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9.11.22 15:48

민들레 식당

조회 수 276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민들레식당.jpg

 

 민들레의 꽃말은 사랑행복이다. 민들레는 담장 밑이나 길가 등 어디에서나 잘 핀다. 늘 옆에 있고 친숙하며, 높은 곳보다 항상 낮은 지대에 자생한다. 잎이 필 때도 낮게 옆으로 핀다. '낮고 겸손한 꽃민들레처럼 우리 사회에서 소외되고 굶주림에 고통받는 노숙인에게 빛과 소금이 되어 온 인천의 참 민들레가 있다. 서영남 대표는 20034월 소외된 노숙자를 위해 이곳에 둥지를 틀었다. 처음에는 3평 남짓한 곳에 식탁 한 개와 의자 여섯 개로 시작했다.

 

 2005년에 건물 집 주인 모세 할아버지가 본인이 쓰던 작은 사무실을 무상으로 기부해 식당이 6평으로 넓어졌다. ‘모세의 기적이었다. 2009년에는 옆집 쌀가게로 옮기면서 18평 식당에 25명이 식사할 수 있는 중형식당이 됐다. “민들레식당은 줄서기 경쟁이 없어요. 여기서도 경쟁하면 이분들을 다시 지치게 만드는 일이죠. 몇 날을 굶주린 노숙인들이 배불리 밥을 먹고 나면 아무런 욕심을 안 내요.”라고 말하는 그의 미소가 넉넉해 보인다.

그뿐만이 아니다. 월요일마다 점심을 거르며 모은 돈을 1년간 저축했다가 전달해주는 아저씨, 하루 폐지 15kg을 모아서 번 돈 1,000원을 반찬값에 보태라며 내는 할머니. “국숫집 손님들을 위해 쓰고 싶다.”면서 영치금을 모아 보내오는 교도소 재소자 형제. 고춧가루를 매년 나눠주는 화수시장 상인 등 작지만 따뜻한 사람들의 정성이 매일 모여든다. 정부지원도 받지 않고 부자들의 생색내기식 기부금도 사양하며 후원회도 없지만 오늘도 민들레 식당에서는 따뜻한 밥과 국, 다섯 종류 이상의 반찬이 손님을 기다린다.

 

 서 대표는 가난한 집안의 7남매 중 다섯째로 태어났다. 8세 때 부친을 여의고, 23세 때 수도회로 들어갔다. 수도사 생활 25년 만인 2000년에 환속을 위해 수도복을 벗었다. 노숙인 무료배식과 함께 세상에 나가 가난한 사람들과 함께하기 위해서였다. 가톨릭 수사시절 때부터 20여 년간 해왔던 교도소 장기수 돕기를 지금도 하고 있다. ‘민들레 식당에는 계산대가 없다. 누구든 찾아갈 수 있고 언제나 정성이 가득 담긴 밥과 음식이 나오지만 계산은 고마움을 표현하는 인사 한마디면 해결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먹을 것조차 해결되지 않는 이웃들을 위해 실이익을 뒤로하고 식당을 운영하고 있다. 그는 말한다. “노숙인들에게 정말 필요한 건 밥이 아니라 사람대접입니다.” 진정 민들레식당은 밥이 아닌 정을 나눠주는 곳이다. 단순히 음식이 아니라 따뜻한 정이 넘쳐흐르는 곳이 민들레식당이다. 그 정을 느끼며 사람들은 뱃속 뿐 아니라 마음까지 따뜻해짐을 체험한다. 집배원 최신호 씨는 자신의 1주일 용돈 2만 원을 받으면 가장 먼저 달걀 2판을 사서 민들레 식당에 제공을 한다. 식당을 운영하는 서영남 씨의 마음 씀씀이가 귀해 보이기 때문이다. “퇴직을 하면 민들레 식당에서 설거지를 하며 노후를 보내고 싶다.”며 웃는 그의 얼굴에서 천사를 본다. 많아서가 아니다. 자신도 가진 것이 작지만 더 어려운 이웃을 돌아보는 그는 진정 가진 것이 많은 사람이다.

 

 서 대표는 새로운 손님이 오면 이름부터 외운다. 식당 벽에 걸린 하얀 칠판에 손님 이름을 적어놓고 당사자가 올 때면 한 번이라도 꼭 이름을 부른다. 처음에는 손님이 몇 명 안돼 이름 외우기가 그다지 어렵지 않았지만 손님이 늘어나면서 이름 외우는 것도 시험공부하듯이 열심히 해야 한다.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은 자기 존재감을 잊으면서 홀로 설 용기를 잃고 자포자기하기 쉽다. 그래서 그는 그의 이름을 불러주고 관심을 가져 줄 단 한 사람이라도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렇게 해야 조금씩 자신의 존재감을 되찾게 되고 살아갈 의욕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세상엔 아름다운 이야기가 참 많다. 가슴이 따뜻한 사람들이 곳곳에 숨어있다. 아름다운 이야기만 듣던 자리에서 이제 그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살아야 하지 않을까?

 

 “사랑만이 겨울을 이기고 봄을 기다릴 줄 안다.” (시인 김남주)


  1. No Image

    개를 산책시키는 남자

    작가의 삶과 작품은 연관성을 갖는다. 내 글에 내 인생의 체취가 묻어나는 것처럼 말이다. 책 이름이 하도 특이해서 손에 잡았고, 흥미진진하게 단숨에 읽어 나아갔다. 작가 전민식은 실로 꼬인 인생을 살았다. 한마디로 되는 일이 없는 사나이였다. 그러던 ...
    Views4595
    Read More
  2. No Image

    군밤

    모처럼 한국 친구 목사와 전화통화를 하다가 “친구야, 용인에서 먹던 <묵밥>이 먹고 싶다.” 외쳤더니 한참을 웃다가 “너는 기억력도 좋다. 언제든지 와 사줄게.”하는 대답이 정겹게 가슴을 파고든다. 30대였을거다. 추운 겨울날에 친...
    Views4924
    Read More
  3. No Image

    어른이 없다

    아버지의 권위가 하늘을 찌르던 시대에 나는 자라났다. 학기 초 학교에서 내어준 가정환경조사서의 호주 난에는 당연히 아버지의 이름 석자가 자리했다. 간혹 엄마의 목소리가 담을 넘는 집도 있었지만 그때는 대부분 아버지가 가정의 모든 의사결정을 주도하...
    Views5155
    Read More
  4. No Image

    명절이 더 외로운 사람들

    지난 1월 22일은 우리나라 고유명절인 설날이었다. 명절은 누구에게나 기대감과 설레임을 안긴다. 하지만 일부 장애인에게는 해당이 안되는 것 같다. 안타까운 소식은 매년 100여명의 장애인이 버려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버려진 장애인들은 ‘장애와 고...
    Views5385
    Read More
  5. No Image

    잊혀져 간 그 겨울

    겨울의 한복판을 지나고 있다. 날씨는 음력이 정확하게 이끌어 주는 것 같다. 설(22일)을 넘어 입춘(2월 4일)이 한주 앞으로 바싹 다가서고 있다. 불안한 것은 눈이 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별걱정을 다한다’고 할지 모르지만 겨울이 겨울답지 않...
    Views5056
    Read More
  6. No Image

    백수 예찬

    젊었을때는 누구나 쉬고 싶어한다. ‘언제나 마음놓고 쉬어볼까?’하며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삶에 열중한다. 아이들의 재롱에 삶의 시름을 잊고 돌아보니 중년이요, 또 한바퀴를 돌아보니 어느새 정년퇴직에 접어든다. 한국 기준으로 보통 60세가 ...
    Views5329
    Read More
  7. No Image

    겨울에도 꽃은 핀다

    사람의 처지가 좋아지면 꽃이 피었다고 표현한다. 여성을 비하한다는 위험성이 있지만 한때는 여성들을 곧잘 꽃에 비유했다. 바라만 보아도 그냥 기분 좋아지는 존재, 다르기에 신비로워서일까? 꽃을 보며 인상을 쓰는 사람은 없다. 어여쁜 꽃을 보면 누구나 ...
    Views5769
    Read More
  8. No Image

    돋는 해의 아침 빛<2023년 첫칼럼>

    사람들은 새해가 되면 해돋이를 위해 산이나 바다로 향한다. 따지고 보면 같은 태양이건만 해가 바뀌는 시점에 바라보는 태양의 의미는 다를 수도 있을 것 같다. 목사이기에 송구영신예배를 드리며 새해를 맞이하는 것은 당연한 모습이요, 삶이 된 것 같다. ...
    Views5779
    Read More
  9. No Image

    그래도 가야만 한다<송년>

    밀알선교단 자원봉사자 9학년 남학생에게 물었다. “세월이 참 빠르지?” 고개를 가로저었다. 아니란다. 그러면서 깨달았다. ‘그렇구나, 세월이 안간다’고 느끼는 세대도 있구나! 그러면서 그 나이에 나를 생각해 보았다. 경기도 양평...
    Views6070
    Read More
  10. 명품

    누군가는 명품 스포츠용품만 애호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흔히 신는 운동화 하나가 그렇게 고가인 줄은 전혀 몰랐다. 20년 전, 로스앤젤레스에 살고 있을 때이다. 한국에서 절친이 찾아왔는데 갑자기 “‘로데오거리’를 구경하고 싶다&rdquo...
    Views5810
    Read More
  11. 겨울 친구

    겨울의 차디찬 바람이 옷깃을 파고든다. 그래도 실내에 들어서면 온기가 충만하고 차에 올라 히터를 켜면 금방 따스해 지니 다행이다. 초등학교 시절에 겨울은 너무도 추웠다. 지금보다 날씨가 더 추웠는지 아니면 입은 옷이 시원치 않아서 그랬는지 그때는 ...
    Views5852
    Read More
  12. 누가 ‘욕’을 아름답다 하는가?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조용히, 어떨 때는 큰 소리로, 부드럽게 말을 할 때도 있지만 거칠고 성난 파도가 치듯 말을 하기도 한다. 말 중에 해독이 되는 것이 있는데 바로 ‘욕’이다. 세상을 살면서 욕 한마디 안 해본 사람이 있을까? 나는 비기...
    Views6268
    Read More
  13. 인연

    어느새 2022년의 끝자락이다. 3년의 길고 지루했던 팬데믹을 빠져나가는 듯한 느낌이 들어 금년 세모는 서러운 생각은 별로 안드는 것 같다. 돌아보니 금년에도 바쁘게 돌아쳤다. 1월 새해 사역을 시작하려니 오미크론이 번지며 점점 연기되어 갔다. 2월부터 ...
    Views5581
    Read More
  14. 인생을 살아보니

    젊을때는 긴장감을 놓을 수 없을 정도로 스쳐가는 삶을 살아야 한다. 미지의 세계를 향해 달려 나가는 청춘은 힘겹고 모든 것이 낯설다. 넘어지고 깨어지고 실수하지만 멈출 수도 없다. 학업, 이후의 취업. 그리고 인륜지대사 결혼. 이후에는 더 높은곳을 향...
    Views6213
    Read More
  15. 웃는 모습이 아름다워요

    사람을 만난다는 것은 인생에게 주어진 은총이다. 태어나 요람에 누우면 부모의 숨결, 들려주는 목소리가 아이를 만난다. “엄마해 봐, 아빠 해봐” 수만번을 어우르며 외치다 보면 드디어 아이의 입이 열린다. 말을 시작하며 아이는 소통을 시작한...
    Views6266
    Read More
  16. 결혼의 신기루

    연거푸 토요일마다 지인의 자녀 결혼식에 참석하느라 분주하게 보내고 있다. 바야흐로 결혼 시즌이다. 코발트색 가을하늘. 멋진 턱시도와 눈부신 웨딩드레스를 입고 서 있는 신랑 신부의 모습은 진정 영화의 한 장면처럼 영롱하다. 필라에는 정말 멋진 야외 ...
    Views6424
    Read More
  17. 기다려 주는 사랑

    누구나 눈을 뜨면 외출을 한다. 사업이나 직장으로, 혹은 사적인 일을 감당하기 위해 집을 나선다. 누군가 출입문을 나설때면 배웅을 해준다. 덕담을 곁들여서 말이다. 어린 시절에는 부모님께 “학교 다녀오겠습니다.” 깍듯이 인사를 하고 등교를...
    Views6183
    Read More
  18. 완전할 수 없는 인간의 그늘

    사람은 생각할수록 신비로운 존재이다. 우선 다양성이다. 미국에 살기에 실감하지만 피부색이 다르고 언어가 다를 뿐 아니라 문화가 다르다. 따라서 대화를 해보면 제스추어도 다양하다. 우리 한국 사람들은 정적이다. 대부분 목소리 톤이 낮다. 끄덕이며, 반...
    Views6271
    Read More
  19. 존재 자체로도 귀한 분들

    이 세상에서 제일 못난 사람이 있다면 자신의 부모를 부끄럽게 여기는 사람일 것이다. 부모는 자식의 뿌리이다. 부모 없이 내가 존재할 수 없다. 묻고 싶다. “과연 나는 나의 부모를 어떻게 생각하는가?” 학력, 인격, 경제력, 기타 어떤 조건을 ...
    Views6017
    Read More
  20. 지금합니다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막상 사정이 생기거나 여유가 있다고 생각되면 지금 할 일을 나중으로 미루게 된다. 그것이 흔한 일상이지만 사소한 게으름이 인생의 기회를 엉뚱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경험을 ...
    Views625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