. 속에 없는 것은 겉으로 나오지 않는다. 마음에도 없는 행복을 그런 것 처럼 가장 할 수는 없다. 행복한 사람은 얼굴 표정에서부터 그것이 풍겨 나온다. 말씨와 행동에 행복이 번져 나온다. 지난번 밀알의 밤에 강사로 왔던 분과 대화하며 많은 것을 느꼈다. 많은 대중들 앞에서 강연을 통해 행복을 말할 수는 있다. 하지만 나 스스로 행복하지 않다면 청중을 감동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먼저 내면을 살펴야 한다. 그리고 항상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마음에 기쁨, 감격, 감동, 환희가 물결치도록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 행복이 얼굴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어 지게 된다.

 

 참 행복을 위해서는 먼저 마음을 잘 다스리는 법을 배워야 한다. 사람의 무게와 인품은 마음을 먼저 잘 다스리는데서 나오기 때문이다. 나는 혼잣말을 자주한다. 그것은 어린 시절부터 굳어진 습관이다. 나 자신과 대화를 하는 것이다. 때로는 칭찬과 격려를 하지만 어떤 때는 혹독하리만큼 나를 다그칠 때가 있다. 올림픽 펜싱경기 결승전에서 끝날 무렵까지 근소한 점수차이로 몰리던 선수가 할 수 있어, 넌 이길 수 있어계속 되뇌이다가 결국 역전승을 거두는 감동적인 장면을 본적이 있다. 이처럼 내 마음을 다스릴 줄 아는 훈련이 행복을 만들어 낸다.

 

 무엇보다 행복은 관계에 있다. 관계가 무너지고는 행복 할 수 없다. 나는 항상 사람들에게 외친다. “행복은 나와 가장 가까운 사람과 잘 지내는 것에 있다. 공동체에서 불편하면 떠나면 그만이다. 하지만 부부, 가족은 떠날 수가 없다. 친구, 필연적인 사이는 포기할 수 없다. 그래서 잘 살피고 어색해지지 않도록 노력을 해야만 한다. 그럼 관계에서 왜 행복하지 못할까? 통제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통제당하고 싶어 하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자신은 그러면서 자꾸 상대를 통제하려고 한다.

 

 왜 통제하려고 할까? 지식이 없어서이다. 상대방을 알고 사랑하게 되면 통제하려 하지 않는다. 모르기에 교만하기에 통제하려 하는 것이다. 아빠, 엄마의 이름이, 아내, 남편의 이름이 사랑으로 느껴지기보다 통제자의 느낌으로 다가오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이다. 상대방의 마음과 처지를 헤아리는 것을 다른 말로 사랑이라 한다. 사랑하면 통제하지 않는다. 통제하지 않으면 상대도 나를 사랑하게 된다. 거기에서 파생되는 선물이 행복이다. 행복하려면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인정해야 한다. 그것이 체질화되면 당신은 언제라도 행복할 수 있다. 행복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이 아니다. 꽃을 향해 나비가 날아들 듯 가꾸는 마음에 행복이 찾아든다.

 


  1. No Image

    생명의 신비

    장애인에게 결혼은 넘어가야 할 큰 장벽이다. 보통 청년들은 자연스럽게 짝을 만나고 결혼을 한다. 하지만 장애라는 아픔을 안고 사는 장애인들은 엄두도 내지 못한 채 살고 있다. 장애인사역을 하는 분들이 나누는 명언 아닌 명언이 있다. “여자 천사...
    Views3639
    Read More
  2. No Image

    가정을 한 글자로

    장성하여 혼기가 차면 짝을 찾아 결혼을 한다. 인생을 살면서 ‘어떤 배우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방향이 달라진다. 이미 긴 세월 결혼생활을 해 온 분들에게 묻고 싶다. ‘만약 지금의 배우자가 아닌 그 시점에서 다른 사람을 만났다면 어떤...
    Views3729
    Read More
  3. No Image

    누구나 장애인

    초청받은 교회에서 설교를 하고 예배 후 친교를 시작하면 하나둘 내 곁에 모여든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은 “목사님, 저도 장애인입니다.”이다. 일단 거부감이 들지만 스스로 생각해도 장애가 있다는 의미인 것 같다. 그런데 정작 누군가...
    Views3630
    Read More
  4. No Image

    어차피 인간은 외로운 존재인가?

    한국에 가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 위함이다. 물론 목사이기에 여러 교회를 다니며 설교를 하지만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고국의 품이 그리워 찾아가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며 회귀본능이 고개를 든다. 어린 나이에 이민을 온 분들은 그렇지 않겠지만...
    Views3828
    Read More
  5. No Image

    그 이름 그 사람

    사람은 누구에게나 이름이 있다. 사실 이름은 본인의 의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붙여지는 고유명사이다. 이름은 태어나서만 지어지는 것이 아니다. 모태에 잉태된 순간에 붙여지는 이름도 있다. 바로 ‘태명’(胎名)이다. 태명이 태명으로 끝나는 경...
    Views3707
    Read More
  6. No Image

    웃으면 행복해져요!

    사람과 짐승이 다른 것이 있다면 그것은 사람만이 웃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개나 고양이는 웃지 못한다. 사람만이 다양한 소리를 내며 웃을 수 있다. 하기에 웃음을 “만국공통어”라고 한다. 웃음소리만 들어서는 한국인인지 외국인인지 구분이 안...
    Views3751
    Read More
  7. No Image

    죽고 싶은 당신에게

    택시를 탔다. 기사와 대화를 나누는 중에 뜬금없이 “자신이 자살 시도를 세 번이나 했었다”고 털어놓는다. 저으기 당황하며 이유를 물었다. “나이 어린 젊은 진상 손님들로 인해서 오는 스트레스 때문이었습니다.” 상상이 갔다. 줄곧...
    Views3465
    Read More
  8. 아, 청계천!

    나는 지금 한국 방문 중이다. 중요한 일정 중에 하나는 한국 장애인의 날에 나의 모교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채플에서 설교를 하는 귀한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20일(수) 오전 11:30분. 강단에 올라 무릎을 꿇었다. 가슴 한켠에서 무언가 ‘울컥&rsqu...
    Views3776
    Read More
  9. No Image

    생일이 뭐길래?

    평범한 주부의 고백이다. 며칠 전에 생일을 지나면서 많은 일들을 겪었다고 했다. 하필 전날이 작은 딸의 생일이었다. 초등학교 1학년인 딸을 위해 미역국을 끓이고 딸 친구들을 초대하여 자그마한 파티도 열어주었다. 즐겁고도 피곤한 하루를 보냈다. 다음날...
    Views3656
    Read More
  10. No Image

    산다는 건 그런거지!

    감동 없이 사는 삶은 형벌이다. 사람들은 만나면 습관적으로 묻는다. “요즈음 재미가 어떠세요?” 혹은 “신수가 훤한 것을 보니 재미가 좋으신가봐요?” 재미가 없는 삶은 무의미하다. 삶에는 모름지기 재미가 있고 감동이 있어야 한다...
    Views3722
    Read More
  11. No Image

    몸은 영혼을 담은 그릇

    사람은 영혼과 육체를 가지고 있다. 영혼은 그냥 영(靈)이라고하고 육체는 몸이라고 한다. 몸은 “모음”의 준말이다. 다 모여 있다는 말이다. AI 시대라고 하지만 하나님이 만드신 뇌는 못 따라간다. 뇌에서 Enter를 치면 몸은 그대로 움직인다. ...
    Views3855
    Read More
  12. No Image

    인생의 평형수

    만물은 항상 평형을 유지하려는 본성을 지닌다. 때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며 평형상태가 무너질 때가 있는데 이 찰나에 미미하나마 다시 평형상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을 복원력이라고 한다. 복원력이 가장 중요하게 적용되는 것이 물위에 배이다. 급격한 ...
    Views3468
    Read More
  13. No Image

    도랑

    서종(양평)에서 나는 3년동안 초등학교를 다녔다. 지제, 강상, 양평초등학교를 거쳐 아버지의 인사이동을 따라 산골 깊이 서종초등학교로 전학을 해야 했다. 지금은 카페촌이 들어서고 골짜기마다 분위기 좋은 별장이 즐비한 곳이 되었지만 당시는 촌(村)이었...
    Views3587
    Read More
  14. No Image

    너는 자유다!

    오래전 “Who am I ?”라는 인문학 강연 프로그램에 “정글만리”를 펴낸 조정래 선생이 출연하였다. 노구의 비해 낭랑한 목소리와 소년의 미소가 정겹게 다가왔다. 강연 내내 푸근하게 떠올라 있는 미소와 너그러움이 참 편안하게 느껴...
    Views3793
    Read More
  15. No Image

    아내의 존재

    내가 어릴때는 아버지의 존재가 너무도 커보였다. 형제끼리 이방 저방을 오가며 장난을 치고 호들갑을 떨며 어수선하다가도 아버지가 퇴근을 하고 집에 오시면 일순간 조용해 졌다. 식사 중에 대화를 하면 “밥풀이 튄다”고 절제를 시켰고, 밥숟가...
    Views3758
    Read More
  16. No Image

    시각 장애 반장

    장애를 안고 통합교육을 받는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과거에는 특수학교가 인기가 있었다. 종로에 “명휘원” 광진구에 있는 “정립회관”이 그곳이다. 어떤 면에서 장애를 가진 학생들끼리 편견없이 서로의 아픔을 공유하며...
    Views3983
    Read More
  17. No Image

    개를 산책시키는 남자

    작가의 삶과 작품은 연관성을 갖는다. 내 글에 내 인생의 체취가 묻어나는 것처럼 말이다. 책 이름이 하도 특이해서 손에 잡았고, 흥미진진하게 단숨에 읽어 나아갔다. 작가 전민식은 실로 꼬인 인생을 살았다. 한마디로 되는 일이 없는 사나이였다. 그러던 ...
    Views3809
    Read More
  18. No Image

    군밤

    모처럼 한국 친구 목사와 전화통화를 하다가 “친구야, 용인에서 먹던 <묵밥>이 먹고 싶다.” 외쳤더니 한참을 웃다가 “너는 기억력도 좋다. 언제든지 와 사줄게.”하는 대답이 정겹게 가슴을 파고든다. 30대였을거다. 추운 겨울날에 친...
    Views4054
    Read More
  19. No Image

    어른이 없다

    아버지의 권위가 하늘을 찌르던 시대에 나는 자라났다. 학기 초 학교에서 내어준 가정환경조사서의 호주 난에는 당연히 아버지의 이름 석자가 자리했다. 간혹 엄마의 목소리가 담을 넘는 집도 있었지만 그때는 대부분 아버지가 가정의 모든 의사결정을 주도하...
    Views4205
    Read More
  20. No Image

    명절이 더 외로운 사람들

    지난 1월 22일은 우리나라 고유명절인 설날이었다. 명절은 누구에게나 기대감과 설레임을 안긴다. 하지만 일부 장애인에게는 해당이 안되는 것 같다. 안타까운 소식은 매년 100여명의 장애인이 버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버려진 장애인들은 ‘장애와 고...
    Views437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