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09.18 09:24

버거운 이민의 삶

조회 수 207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점.gif

 

 

  교과서에서 처음 배운 미국, 스펙터클 한 허리우드 영화, ‘나성에 가면이라는 노래로 그리던 L.A. ‘평생 한번 가볼 수나 있을까?’ 고등학교 때부터 함께 뒹굴던 친구가 졸업하자마자 미국으로 떠나버린 날, 강주와 나는 자취방에서 술잔을 기울이며 그리움을 달랬다. 마치 팔 한쪽이 떨어져 나간 것 같은 허전함이 가슴속 깊이 밀고 들어왔다. 대학시절 함께 동거동락하던 친구가 갑자기 한강변으로 나를 불러냈다. 유람선 승선권을 손에 들고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유람선 갑판에서 친구는 유유히 흐르는 강물을 바라보며 말했다. “나 이번 금요일 L.A.로 이민을 간다그렇게 내 곁에 사람들이 미국으로 사라졌다.

 

  그런데 지금 내가 미국에 살고 있다. 미국에 오면 아는 사람이 전혀 없을 줄 알았다. 신세계가 열릴 것만 같았다. 하지만 한국에서 한다리 걸러야 아는 사이가 미국에 오니 반다리이다. 일단 미국에 오면 학력과 경력이 사라진다. 한 장애아동 학부모는 한국 명문대학을 나왔지만 전공과는 전혀 다른 분야에서 이민의 삶을 이어가고 있다. 어느새 18. 나도 이젠 명실공히 필라 사람이다. 가끔 모임이 있어 뉴욕에 올라가 맨하탄을 달리면 신기하기 이를데 없다. ‘, 내가 타임스퀘어 앞을 지나고 있네

 

  화려해 보이던 미국, 스크린에 투영되던 환상의 나라. 하지만 들어가보면 이민자들은 처절하게 삶을 이어가고 있다. 여기 한 자매가 있다. LA 다운타운 자바시장 샌티 골목에 자리잡은 노점이 그의 일터이다. 이화여대 미술대학을 졸업한 뒤에 결혼하여 LA로 이민을 온 때는 1974. 남편이 경영하는 식품점이 잘되어 집에서 아이들을 키우며 애들 옷까지 손수 지어 입히는 알뜰함을 얹어 집을 장만했다. 숨돌릴 사이 없이 일을 해야 하는 남편의 처지가 너무 딱해 업종을 바꾸어 샌드위치 가게로 바꾸었건만 다 실패로 돌아갔다.

 

  성질이 불같은 남편은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하고 폭음을 일삼았고 결국 알코올 중독에 빠져버린다. 남편은 적자가 쌓여가던 샌드위치 가게를 접고 리커스토어를 물색하여 문을 열게 된다. 19881. 남편은 차 안에서 쓰러졌다. 중풍. 병원에 누워있는 남편과 학교에 다니는 자식들을 앞에 두고 막막해 할 겨를도 없이 구두 가게 점원으로 나섰다. 얼마 후에는 언니들의 도움으로 다운타운의 자바시장 샌티 골목 노점을 구하기에 이른다. 새벽에 눈뜨면 교회에 나가 새벽기도를 드리고 집에 돌아와 누워있는 반신불수의 남편 대소변 받아내고 야채 쥬스 짜서 떠먹이고 노점상을 위해 거리로 나선다.

 

  어느 날, 가게로 대학 동창이 찾아왔다. 건물 안도 아닌, 길가에 세워진 바퀴 달린 노점과 노점 아줌마인 그녀를 바라보며 눈물이 글썽하여 물었다. “넌 처량하다는 생각도 안 드니? 억울하지도 않니?” 그녀는 미소로 대답했다. “너 페니 한 푼 없이 다섯 식구의 생계를 꾸려가야 하는 캄캄한 절벽 앞에 서보았니? 빈손에 배고픈 걸 겪어본 적 있니? 나는 그 벼랑에 서보았어. 이 작은 노점도 내겐 분에 넘쳐. 그래서 진심으로 감사하며 살고 있는 거야."

 

  땡볕에 기진하기도 했고, 골목 가득한 먼지바람을 온종일 뒤집어쓰기도 하고 빗속에서 우산을 쓰고 좌판을 지키기도 했지만 그녀는 그 자리에 서기만 하면 새로 시작할 힘을 얻는다. 그녀뿐이랴? 표현을 안할 뿐이지. 머나먼 미국 땅에서 살아가는 우리 모두는 외롭고 버거운 삶을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까지 덮치면서 나락으로 떨어지기 직전이다. 실로 뭉치면 죽고 흩어지면 산다는 세상에 살고 있다. 그래도 한걸음을 내디디면 저만치 희미하게 새길이 보인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곳에 시선을 빼앗기면 안된다.

 

  조심스럽지만 오늘 만나야 할 사람에게 최선을 다하고 주어진 내 할 일에 충실하면 된다. 그러다보면 새로운 날이 올 것이다. 돌아보면 지금 여기에 내가 있는 것이 신기하지 않은가? 힘을 내자. 고지가 저만치 보인다. 처절하지만 여유있게. 그 누구에게도 비굴해 보이지 않게 당당하고 씩씩하게 오늘을 살자!

 


  1. 별밤 50년

    우리는 라디오 세대이다. 당시 TV를 소유한 집은 부유의 상징일 정도로 드물었다. 오로지 라디오를 의지하며 음악과 드라마, 뉴스를 접하며 살았다. 내 삶을 돌아보면 가장 고민이 많았던 때가 고교시절이었던 것 같다. 그때 다정한 친구처럼 다가온 것이 심...
    Views34316
    Read More
  2. No Image

    별들의 고향으로!

    2013년 9월, 우리 시대 최고 소설가인 최인호 작가가 세상을 떠났다. 더벅버리를 하고 청년문화를 외치며 명동 뒷골목을 누비고 다닐때에 그는 진정 우리의 우상이었고 젊은 가슴을 풍성하게 한 시대의 작가였다. 서글서글한 인상과 구성진 목소리가 친근감을...
    Views40025
    Read More
  3. 변산공동체 1/28/2013

    시쳇말로 잘나가던 분이 갑자기 시골로 향한다. 땅을 개간하고 전혀 해보지 않은 농사일을 시작한다. 소문을 듣고 외로운 사람들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 모여든다. 자연스럽게 그들은 한 식구를 이루어가며 공동체가 되었다. 주인공은 “농...
    Views66169
    Read More
  4. 벼락치기 5/29/2013

    학창시절에 벼락치기를 안 해 본 사람이 있을까? 줄곧 수석을 달리거나 공부에 절대적 취미(?)를 가진 친구 아니고는 누구나 벼락치기의 추억을 가지고 있다. 우리세대는 시험세대이다. 중학교 입학시험부터 학기 중에는 중간고사와 학기말고사를 치르며 학업...
    Views63106
    Read More
  5. 베이비부머

    어느 순간부터 세대를 구별짓는 명칭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사실 이 구분은 미국식이다. 처음 생겨난 세대를 ‘베이비부머’라고 한다. 1955년~1963년에 태어난 사람들을 칭한다. 1965~1980년에 태어난 부류를 ‘X세대’라고 한다. 관...
    Views14325
    Read More
  6. 버려진 아이들

    세상은 평온하게 흘러가는 것 같다. 하지만 어둠 진 곳에서는 가정에서 버려져 고통 속에 살고 있는 아이들이 너무도 많다. “경호”는 17살이다. 부모는 3살 때에 이혼을 했다. 이후 경호는 아버지 손에 자랐다. 경호 아버지는 공장에서 사고를 당...
    Views54259
    Read More
  7. 버려진 노인들 8/4/2011

    여행사에 전화벨이 울린다. 수화기를 받아드니 하시는 말이 “아가씨, 오늘 날씨가 어떻대요?” 기가 막히다. 바빠서 허둥대는 사람에게 겨우 묻는 것이 날씨라니. “예, 오늘은 좀 덥구요. 오후에는 소나기도 온답니다.” 실제로 필라델...
    Views72145
    Read More
  8. 버거운 이민의 삶

    교과서에서 처음 배운 미국, 스펙터클 한 허리우드 영화, ‘나성에 가면’이라는 노래로 그리던 L.A. ‘평생 한번 가볼 수나 있을까?’ 고등학교 때부터 함께 뒹굴던 친구가 졸업하자마자 미국으로 떠나버린 날, 강주와 나는 자취방에서 ...
    Views20739
    Read More
  9. No Image

    백수 예찬

    젊었을때는 누구나 쉬고 싶어한다. ‘언제나 마음놓고 쉬어볼까?’하며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삶에 열중한다. 아이들의 재롱에 삶의 시름을 잊고 돌아보니 중년이요, 또 한바퀴를 돌아보니 어느새 정년퇴직에 접어든다. 한국 기준으로 보통 60세가 ...
    Views7455
    Read More
  10. 백발이 되어 써보는 나의 이야기

    한동안 누구의 입에나 오르내리던 대중가요가 있다. 가수 오승근이 부른 “내 나이가 어때서”이다. “♬어느 날 우연히 거울 속에 비춰진 내 모습을 바라보면서 세월아 비켜라 내 나이가 어때서 사랑하기 딱 좋은 나인데~” 점점 희어지...
    Views21429
    Read More
  11. 백년을 살다보니

    새해 첫 KBS 인간극장에 철학교수 김형석 교수가 등장했다. 평상시 즐겨보는 영상은 아니지만 제목이 눈에 들어왔고, 평소 흠모하던 분의 다큐멘터리이기에 집중해서 보았다. 김 교수는 이미 “백년을 살다보니”라는 책을 97세에 집필하였다. 이런...
    Views37901
    Read More
  12. 배캠 30년

    나는 음악을 좋아한다. 하지만 우리 세대는 안타깝게도 음악을 접할 기회가 쉽지 않았다. TV를 틀면 다양한 음악 채널이 잡히고 유튜브를 통해 듣고 싶은 음악을 마음껏 듣게 될 줄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시대였다. 길가 전파사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Views21624
    Read More
  13. 방학숙제 7/22/2010

    공부를 하는 것은 힘이 들지만 “방학”이 있기에 학생들은 꿀보다 더 단 휴식을 취하게 된다. 초등학교 시절, 방학식을 하는 날은 수업이 오전만 있어서 좋았다. 방학하는 날은 가슴이 설레이는 날이다. 성적표가 나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필자...
    Views71035
    Read More
  14. No Image

    밥상의 주인은 밥이다

    팬데믹을 지나며 놀라는 것은 물가가 너무 올랐다는 것이다. 차 운행이 필수인 미국에서 개솔린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지인들을 만나 식사를 할라치면 음식 가격에 눈이 휘둥그레진다. ‘런치 스페셜?’ 옛날이야기이다. 저렴한 스페셜이...
    Views6540
    Read More
  15. 밤나무 & 감나무

    나무마다 생긴 모양도 다르고 맺는 열매도 다양하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생김새가 다르듯 성향도 다 각각이다. 그것이 사람의 매력이다. 나무와 비교해 보자. 밤나무는 밤나무대로, 감나무는 나름대로 개성과 멋을 풍기며 자라고 열매를 맺는다. 밤나무는 ...
    Views35142
    Read More
  16. No Image

    발달장애 가족 이야기

    작년 가을, 밀알 소풍을 가는 날이었다. Park로 출발하기 앞서 밀알선교센터에 모이기 시작했고 부모의 차를 타고 장애아동들이 당도하고 있었다. 한 어머니가 아들을 라이드하고 돌아서는 순간. 밀알에 나와 봉사하던 한 분이 놀란 눈으로 어머니의 손을 움...
    Views2994
    Read More
  17. No Image

    발가락 시인

    이흥렬 씨. 그는 선천적 뇌성마비 장애를 가지고 있다. 그에게 가장 큰 애로사항은 언어소통이다. 사람을 만나면 힘겹게, 너무도 힘겹게 말을 이어가야 한다. 말들은 쉽사리 그의 입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한동안 그의 온 몸을 휘젓고 다닌 끝에야 가까스로 그...
    Views6481
    Read More
  18. 받으면 입장이 달라진다

    사람이 이 땅에 산다는 것은 “관계”를 의미한다. 숙명적인 “가족 관계”로부터 자라나며 “친구 관계” “연인 관계” 장성하여 가정을 꾸미면 “부부관계”가 형성된다. “인생은 곧 관계”...
    Views8406
    Read More
  19. 반말 & 존댓말 9/25/15

    사람은 만나면 말을 한다. 말을 많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할 정도로 말수가 적은 사람이 있다. 그래서 대화가 되는 것 같다. 말 많은 사람끼리 만나면 서로 말을 잘라버리는 상황이 벌어진다. 말이 없는 사람끼리 만나면 분위기 조성이 어렵다. 나의 가장 ...
    Views69729
    Read More
  20. 반 고흐의 자화상

    누구나 숨가쁘게 삶을 달려가다가 어느 한순간 묻는 질문이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위해 그토록 애를 쓰며 살아왔을까?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볼까?”라는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화가들이 최고의 경지에 이르면 자화상을 그린다. 뒤...
    Views2067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