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15.11.25 06:04

뒷곁 풍경 9/4/2012

조회 수 649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장독대.jpg

 

 

눈을 감으면 떠오르는 오붓한 장소가 있다. 바로 내가 살던 시골집 뒷곁이다. 옛날에는 집집마다 울타리가 있었다. 지금 같은 견고한 시멘트나 벽돌이 아닌 나무로 엮은 울타리였다. 빨리 지나가면 보이지 않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안에 모든 것이 드러나는 어설픈 나무 울타리였다. 따라서 웬만하면 이웃끼리는 무슨 음식을 하고 있는지, 집안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었다. 그래서 나온 말이 “이웃사촌” 아닐까? 그때는 인심도 후해서 음식을 혼자 먹는 일은 거의 없었다. 무슨 음식이든지 일단 옆집에 보내놓고 가족들만의 식사가 이어졌다.

집집마다 바깥마당이 있고 안마당이 있었다. 바깥마당은 온 동네의 아이들이 모여 드는 장소였다. 여자아이들은 ‘고무줄놀이’부터 ‘공기놀이’등을 즐겨했고, 남자 아이들은 ‘비석치기, 다마(구슬)치기, 딱지치기’등을 하며 놀았다. 그 당시에는 ‘볼거리’가 거의 없었다. 전기도 없는 시절이었으니까 지금 같은 전자제품은 상상도 못한 시대였다. 그래서 아이들은 학교에서 돌아오면 책가방을 마루에 던져버린 채 바깥마당에 모여 들었다. 그렇다고 아무 집 마당에만 모이는 것은 아니었다. 양지바르고 먼지가 덜나는 거기다가 주인의 마음씀씀이가 너그러운 집 마당이 가장 큰 인기였다.

그 마당에서 우리들은 사회를 배우고 친화력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터득해 갔다. 왜냐하면 놀이를 하다보면 ‘얼토당토’ 않게 고집을 부리는 아이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당시에는 ‘얼마나 딱지를, 구슬을 많이 따느냐?’가 아이들의 큰 관심거리였다. 아이들끼리 놀이에 열중하다가도 오지랖 넓은 지나가던 어른의 참견으로 소란스러워지면서 악동들의 꿈은 무르익어갔다. 안마당은 아무나 들어가질 못했다. 따라서 넓은 안마당을 소유한 집 아이들은 세도가 당당했다. “들어와!”라는 소리를 듣는 아이들만 안마당에 들어섰다. 안마당에서 놀다보면 그 집 엄마가 들고 나오는 간식을 먹는 특권(?)도 주어졌다. 여름에는 설탕에 잰 “토마토”가, 다른 때는 옥수수나 감자가 제공되었다.

그러다가 돌아가서 만나는 곳이 뒷곁(뒷마당)이다. 간혹 독특한 집도 있지만 거의 대동소이한 풍경이 드러난다. 뒷곁 중앙에 버티고 있는 것이 <장독대>이다. 그때는 장독이 많기도 많았다. 어마어마한 크기에 장독은 주로 간장을 담그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기다랗게 생긴 장독, 옆으로 퍼진 장독, 아기자기한 모양의 작은 장독들이 이야기를 나누듯이 장독대를 가득 메우고 서있었다. 그리고 장독대를 중심으로 텃밭이 일구어졌다. 고추, 가지, 토마토, 오이부터 깻잎, 도라지, 마늘, 딸기까지 종류는 다양했다. 울타리를 타고 오르는 나팔꽃은 아침이면 활짝 피어나 뒷곁의 분위기를 밝게 만들어 주었다.

뒷곁을 마주보는 텃마루에는 메주가 걸리고 부지런한 주인이 해온 나뭇더미가 습기를 말려가며 겨울을 기다리고 있었다. 특히 소나무는 말로 표현 할 수 없는 기분 좋은 향을 뿜어낸다. 그래서 뒷곁에 들어서면 마른 소나무 향기가 코끝에 닿으며 현기증을 일으켰다. 한편으로는 희한한 흙냄새와 곰팡이 향이 올라오기도 하였다. 뒷곁에서 무엇보다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이 투박한 모양의 굴뚝이었다. 세련되지는 않았지만 굴뚝의 자태는 집의 균형을 잡아주었고 저녁이 되면 뽀얀 연기를 뿜어내며 이곳이 사람이 살고 있는 곳이라는 표식을 해 주었다.

굴뚝 옆과 울타리 사이에는 봉숭아, 채송화, 돋나물이 솟아나 작은 화원을 이루어주었다. 그 곳에 지직(돗자리)을 깔고 아이들과 엎드려 숙제를 한다. 사실 공부는 뒷전이고 이야기가 꼬리를 물면 뒷곁은 어느새 아이들의 웃음소리로 가득 차 버렸다. 그러다가 나비가 나타나면 나비의 날개 짓에 넋을 잃었고 눈치 없이 나타난 지렁이 때문에 소스라치게 놀라는 아이들의 비명소리와 표정이 그림을 그려낸다. 눈을 감고 생각해 보면 그 뒷곁이 내 가슴에 샘을 만들어 준 것 같다. 지금도 그 샘에서 한 그릇에 글을 퍼서 나누어 주는 중이다. 아! 그 시골에 뒷곁이 너무도 그립다.


  1. 변산공동체 1/28/2013

    시쳇말로 잘나가던 분이 갑자기 시골로 향한다. 땅을 개간하고 전혀 해보지 않은 농사일을 시작한다. 소문을 듣고 외로운 사람들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모여든다. 자연스럽게 그들은 한 식구를 이루어가며 공동체가 되었다. 주인공은 “농...
    Views65101
    Read More
  2. 덕구의 빈방

    밀알선교단 설립 25주년을 기념하는 연극 “빈방있습니까?”가 지난 주간 나흘동안 이어졌다. “덕구”는 연극 “빈방있습니까?”의 주인공 이름이다. 그는 지적장애를 가지고 있다. 지능이 현저히 낮고 말이 어눌하다. 성탄절...
    Views64961
    Read More
  3. 시각 장애 골퍼의 희망샷 8/5/2013

    캘리포니아 “우들랜드”에서 태어난 초등학교 2학년 남자 아이가 발렌타인스데이를 맞아 엄마에게 줄 선물을 준비하기위해 플라스틱 파이프로 무엇인가를 만들고 있었다. “‘테디 베어’가 그려진 작은 펜스를 엄마에게 선물로 주...
    Views64936
    Read More
  4. 45분 아빠

    최근 해외의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아빠의 마지막 45분'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사진 속에는 위독해 보이는 한 남성이 산소마스크를 낀 채 신생아를 안고 있다. 무슨 사연일까? 52세의 “Mark”라는 환자가 있었다. 생...
    Views64929
    Read More
  5. 뒷곁 풍경 9/4/2012

    눈을 감으면 떠오르는 오붓한 장소가 있다. 바로 내가 살던 시골집 뒷곁이다. 옛날에는 집집마다 울타리가 있었다. 지금 같은 견고한 시멘트나 벽돌이 아닌 나무로 엮은 울타리였다. 빨리 지나가면 보이지 않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안에 모든 것이 드러나는 ...
    Views64917
    Read More
  6. 살다보니 살아지더라구요! 6/2/2014

    2002년 가을, 한국에서 목회하던 교회에 반주자로부터 이메일이 날아들었다. “목사님, 이런 인생도 있네요.”라는 제목이었다. 메일을 읽으며 한숨이 절로 나왔다. ‘어쩌면 인생이 이렇게 기구할까?’ 다름 아닌 “이지선”...
    Views64906
    Read More
  7. 부부는 거울이다 8/31/2011

    이 세상에서 가장 신비한 관계가 부부이다. 전혀 다른 집안과 환경에서 태어나고 자란 두 사람이 어느 날 부부라는 이름으로 한 이불을 덮는다. 처음부터 잘 맞는 부부가 얼마나 될까? 처음에는 한눈에 반해서, 서로 함께 사는 것이 평생소원이어서 부부가 되...
    Views64906
    Read More
  8. 기분 좋은 상상 12/9/2013

    평생 건강하게 사는 사람은 장애의 고통을 이해하지 못한다. 장애인에게는 모든 것이 꿈이요, 기적이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지극히 평범한 일들을 장애인들은 평생 꿈으로 바라보며 산다. 삼중고(시각, 청각, 언어장애)의 고통을 끌어안고 살았던 헬렌켈러의 ...
    Views64887
    Read More
  9. 장애인은 아름답습니다 3/8/2014

    한국에서 장애인에 대한 시각을 새롭게 만들어 준 영화가 있다. 2005년 개봉한 영화 <말아톤>은 그해 여름에 열린 대종상 영화제 7개 부문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며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게 된다. 한 영화평론가는 “<말아톤>은 장애인에 대한 한국 사...
    Views64886
    Read More
  10. 실수가 아니란다! 11/4/2013

    임마누엘교회(김태권 목사 시무)에서 개최하는 “새생명축제”의 강사로 시각장애를 가진 분이 오신다는 소식을 접하고 은혜의 자리에 동참하게 되었다. 시각장애인인 부모님 밑에서 시각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그의 가정은 경제적으로 심히 어려웠...
    Views64834
    Read More
  11. 어느 장애인의 넋두리

    나는 지체장애인이다. 어릴 때부터 온몸을 흔들고 다니는 것이 수치스러워 힘든 시간들을 보내며 살아왔다. 이제 내 나이 스무살. 모든 것이 예민해지는 세대를 살고 있다. 요사이 아는 누나와 ‘썸’아닌 ‘썸’을 타고 있다. 누나는 청...
    Views64808
    Read More
  12. 아내의 빈자리 8/20/2012

    항상 곁에만 있던 아내가 한국에 갔다. 10년 만에 고국방문이다. 무려 한 달간의 일정을 잡고 둘째와 함께 떠난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아내와 아이가 떠나는 날에 한국에서 네 명의 손님들이 우리 집에 당도했다. 한국 밀알의 단장들이었다. 적적해 질 수 밖...
    Views64754
    Read More
  13. 아내가 대들면 나는 돌아요 9/16/2013

    한국에서 가정 사역을 하며 만난 한 가정의 이야기이다. 잔뜩 화가 난 것일까? 아니면 술을 한 잔 걸친 것도 같다. 나이는 얼핏 40대 후반은 된 것 같은 남자가 찾아왔다. 우선 “과거 탐사 작업”이 시작된다. 그리고는 질문을 던진다. “나...
    Views64733
    Read More
  14. 들으면 열린다! 6/26/2015

    사람의 얼굴을 보면 코와 입은 하나인데 눈과 귀는 둘이 있다. 이목구비 모두 요긴하지만 보는 것과 듣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성경 야고보서 1:19절은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너희가 알거니와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
    Views64659
    Read More
  15. 부부싸움은 진정 '필요악'인가?

    부부는 대체적으로 다른 사람들이 만난다. 비슷한 성격의 부부가 만나는 것이 좋을 것 같지만 밋밋한 삶을 살거나, 극단적으로 가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서로 다르다는 것은 힘들어 보이지만 역동성이 있고, 몇 번의 고비를 넘어가고 나면 환상의 콤비가 되는...
    Views64653
    Read More
  16. 요령의 미학 6/13/201

    내가 할 수 있는 음식은 전무하다. 라면이야 누구나 끓이는 것이고 요리라 이름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나는 없다. 단, 밥은 잘한다. 이것은 내 아내와 아이들도 인정을 하는 면이다. 아마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중학교 3학년 때까지 자취를 한 이력 ...
    Views64590
    Read More
  17. 당신의 운을 점쳐 드립니다!

    “운이 없어서 부도 당했다” “운이 없어 동업자를 잘못 만났다” “운이 없어 시험에 떨어졌다” 사람들은 “운”(運)에 대한 말을 많이도 하고 산다. 결국 “운”은 있는 것일까? 있다고 하더라도 &ldq...
    Views64524
    Read More
  18. 언덕에 서면

    불현듯 서러움이 밀려왔다. 뜻 모를 감정은 세월의 흐름에 역행할 수 없는 인생의 한계를 실감해서일까? 2015년이 우리 곁을 떠나려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그 신선한 이름과 반갑게 악수를 나눈 지가 그리 길지 않은 것 같은데 말이다. 참 바쁘게도 살아왔다...
    Views64524
    Read More
  19. 수은주의 눈금이 내려가면 그리움의 온도는 올라간다

    가을이 깊어간다. 어느새 겨울의 반갑지 않은 입김이 서서히 옷깃을 여미게 한다. 서부에 살 때에는 한결같은 청명한 날씨가 지루하게 느껴질 때도 있었지만 동부는 그런 여유를 가질 틈도 없이 계절이 옷을 갈아입고 있다. 흩날리는 가을 낙엽 속에서 불현 ...
    Views64341
    Read More
  20. 내 심장을 쏴라! 9/9/2013

    한 소설가가 있었다. 그녀는 갑자기 정신병원에 있는 분들의 이야기를 쓰고 싶은 영감에 사로잡힌다. 아무리 상상력이 풍부하다 할지라도 정신병원 이야기를 추측으로만 쓸 수는 없었다. 그녀는 정신병원에 직접 들어갈 획기적인 발상을 하게 된다. 작가는 선...
    Views6424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35 Next
/ 35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