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47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휠체어.jpg

 

  사람에 대한 호칭이 중요하다. 성도들이 목사님이라고 부르면서 강단에 올라 대표 기도를 할 때에는 그 명칭이 다양해진다. “목사님, 주의 사자, 은 이해가 간다. 어떤 분은 오늘 주의 종님이 말씀을 증거하실때에라고 한다. 종은 종이지 거기에 님을 붙이니 헷갈린다. 우리가 어릴 때는 대통령에게 각하라는 말을 붙였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대통령님이라고 한다. 뭔가 어색하다. 국문학자가 아니기에 어떤 의미로 그렇게 바뀌었는지는 몰라도 높이려면 높이고 낮추려면 낮춰야 하지 않을까? 그런 면에서 같은 직업인데도 호칭이 많이 달라졌다. 시청 청소원을 환경미화원”, 때밀이를 세신사”, 간호원을 간호사”, 미용사를 헤어디자이너”, 보험사원을 생활설계사”, 집안에서 허드렛일을 하는 분을 가사도우미로 부른다. 호칭을 바꾸면서 그 일에 종사하는 분들의 자존감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 것은 틀림없다.

 

  우리 밀알선교단은 장애인선교를 하는 곳이다. 선교회가 아니라 선교단이라고 하는 이유는 40년 전 밀알선교단을 세울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1979. 그때에는 장애인에 대한 호칭이 거의 없었다. 장님, 꼽추, 절뚝발이, 벙어리, 병신, 바보, 앉은뱅이. 나는 고등학교에 다닐 때지체부자유자로 불리웠다. 밀알선교단을 처음 설립한 이재서 박사(당시 전도사)<선교단>이라는 특이한 이름을 붙였다. 그 의미는 올림픽선수단이 대회를 치르고 나면 해체하듯이 밀알선교단으로 출발해서 교회나 사회 전반에서 장애인 선교를 적극적으로 펼치는 날이 오면 밀알선교단은 자동 해체되어야 한다는 긴장 의식을 갖자는 깊은 의미였다. 내가 설교를 하러 가서 가면 목사님들 대부분은 밀알선교회로 부르고 있다.

 

  그러면 이제 더 예민한 장애인 호칭에 대해 생각해 보자. 처음에는 장애자였다. 그런데 한문으로 놈 라며 사람 이 되었다. 한때 많이 쓰던 명칭이 장애우이다. 듣기가 참 좋아 보인다. 친구 하지만 나이가 지긋한 분들을 향해 장애우라고 부르는 것은 실례이다. 우리 할아버지가 장애우이신데앞뒤가 맞지 않는다. 장애인의 날이라고 하면서 장애우라고 부르는 것도 모순이다. ‘장애인(障碍人)’은 장애를 가진 사람이다. 그런데 장애우(障碍友)’라고하면 장애를 가진 친구가 된다. “나는 장애우입니다.” 이것도 어법에 맞지 않는다. 이제 다시 장애인이 통칭이 되었다. 대한민국에서의 법적인 공식 용어는 장애인이다.

그러면 장애인의 반대말은 무엇일까? 사람들은 정상인이라는 말을 서슴없이 사용한다. 그러면 장애인은 비정상인이라는 말인가? 정상의 기준이 장애가 있고, 없음이라는 잣대를 들이대는 것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건강한 사람들조차 스스로 말한다. “이 세상에 장애인 아닌 사람이 있나요?” 장애인 사역자들이 가장 흔히 듣는 말이다. 장애인의 반대말은 비정상인이 아니라 비장애인이라는 단어를 새삼 각인하게 되는 경우였다.

 

  내친김에 장애인을 부르는 말을 정리해 보고 싶다. 현재 잘못 사용하고 있는 용어를 노골적으로 표현하는 것에 양해를 바란다. 장님, 소경, 봉사는 시각장애인. 애꾸눈, 외눈박이도 같은 명칭을 사용해야 한다. 사팔눈, 사팔뜨기는 사시장애인. 바보, 얼간이, 등신, 백치는 정신지체인. 정신박약, 저능아는 정신지체로 불러야 한다. 그럼 육신이 불편한 분들은 어떻게 불러야 할까? 앉은뱅이, 절름발이, 절뚝발이, 찐따는 지체장애인. 곱사등, 꼽추, 곱사는 척추장애인. 외팔이, 외팔뚝이는 지체장애인 혹은 절단장애인으로 해야 한다. 난쟁이는 왜소증. 언어와 듣는 것에 장애를 가진 분들이 있다. 귀머거리는 청각장애인, 벙어리는 언어장애인. 언청이, 째보는 구개파열장애(언어장애인)로 호칭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전통적으로 Disabled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다. 한때 Handicapped라고 불렀지만 장애우와 비슷한 이유로 쓰이지 않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Disability, Challenged가 있다. 같은 상황이라면 누가 들어도 좋고 특히 당사자들에게 보다 부드럽고 순화적인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바로 배려요, 사랑이다.

 

 

 

 


  1. No Image

    때 이른 성공

    신동이란 어린 나이에 별스런 재주를 나타내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지식은 물론, 예 · 체능에서 탁월한 재능을 발휘할때에 그런 명칭이 붙는다. 일단 그를 낳은 부모들이 자긍심을 느끼고, 주위 사람들의 경탄을 불러일으킨다. 우리 시대에도 신...
    Views4384
    Read More
  2. No Image

    발가락 시인

    이흥렬 씨. 그는 선천적 뇌성마비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에게 가장 큰 애로사항은 언어소통이다. 사람을 만나면 힘겹게, 너무도 힘겹게 말을 이어가야 한다. 말들은 쉽사리 그의 입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한동안 그의 온 몸을 휘젓고 다닌 끝에야 가까스로 그...
    Views4290
    Read More
  3. No Image

    나는 멋진 사람

    대부분 핸드폰을 열면 가족사진이나 풍경이 배경으로 깔려있다. 독특하게 내 폰은 배경이 나다. 언젠가 가족모임을 가지면서 독사진을 찍었는데 내 웃는 얼굴이 마음에 들어서이다. 며칠 전, 지인과 대화 중에 내 핸드폰을 보며 “특이하시네요. 핸드폰 ...
    Views4308
    Read More
  4. No Image

    미치겄쥬? 나는 환장하겄슈!

    인생은 초보부터 시작한다. 처음은 다 어설프고 우수꽝스러워 보이지만 인생은 다 초보부터 시작하였다는 것을 기억하며 살아야 한다. 「초보」하면 생각나는 것이 운전이다. 장애인이기에 운전을 한다는 것을 상상조차 못했는데 누가 “한국도 장애인들...
    Views4324
    Read More
  5. No Image

    생명의 신비

    장애인에게 결혼은 넘어가야 할 큰 장벽이다. 보통 청년들은 자연스럽게 짝을 만나고 결혼을 한다. 하지만 장애라는 아픔을 안고 사는 장애인들은 엄두도 내지 못한 채 살고 있다. 장애인사역을 하는 분들이 나누는 명언 아닌 명언이 있다. “여자 천사...
    Views4435
    Read More
  6. No Image

    가정을 한 글자로

    장성하여 혼기가 차면 짝을 찾아 결혼을 한다. 인생을 살면서 ‘어떤 배우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방향이 달라진다. 이미 긴 세월 결혼생활을 해 온 분들에게 묻고 싶다. ‘만약 지금의 배우자가 아닌 그 시점에서 다른 사람을 만났다면 어떤...
    Views4545
    Read More
  7. No Image

    누구나 장애인

    초청받은 교회에서 설교를 하고 예배 후 친교를 시작하면 하나둘 내 곁에 모여든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은 “목사님, 저도 장애인입니다.”이다. 일단 거부감이 들지만 스스로 생각해도 장애가 있다는 의미인 것 같다. 그런데 정작 누군가...
    Views4447
    Read More
  8. No Image

    어차피 인간은 외로운 존재인가?

    한국에 가는 이유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 위함이다. 물론 목사이기에 여러 교회를 다니며 설교를 하지만 내가 태어나고 자라온 고국의 품이 그리워 찾아가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며 회귀본능이 고개를 든다. 어린 나이에 이민을 온 분들은 그렇지 않겠지만...
    Views4633
    Read More
  9. No Image

    그 이름 그 사람

    사람은 누구에게나 이름이 있다. 사실 이름은 본인의 의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붙여지는 고유명사이다. 이름은 태어나서만 지어지는 것이 아니다. 모태에 잉태된 순간에 붙여지는 이름도 있다. 바로 ‘태명’(胎名)이다. 태명이 태명으로 끝나는 경...
    Views4399
    Read More
  10. No Image

    웃으면 행복해져요!

    사람과 짐승이 다른 것이 있다면 그것은 사람만이 웃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개나 고양이는 웃지 못한다. 사람만이 다양한 소리를 내며 웃을 수 있다. 하기에 웃음을 “만국공통어”라고 한다. 웃음소리만 들어서는 한국인인지 외국인인지 구분이 안...
    Views4585
    Read More
  11. No Image

    죽고 싶은 당신에게

    택시를 탔다. 기사와 대화를 나누는 중에 뜬금없이 “자신이 자살 시도를 세 번이나 했었다”고 털어놓는다. 저으기 당황하며 이유를 물었다. “나이 어린 젊은 진상 손님들로 인해서 오는 스트레스 때문이었습니다.” 상상이 갔다. 줄곧...
    Views4395
    Read More
  12. 아, 청계천!

    나는 지금 한국 방문 중이다. 중요한 일정 중에 하나는 한국 장애인의 날에 나의 모교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채플에서 설교를 하는 귀한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20일(수) 오전 11:30분. 강단에 올라 무릎을 꿇었다. 가슴 한켠에서 무언가 ‘울컥&rsqu...
    Views4637
    Read More
  13. No Image

    생일이 뭐길래?

    평범한 주부의 고백이다. 며칠 전에 생일을 지나면서 많은 일들을 겪었다고 했다. 하필 전날이 작은 딸의 생일이었다. 초등학교 1학년인 딸을 위해 미역국을 끓이고 딸 친구들을 초대하여 자그마한 파티도 열어주었다. 즐겁고도 피곤한 하루를 보냈다. 다음날...
    Views4480
    Read More
  14. No Image

    산다는 건 그런거지!

    감동 없이 사는 삶은 형벌이다. 사람들은 만나면 습관적으로 묻는다. “요즈음 재미가 어떠세요?” 혹은 “신수가 훤한 것을 보니 재미가 좋으신가봐요?” 재미가 없는 삶은 무의미하다. 삶에는 모름지기 재미가 있고 감동이 있어야 한다...
    Views4563
    Read More
  15. No Image

    몸은 영혼을 담은 그릇

    사람은 영혼과 육체를 가지고 있다. 영혼은 그냥 영(靈)이라고하고 육체는 몸이라고 한다. 몸은 “모음”의 준말이다. 다 모여 있다는 말이다. AI 시대라고 하지만 하나님이 만드신 뇌는 못 따라간다. 뇌에서 Enter를 치면 몸은 그대로 움직인다. ...
    Views4718
    Read More
  16. No Image

    인생의 평형수

    만물은 항상 평형을 유지하려는 본성을 지닌다. 때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며 평형상태가 무너질 때가 있는데 이 찰나에 미미하나마 다시 평형상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을 복원력이라고 한다. 복원력이 가장 중요하게 적용되는 것이 물위에 배이다. 급격한 ...
    Views4256
    Read More
  17. No Image

    도랑

    서종(양평)에서 나는 3년동안 초등학교를 다녔다. 지제, 강상, 양평초등학교를 거쳐 아버지의 인사이동을 따라 산골 깊이 서종초등학교로 전학을 해야 했다. 지금은 카페촌이 들어서고 골짜기마다 분위기 좋은 별장이 즐비한 곳이 되었지만 당시는 촌(村)이었...
    Views4430
    Read More
  18. No Image

    너는 자유다!

    오래전 “Who am I ?”라는 인문학 강연 프로그램에 “정글만리”를 펴낸 조정래 선생이 출연하였다. 노구의 비해 낭랑한 목소리와 소년의 미소가 정겹게 다가왔다. 강연 내내 푸근하게 떠올라 있는 미소와 너그러움이 참 편안하게 느껴...
    Views4663
    Read More
  19. No Image

    아내의 존재

    내가 어릴때는 아버지의 존재가 너무도 커보였다. 형제끼리 이방 저방을 오가며 장난을 치고 호들갑을 떨며 어수선하다가도 아버지가 퇴근을 하고 집에 오시면 일순간 조용해 졌다. 식사 중에 대화를 하면 “밥풀이 튄다”고 절제를 시켰고, 밥숟가...
    Views4630
    Read More
  20. No Image

    시각 장애 반장

    장애를 안고 통합교육을 받는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과거에는 특수학교가 인기가 있었다. 종로에 “명휘원” 광진구에 있는 “정립회관”이 그곳이다. 어떤 면에서 장애를 가진 학생들끼리 편견없이 서로의 아픔을 공유하며...
    Views485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