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05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청량리역.jpg

 

 

 미국에 처음 와서 이민선배들(?)로부터 많은 말을 들었다. 어떤 말은 “맞아!”하며 맞장구가 쳐지지만 선뜻 이해가 안가는 말 중에 하나는 “누구나 자신이 이민을 온 그 시점에 한국이 멈춰져 있다.”는 말이었다. 여러 가지 사정으로 수십 년간 한국을 방문하지 않은 분들은 그럴 수 있다지만 종종 드나드는 사람은 ‘그럴 리가 없다.’는 의구심을 가졌다. 그러면서 이민을 온지 오래된 분들과 이제 갓 이민을 온 사람들 사이에는 보이지 않는 ‘갭’이 있음도 알아차릴 수 있었다. 미국의 역사와 이민자들의 애환을 그래서 많이도 들었다. 조심해야 할 부분들도 넌지시 감사하게 받았다.

 

 미국생활이 수십 년을 넘어가는 분들은 미국이 얼마나 좋은 곳인지, 특히 환경적으로나 사람을 배려하는 차원에서는 최고의 수준이라는 것을 강조하며 지금의 삶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한다. 반면 한국에서 갖 이민을 온 ‘이민새내기’(?)들은 낙후된 옛날과는 비교가 안될 만큼 모든 면에서 발전된 한국의 모습과 위상을 강조하며 “한국이 훨씬 좋다.”며 입에 거품을 문다. 2000년 이후 한국방문을 해본 경험이 없는 사람을 만나면 2001년에 개항한 인천공항의 우수성을 예로 들며 “꼭 한국에 가보시라!”며 거드름을 피운다.

 

 한국은 우리가 이민을 온 시간과 관계없이 모든 것이 발전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경제대국으로 급부상하고 있고 우리가 간직하고 싶은 열망을 무시한 채 가는 곳마다 부수고 바꾸며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정신적 세계는 옛 생각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다. 나는 다를 줄 알았다. 금년 4월에도 한국을 찾았다. 서울에서 시작하여 부산, 진주, 대전, 용인을 거쳐 서울에서 여정을 마무리하였다. 유행가 가사처럼 여기저기를 찍고 다닌 것이다. 그러면서 내가 새삼 깨달은 사실이 있다.

 

 어디를 가도 엄청난 변화가 일어났건만 정작 내 머릿속에 그곳은 그냥 그대로였다. 아니 그대로여만 하였다. 스스로 놀랐다. 나는 서울에서 30년을 살았다. 10대를 홍릉(청량리)에서 자랐다. 아버지가 근무하시던 “청량이 경찰서” 앞에서부터 청량리 로터리까지 펼쳐진 마로니에는 어린 나에게 4계절 감성을 불어 넣어주었다. 사대부고가 서있던 자리에는 공무원훈련장이 들어오더니 언제부터인가 아파트가 즐비하게 올라가고 이제는 고층 상가가 그 추억을 지워버렸다. “대왕코너”가 서있던 자리에는 “롯데백화점”이 그 위용을 과시하며 서있다. 백화점 밑으로 전철과 국철이 연결되어 어디든 갈수 있는 교통의 “허브”가 되어있다.

 

 하지만 내 머리에는 10대에 거닐던 청량리로 각인되어있다. 청량이 역 앞에는 시계탑이 있었다. 1985년 가을, 그 시계탑 밑에서 묘령의 여인과 첫 만남을 가졌고 지금 그 여인은 내 곁에서 아내로 30년을 함께 살고 있다. 역 앞 “대왕코너”에 처음으로 “에스컬레이터”가 개통 되었을 때에 악동들은 핑계 김에 그것을 타려 학교가 파하면 대왕코너로 향했다. 동일극장을 끼고 왼쪽으로 돌면 2층에 우리가 드나들던 ‘단골분식센터’가 있었다. 그 시절에는 분식센터에도 <뮤직박스>가 있어 DJ가 음악을 틀어주었다. 그 곁에는 “나포리다방”이 자리하고 있었다.

 

 1972년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어 호기심에 첫 열차에 승차했고 그 차표는 지금도 내 앨범에 가지런히 꽂혀있다. “대왕코너”이야기를 안 할 수 없다. 대왕코너는 이상하게 화재가 많이 발생하여 희생자도 많이 냈다. 우여곡절을 겪었고 “맘모스 백화점”으로 변하더니 이제는 “롯데백화점”으로 바뀌었다. 번잡스럽기는 했지만 대왕코너, 동일 극장이 마주한 로터리의 정취는 아직도 내 가슴에 살아있다. 그 자취는 이미 다 사라져 버렸는데 말이다.

 

 종로에 나간 날, 갑자기 비가 쏟아졌다. 어쩔 수 없이 편의점에 뛰어 들어가 비닐우산을 사야만했다. 6,000원이었다. 한국 편의점에는 없는 것이 없다. 구입한 우산을 쓰고 빗속을 거닐었다. 이내 마주한 친구에게 한마디를 건넸다. ‘이제 나도 진짜 이민자가 되었나봐!’ 뜻 모를 내 말에 친구는 이유를 물어왔다. 장황한 설명을 하고는 외쳤다. “그때 그 모습 그대로였음 좋겠다. 아니 그냥 그랬으면 좋겠어!” 친구도 동감한 듯 고개를 ‘끄덕’이며 비 내리는 창밖을 응시했다. 갑자기 내 눈앞이 뿌예졌다.


  1. 습관

    사람은 누구나 독특한 습관이 있다. “피는 못 속인다”고. 대를 이어 가는 습관도 있다. 알코올에 찌들어 살던 아버지로부터 그렇게 상처를 받고 살았으면서 그 추한 모습을 대물림한다. 도박에 빠진 아버지를 그렇게 증오하던 자식이 여전히 그 ...
    Views14505
    Read More
  2. 아무리 익숙해 지려해도 거절은 아파요

    인생은 끊임없는 도전으로 이어진다. 반복되면 능숙해지기도 하련만 고비를 넘어서면 더 높은 능선이 길을 막는다. 그 과정을 거치며 때로는 성취감에 행복해하기도 하지만 실패의 아픔을 겪으며 뒹굴어야만 한다. 거절과 실패는 익숙해질 수 없는 끈질긴 친...
    Views271008
    Read More
  3. 아무도 모르는 둘만의 세월

    세월의 흐름은 두려울 정도로 빠르다. 팬데믹에도 한해가 바뀌고 또다시 봄기운이 움트고 있다. 눈과 강풍, 날마다 번져가는 역병. 살면서 이렇게 답답하고 곤고한 때가 있었을까? 초반에는 당황함으로, 시간이 지나며 현실을 받아들이며 체념하다가도 희망의...
    Views15772
    Read More
  4. 장애의 벽 넘어 빛나는 졸업장

    한국은 바야흐로 졸업시즌이다. 하지만 금년은 COVID-19 여파로 빛이 바랬다. 4년의 학업을 마치고 졸업하는 모습은 가족들이나 주위 사람들의 눈에도 귀해 보이거니와 스스로도 커다란 성취감을 맛보는 소중한 시간이다. 하지만 험난한 시국을 만나 영상으로...
    Views16120
    Read More
  5. 저만치 다가오는 그해 겨울

    눈이 온다. 근래 큰 눈이 오지 않아 푸근한 겨울을 꿈꾸었건만 2월에 접어들며 벼르기라도 한 듯 폭설이 일주일 간격으로 퍼붓고 있다. 나는 처음 로스앤젤레스로 이민을 왔다. 낯선 미국 땅에서 처음 만나는 사람들. 희미하게 잊혀졌던 사람을 먼 미국 땅에...
    Views16267
    Read More
  6. 금수저의 수난

    지난 2월 5일. 변창흠 신임 국토교통부 장관이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 당사자로 나서게 되었다. 김희국 의원이 물었다. “지금 버스 · 택시 요금이 얼마입니까?” 장관이 즉각 답변을 못하면서 분위기가 얼어붙었다. 나중에는 “카...
    Views16096
    Read More
  7. 아내 말만 들으면

    우리 세대는 가부장적 분위기에서 자라났다. 아버지의 존재는 실로 무소불위였다. 가정 경제의 키를 거머쥐고 모든 결정을 아버지가 내렸다. 엄마는 뒤에서 뭔가 궁시렁거릴 뿐 그 권세 앞에 아무 힘도 쓰질 못했다. 그 기세가 아들인 우리들에게도 이어질 줄...
    Views15375
    Read More
  8. 다리없는 모델 지망생 “구이위나”

    사람이 위대한 것은 어떤 장벽도 넘어설 수 있음을 꿈꾸며 도전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속담에 “올라가지 못할 나무는 쳐다보지도 말라”가 있다. 불가능한 일은 아예 엄두도 내지 말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환경을 탓하며 주저앉는...
    Views15457
    Read More
  9. 삶은 소중한 선물

    신년벽두 아가 ‘정인’의 죽음이 많은 사람들을 충격에 몰아넣었다. 천진난만한 미소로 재롱을 부리는 아가의 모습, 겨우 18개월밖에 살지 못하고 떠나간 생명을 보며 세상이 얼마나 악해졌는가를 실감했고 그렇게 태어나 떠나가는 아이들이 더 있...
    Views16665
    Read More
  10. 나만 몰랐다

    “김치만 먹는 개”라는 영상을 보았다. 개는 늑대의 후손이다. 과거에는 사람들이 먹고 남은 찌꺼기를, 이제는 사료를 먹지만 개는 사실 육식동물이다. 그런데 이 개는 김치만 먹는다. 그것도 아주 매운 김치만.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 그 이유가...
    Views16856
    Read More
  11. 군불

    새벽녘에 잠이 깨었다. 무서운 꿈을 꾼 것도 아닌데 갑자기 단잠이 달아나 버렸다. 추적거리며 내리는 겨울비가 금방 잠이 깬 내 의식을 또렷하게 만들었다. 불현듯 고향 사랑방 아궁이가 화면처럼 다가왔다. 어린 시절, 나는 방학만 하면 고향으로 향했다. ...
    Views16509
    Read More
  12. 시간을 “먹는다”와 “늙는다”

    새해가 밝은지 8일 째다. 비상시국이기에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 예배를 드림으로 새해맞이를 하였다. 이럴때는 내가 목사라는 것에 자긍심을 느낀다. 성찬식도 거행했다. “지난 한해동안 성찬을 전혀 대하지 못했다.”는 딸의 말이 마음에 걸렸...
    Views16133
    Read More
  13. 2021년 첫칼럼 / 마라에서 엘림으로!

    새해가 밝았다. 듣도 보도 못한 역병이 창궐하며 지난해는 암흑으로 물들여졌었다. 사람들은 물론이요, 어느 장소, 물건을 가까이 할 수 없는 희한한 세월을 보냈다. 문제는 아직도 진행 중이라는 것이다. 언제 끝나게 될지 모를 절박한 상황이 새해라는 희망...
    Views16906
    Read More
  14. 세월은 쉬어가지 않는다

    나는 어린 시절 남한강 줄기에서 자랐다. 강은 보는 각도에 따라 모양과 느낌을 달리한다. 언덕 위에서 볼 때는 마냥 푸르고 잔잔해 보이지만 모래사장에 내려서면 잔잔히 출렁이는 물결이 건너편을 저만치 밀어낸다. 물가에서 보면 만만해 보이지만 일단 몸...
    Views16225
    Read More
  15. 테스형

    지난 추석 KBS는 <대한민국 어게인 나훈아>라는 야심 찬 기획을 세운다. 무려 11년 동안 소식이 없던 그가 다시 무대에 선다는 것 자체가 커다란 이슈였다. 이혼과 조폭 연루설로 인해 힘들어하던 시기 대중 앞에서 “바지를 내리겠다”고 외치며 ...
    Views16316
    Read More
  16. It is not your fault!

    인생이란 무엇일까? 왜 사람들은 평생 그렇게 바쁘게 돌아치며 살고 있을까? 분명히 뭔가 잡으려고 그렇게 달려가는데 나중에는 ‘허무’라는 종착역에 다다르게 되는 것일까? 세상의 모든 것을 원 없이 누렸던 솔로몬은 유언처럼 남긴 전도서에서 ...
    Views16511
    Read More
  17. 지연이의 효심

    장애를 안고 살아가는 당사자도 고통스럽지만 그 모습을 바라보고 사는 가족들의 아픔은 말로 표현이 안된다. 우연히 마트에서 손에 약봉지를 든 지인과 마주쳤다. “누가 아파요?” “제 아내가 루게릭병으로 힘들게 살고 있습니다.” ...
    Views17052
    Read More
  18. 1회용

    바야흐로 1회용품이 상용화된 시대이다. 컵부터 시작하여 세면용품, 밴드, 도시락, 가운, 렌즈, 면도기, 카메라, 기저귀, 주사기, 다양한 모양의 그릇까지 요즘에는 일회용으로 만들지 않는 것이 없다. 실로 1회용품 홍수시대이다. 1회용품 중에는 한번 쓰고 ...
    Views17152
    Read More
  19. 라떼는 말이야~

    나는 라떼를 좋아한다. 블랙은 매번 도전을 해 보지만 취향이 아니고 아직은 촌스러워서 달달한 커피가 좋다. 에스프레소에 우유를 갈아서 만드는 라떼는 부드럽고 단맛이 혀 끝에 닿으며 기분을 up 시켜 주어 좋다. 지인들은 첨가물 없이 커피를 즐기며 한마...
    Views17576
    Read More
  20. 미묘한 결혼생활

    가정은 소중하다. 천지창조 시 하나님은 교회보다 가정을 먼저 만드셨다. 그 속에는 가정이 첫 교회라는 비밀이 숨겨져 있다. 하나님은 가정을 통해 참교회의 모습을 계시하셨고 파라다이스를 경험하게 하셨다. 하나님이 아담을 지으신 후 “독처하는 것...
    Views1698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