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9.04.06 09:29

절단 장애인 김진희

조회 수 326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김진희.jpg

 

 인생을 살다보면 벼라 별 일을 다 겪게 된다. 영화나 드라마에나 나올법한 일이 현실로 닥쳐올 때에 사람들은 흔들린다. 그것도 불의의 사고로 뜻하지 않은 장애를 입으면 당황하고 좌절한다. 나처럼 아예 갓난아이 때 장애를 입은 사람은 체념을 통해 현실을 받아들인다. 어리디 어린 나이에 내 몸은 다른 아이들과 같지 않구나!’부터 깨달아야했다. 기우뚱 거리는 몸을 내가 스스로 바로잡을 수 없다는 것, 친구들에 비해 보행속도가 현저히 느릴 뿐 아니라 금방 지쳐버린다는 것을 알아야했다. 그러면서도 지지 않으려고 아이들과 몸을 부대껴가며 놀이를 했던 모습이 기억난다. 덕분에 많은 친구들과 스스럼없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건강하게 살던 사람이 중도에 사고나 질병으로 신체일부를 절단했을 때에 그 충격은 누구도 짐작하지 못한다. 큰 키, 스커트 밑으로 쭉 뻗은 그녀의 다리를 보고 사람들은 선뜻 김진희씨가 장애인이라는 사실을 알아채지 못한다. 오히려 긴 웨이브 머리에 선글라스를 즐겨 착용하는 멋쟁이로 보일 뿐이다. “어디를 다쳤다는 거죠?” 뒤늦게야 한 쪽 다리가 의족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고 사람들은 놀란다. 얼굴 왼쪽의 흉터는 선글라스가 가리고 있다. 그녀의 아름다움은 당당함이다. 발을 헛디뎌 의족이 빠지거나 옆으로 돌아가도 그녀는 태연히 웃으며 길을 간다. “왜 부끄러워해야 하나요? 좀 불편할 뿐이에요.”

 

 경기도 의정부에서 미술학원을 운영하던 그녀는 퇴근길에 중앙선을 침범한 5톤 트럭과 정면충돌하는 사고를 당했다. 왼쪽 다리가 잘려 나가고 왼쪽 팔과 얼굴 등을 심하게 다치는 중상을 입었다. 18개월간의 험난한 치료 끝에 가까스로 죽음의 문턱에서 돌아왔다. 그러나 그때부터 그녀는 살아 있다는 안도감보다 장애인으로 살아가는 아픔을 절감해야 했다. 처참하게 일그러진 자신의 몸을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것이다. 한 달 뒤면 어여쁜 봄의 신부가 되려던 꿈도 무참히 깨져버렸다.

 

 벽에 머리를 찍거나 약을 먹는 등 수 차례 자살 기도를 했다. 그러나 차라리 같이 죽자며 울부짖는 어머니와 언니들의 눈물겨운 간병 속에 이렇게라도 살아서 할 일이 있을 것이라고 마음을 고쳐먹었다. 그렇게 시작된 7년이란 시련의 계절은 그녀에게 삶의 근육을 키워주었다. 지금은 절단 장애인이지만 일반인보다 훨씬 역동적인 삶을 살고 있다. 장애인 카운셀러로 도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으면 언제든지 대화를 나누고, 휠체어나 의수족 등 보장구를 모아서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전달해 주는 일을 한다. 20025월부터는 KBS 3라디오 함께 하는 세상 만들기’(638KHz, 오전 9)를 진행하는 방송인으로 맹활약 중이며, 장애인신문 등에 장애 정보 관련 글을 기고하는 칼럼니스트로도 이름을 얻고 있다.

 

 김진희에게 용기를 준 사람은 미국 장애인 육상선수 겸 패션모델인 에이미 멀린스였다. 의족을 하고서도 아름답고 멋진 인생을 살고 있는 기사를 접하며 그녀는 새로운 삶에 도전을 시작하게 된다. 그녀는 에이미 멀린스처럼 장애인이라도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 방송이나 신문 기고 등을 통해 외국 유명 인사와 체육선수 등 절단 장애인의 아름다운 삶을 소개하는 일에 열심이다. 그런 그녀를 보고 이따금 장애가 뭐 벼슬이라고 떠들고 다니느냐?”는 눈총을 받기도 하지만 그녀는 흔들리지 않는다.

 

 그녀의 가장 큰 아픔은 사고 당시 열등감에 사로잡혀 약혼자를 떠나보낸 일이다. 지금은 새로운 사랑을 기다릴 만큼 마음의 여유를 되찾았다. 의족을 착용한 채 헬스도 다니고 혼자서 배낭을 메고 여행을 떠나기도 한다. “장애 때문에 지레 움츠러들었던 건 바보 같은 행동이었어요. 시련을 딛고 일어설 수 있다는 자신감이 들었을 때 삶은 다시 아름다워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행복은 닫힌 마음이 열리는 순간에 비로소 가슴으로 느껴지는 것이라고 그녀는 말한다. 장애는 힘들다. 하지만 진취적인 사고로 현실의 벽에 과감히 도전할 때에 새로운 돌파력이 생기며 다른 차원의 행복을 맛볼 수 있다. 역경 앞에 도전하는 그 사람이 영웅이다.


  1. No Image

    생명의 신비

    장애인에게 결혼은 넘어가야 할 큰 장벽이다. 보통 청년들은 자연스럽게 짝을 만나고 결혼을 한다. 하지만 장애라는 아픔을 안고 사는 장애인들은 엄두도 내지 못한 채 살고 있다. 장애인사역을 하는 분들이 나누는 명언 아닌 명언이 있다. “여자 천사...
    Views3639
    Read More
  2. No Image

    가정을 한 글자로

    장성하여 혼기가 차면 짝을 찾아 결혼을 한다. 인생을 살면서 ‘어떤 배우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방향이 달라진다. 이미 긴 세월 결혼생활을 해 온 분들에게 묻고 싶다. ‘만약 지금의 배우자가 아닌 그 시점에서 다른 사람을 만났다면 어떤...
    Views3727
    Read More
  3. No Image

    누구나 장애인

    초청받은 교회에서 설교를 하고 예배 후 친교를 시작하면 하나둘 내 곁에 모여든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은 “목사님, 저도 장애인입니다.”이다. 일단 거부감이 들지만 스스로 생각해도 장애가 있다는 의미인 것 같다. 그런데 정작 누군가...
    Views3628
    Read More
  4. No Image

    어차피 인간은 외로운 존재인가?

    한국에 가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 위함이다. 물론 목사이기에 여러 교회를 다니며 설교를 하지만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고국의 품이 그리워 찾아가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며 회귀본능이 고개를 든다. 어린 나이에 이민을 온 분들은 그렇지 않겠지만...
    Views3826
    Read More
  5. No Image

    그 이름 그 사람

    사람은 누구에게나 이름이 있다. 사실 이름은 본인의 의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붙여지는 고유명사이다. 이름은 태어나서만 지어지는 것이 아니다. 모태에 잉태된 순간에 붙여지는 이름도 있다. 바로 ‘태명’(胎名)이다. 태명이 태명으로 끝나는 경...
    Views3706
    Read More
  6. No Image

    웃으면 행복해져요!

    사람과 짐승이 다른 것이 있다면 그것은 사람만이 웃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개나 고양이는 웃지 못한다. 사람만이 다양한 소리를 내며 웃을 수 있다. 하기에 웃음을 “만국공통어”라고 한다. 웃음소리만 들어서는 한국인인지 외국인인지 구분이 안...
    Views3751
    Read More
  7. No Image

    죽고 싶은 당신에게

    택시를 탔다. 기사와 대화를 나누는 중에 뜬금없이 “자신이 자살 시도를 세 번이나 했었다”고 털어놓는다. 저으기 당황하며 이유를 물었다. “나이 어린 젊은 진상 손님들로 인해서 오는 스트레스 때문이었습니다.” 상상이 갔다. 줄곧...
    Views3465
    Read More
  8. 아, 청계천!

    나는 지금 한국 방문 중이다. 중요한 일정 중에 하나는 한국 장애인의 날에 나의 모교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채플에서 설교를 하는 귀한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20일(수) 오전 11:30분. 강단에 올라 무릎을 꿇었다. 가슴 한켠에서 무언가 ‘울컥&rsqu...
    Views3776
    Read More
  9. No Image

    생일이 뭐길래?

    평범한 주부의 고백이다. 며칠 전에 생일을 지나면서 많은 일들을 겪었다고 했다. 하필 전날이 작은 딸의 생일이었다. 초등학교 1학년인 딸을 위해 미역국을 끓이고 딸 친구들을 초대하여 자그마한 파티도 열어주었다. 즐겁고도 피곤한 하루를 보냈다. 다음날...
    Views3656
    Read More
  10. No Image

    산다는 건 그런거지!

    감동 없이 사는 삶은 형벌이다. 사람들은 만나면 습관적으로 묻는다. “요즈음 재미가 어떠세요?” 혹은 “신수가 훤한 것을 보니 재미가 좋으신가봐요?” 재미가 없는 삶은 무의미하다. 삶에는 모름지기 재미가 있고 감동이 있어야 한다...
    Views3722
    Read More
  11. No Image

    몸은 영혼을 담은 그릇

    사람은 영혼과 육체를 가지고 있다. 영혼은 그냥 영(靈)이라고하고 육체는 몸이라고 한다. 몸은 “모음”의 준말이다. 다 모여 있다는 말이다. AI 시대라고 하지만 하나님이 만드신 뇌는 못 따라간다. 뇌에서 Enter를 치면 몸은 그대로 움직인다. ...
    Views3855
    Read More
  12. No Image

    인생의 평형수

    만물은 항상 평형을 유지하려는 본성을 지닌다. 때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며 평형상태가 무너질 때가 있는데 이 찰나에 미미하나마 다시 평형상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을 복원력이라고 한다. 복원력이 가장 중요하게 적용되는 것이 물위에 배이다. 급격한 ...
    Views3468
    Read More
  13. No Image

    도랑

    서종(양평)에서 나는 3년동안 초등학교를 다녔다. 지제, 강상, 양평초등학교를 거쳐 아버지의 인사이동을 따라 산골 깊이 서종초등학교로 전학을 해야 했다. 지금은 카페촌이 들어서고 골짜기마다 분위기 좋은 별장이 즐비한 곳이 되었지만 당시는 촌(村)이었...
    Views3586
    Read More
  14. No Image

    너는 자유다!

    오래전 “Who am I ?”라는 인문학 강연 프로그램에 “정글만리”를 펴낸 조정래 선생이 출연하였다. 노구의 비해 낭랑한 목소리와 소년의 미소가 정겹게 다가왔다. 강연 내내 푸근하게 떠올라 있는 미소와 너그러움이 참 편안하게 느껴...
    Views3793
    Read More
  15. No Image

    아내의 존재

    내가 어릴때는 아버지의 존재가 너무도 커보였다. 형제끼리 이방 저방을 오가며 장난을 치고 호들갑을 떨며 어수선하다가도 아버지가 퇴근을 하고 집에 오시면 일순간 조용해 졌다. 식사 중에 대화를 하면 “밥풀이 튄다”고 절제를 시켰고, 밥숟가...
    Views3755
    Read More
  16. No Image

    시각 장애 반장

    장애를 안고 통합교육을 받는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과거에는 특수학교가 인기가 있었다. 종로에 “명휘원” 광진구에 있는 “정립회관”이 그곳이다. 어떤 면에서 장애를 가진 학생들끼리 편견없이 서로의 아픔을 공유하며...
    Views3983
    Read More
  17. No Image

    개를 산책시키는 남자

    작가의 삶과 작품은 연관성을 갖는다. 내 글에 내 인생의 체취가 묻어나는 것처럼 말이다. 책 이름이 하도 특이해서 손에 잡았고, 흥미진진하게 단숨에 읽어 나아갔다. 작가 전민식은 실로 꼬인 인생을 살았다. 한마디로 되는 일이 없는 사나이였다. 그러던 ...
    Views3809
    Read More
  18. No Image

    군밤

    모처럼 한국 친구 목사와 전화통화를 하다가 “친구야, 용인에서 먹던 <묵밥>이 먹고 싶다.” 외쳤더니 한참을 웃다가 “너는 기억력도 좋다. 언제든지 와 사줄게.”하는 대답이 정겹게 가슴을 파고든다. 30대였을거다. 추운 겨울날에 친...
    Views4054
    Read More
  19. No Image

    어른이 없다

    아버지의 권위가 하늘을 찌르던 시대에 나는 자라났다. 학기 초 학교에서 내어준 가정환경조사서의 호주 난에는 당연히 아버지의 이름 석자가 자리했다. 간혹 엄마의 목소리가 담을 넘는 집도 있었지만 그때는 대부분 아버지가 가정의 모든 의사결정을 주도하...
    Views4204
    Read More
  20. No Image

    명절이 더 외로운 사람들

    지난 1월 22일은 우리나라 고유명절인 설날이었다. 명절은 누구에게나 기대감과 설레임을 안긴다. 하지만 일부 장애인에게는 해당이 안되는 것 같다. 안타까운 소식은 매년 100여명의 장애인이 버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버려진 장애인들은 ‘장애와 고...
    Views437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