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12.11 13:27

It is not your fault!

조회 수 189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굿윌헌팅.jpg

 

 

  인생이란 무엇일까? 왜 사람들은 평생 그렇게 바쁘게 돌아치며 살고 있을까? 분명히 뭔가 잡으려고 그렇게 달려가는데 나중에는 허무라는 종착역에 다다르게 되는 것일까? 세상의 모든 것을 원 없이 누렸던 솔로몬은 유언처럼 남긴 전도서에서 헛되고 헛되며 헛되고 헛되니 모든 것이 헛되도다라고 외치며 생을 마감한다. 실존주의 철학자인 사르트르는 인생은 B(birth)로 시작하여 D(death)로 끝나는 것이라고 했다. 탄생(birth)은 신비하고 경이로운 과정이다. 성경 신약 마태복음은 그 생명의 역사를 이렇게 기록한다. “낳고, 낳고, 또 낳고” birth가 없으면 story 형성이 안 된다. 인류의 역사를 한마디로 축약하면 낳고, 살고, 죽는다.” 일 것이다.

 

  살아갈 때는 길게만 느껴진다. 나이가 들어 뒤를 돌아보면 짧은 것이 인생이다. BD 사이는 그 과정이 복잡미묘하다. B가 제대로 되어야 삶이 순탄하다. 시작부터 삐걱거리는 인생이 늘어나고 있다. 나는 가끔 생각한다. “엄마, 아빠 없이 살아온 사람은 얼마나 힘들까?” 핏덩이로 태어나 부모들의 정성 어린 보살핌 속에 아가는 성장한다. 그런데 처음부터 버려진 듯한 환경에서 태어난 사람은 자신도 모르게 불신, 의심, 부정적인 사고에 사로잡혀 산다. 그 쓴 뿌리는 결국 알코올을 의지하게 만들고 분노조절을 하지 못해 폭력 성향의 사람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 사람이 결혼을 하면 가정의 분위기는 행복과는 거리가 멀어질 수밖에 없다.

 

  영화 <굿윌헌팅>의 결정적인 대사가 있다. “네 잘못이 아니야!”(It is not your fault!) 천재 굿윌은 고아다. 그에게는 가족이 없다. 천재도 우리가 아는 정도가 아닌 최상위의 천재이다. 역사, 법학, 수학 등에 지식이 엄청나다. 어릴 때 입양되지만 두 번이나 파양을 당하고 의붓 아버지로부터 학대를 당해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안고 반항적인 삶을 살아간다. 마음을 열지 못하고 깊은 어둠의 상태에 갇혀 지내는 것이다. 그의 천재성을 발견한 램보 교수는 친구 숀 교수에게 치유를 맡긴다. 하지만 좀처럼 윌은 마음을 열지 않고 곁길로만 나아간다. 그 비뚤어진 청년을 향해 숀 교수는 작정하고 외친다. “It is not your fault!” 처음에는 거세게 저항하던 윌이 자신의 눈을 똑바로 보고 열 번이나 반복해 이야기하는 숀에게 눈물을 흘리며 마음의 문을 열게 된다.

 

  처음 영화를 보며 한없이 울었다. 내가 장애를 가진 것은 내 잘못이 아니기 때문이다. 아직도 어린 시절의 상처로 허덕이며 살고 있는 분이 있다면 나는 외치고 싶다. “It is not your fault!” D(death)를 향해가는 도중에 숱한 C(choice)를 만난다. 다행이다. 죽음만을 바라보면 절망할 수밖에 없지만 하나님은 다행히 인간에게 BD사이에 C(choice)를 허락해 주셨다. 사람은 눈을 감는 순간까지 한순간도 멈추지 않고 선택하며 살아야 한다. C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절대절명의 선물이다. C가 생략되고 바로 D를 맞이해야 한다면 우리는 얼마나 삭막하게 살아야 할까? 다행히 모든 사람에게 C(choice)가 주어진다. 중요한 것은 C를 다른 C(chance)로 만들어 자신의 삶을 또 다른 C(change)로 바꾸어야 한다.

 

  인생은 선택을 통하여 기회를 만들고 잘 살려서 인생을 변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귀중한 인생의 C를 버리고 D를 택하고 마는 안타까운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 땅의 모든 생명의 주인은 자신이 아니라 하나님이시다. 그러기에 자살은 하나님께 뿐만 아니라 옳은 선택을 기대하는 모든 사람에 대한 죄악이다.

 

  인생은 D(death)에서 끝난다. 사람은 태어나는 순간부터(B) 한순간도 멈추지 않고 죽음(D)을 향해 달려간다. 죽음에는 순서가 없다. 정해진 방법도 없다. 그것을 모르는 것이 답답하지만 행운일 수 있다. 내가 죽는 날을 알고 산다면 인생은 평생 세월을 세며 불안함에 떨다가 갈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인생이 B(birth)로 시작하여 D(death)로 끝난다 할지라도 그 사이에 C가 있기에 반전을 기대할 수 있다. 오늘도 외치자. “좋은 일이 일어날거야!”

 


  1. It is not your fault!

    인생이란 무엇일까? 왜 사람들은 평생 그렇게 바쁘게 돌아치며 살고 있을까? 분명히 뭔가 잡으려고 그렇게 달려가는데 나중에는 ‘허무’라는 종착역에 다다르게 되는 것일까? 세상의 모든 것을 원 없이 누렸던 솔로몬은 유언처럼 남긴 전도서에서 ...
    Views18984
    Read More
  2. 지연이의 효심

    장애를 안고 살아가는 당사자도 고통스럽지만 그 모습을 바라보고 사는 가족들의 아픔은 말로 표현이 안된다. 우연히 마트에서 손에 약봉지를 든 지인과 마주쳤다. “누가 아파요?” “제 아내가 루게릭병으로 힘들게 살고 있습니다.” ...
    Views19379
    Read More
  3. 1회용

    바야흐로 1회용품이 상용화된 시대이다. 컵부터 시작하여 세면용품, 밴드, 도시락, 가운, 렌즈, 면도기, 카메라, 기저귀, 주사기, 다양한 모양의 그릇까지 요즘에는 일회용으로 만들지 않는 것이 없다. 실로 1회용품 홍수시대이다. 1회용품 중에는 한번 쓰고 ...
    Views19880
    Read More
  4. 라떼는 말이야~

    나는 라떼를 좋아한다. 블랙은 매번 도전을 해 보지만 취향이 아니고 아직은 촌스러워서 달달한 커피가 좋다. 에스프레소에 우유를 갈아서 만드는 라떼는 부드럽고 단맛이 혀 끝에 닿으며 기분을 up 시켜 주어 좋다. 지인들은 첨가물 없이 커피를 즐기며 한마...
    Views20214
    Read More
  5. 미묘한 결혼생활

    가정은 소중하다. 천지창조 시 하나님은 교회보다 가정을 먼저 만드셨다. 그 속에는 가정이 첫 교회라는 비밀이 숨겨져 있다. 하나님은 가정을 통해 참교회의 모습을 계시하셨고 파라다이스를 경험하게 하셨다. 하나님이 아담을 지으신 후 “독처하는 것...
    Views19532
    Read More
  6. 그것만이 내 세상

    우리 밀알선교단에는 다수의 장애인들과 장애아동들이 있다.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것은 힘겨운 일이다. 아울러 가족 중에 장애인이 있는 것도 삶이 평탄하지 않음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18년 전, 밀알선교단 단장으로 부임하였을때에 전신마비 장애인이 ...
    Views20013
    Read More
  7. 그 애와 나랑은

    갑자기 그 애가 생각났다. 아무것도 모른 채 무거운 책가방을 들고 진학의 꿈을 향해 달리던 그때, 그 애가 나타났다. 초등학교 6학년이 되면서 전근을 자주 다니던 아버지(경찰)는 4살 위 누이와 자취를 하게 했다. 그 시대는 중학교도 시험을 쳐서 들어가던...
    Views20196
    Read More
  8. 창문과 거울

    집의 경관을 창문이 좌우한다. 창문의 모양과 방향에 따라 분위기가 달라진다. 창문 밖으로 펼쳐지는 장면은 시야로 흡수되고 느낌을 풍성히 움직인다. 영화의 한 장면처럼 통유리가 있는 집에 살고 싶었다. 창을 통해 시원하게 펼쳐진 정원을 바라보는 것이 ...
    Views20730
    Read More
  9. 나무야, 나무야

    초등학교 1학년. 당시 아버지는 경기도 양평 지제(지평)지서에 근무중이셨다. 이제 겨우 입학을 하고 학교생활에 흥미를 가지게 될 5월초였다. 방과 후 집에 돌아와 친구랑 자치기를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아버지가 나타나셨다. 그 시간이면 한창 근무할 때인...
    Views20660
    Read More
  10. 컵라면 하나 때문에 파혼

    팬데믹으로 인해 결혼식을 당초 예정일보다 5개월 늦게 치르게 된 예비 신부와 신랑. 결혼식 한 달을 앞두고 두 사람은 신혼집에 거주하면서 가구와 짐을 정리하며 분주한 일상을 보내고 있었다. 주말에 신혼집을 찾은 예비 신부가 집 정리를 끝낸 시간은 자...
    Views20645
    Read More
  11. 우리 애가 장애래, 정말 낳을 거야?

    결혼을 하고 자녀를 낳는 것은 모든 부부의 바램이다. 임신소식을 접하며 당사자 부부는 물론이요, 가족들과 주위 사람들이 다 축하하며 즐거워한다. 그런데 태아에게 장애가 발견되었을때에 부부는 당황하게 된다. ‘낳아야 하나? 아니면 다른 선택을 ...
    Views20463
    Read More
  12. 반 고흐의 자화상

    누구나 숨가쁘게 삶을 달려가다가 어느 한순간 묻는 질문이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위해 그토록 애를 쓰며 살아왔을까? 사람들은 나를 어떻게 볼까?”라는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화가들이 최고의 경지에 이르면 자화상을 그린다. 뒤...
    Views20669
    Read More
  13. 버거운 이민의 삶

    교과서에서 처음 배운 미국, 스펙터클 한 허리우드 영화, ‘나성에 가면’이라는 노래로 그리던 L.A. ‘평생 한번 가볼 수나 있을까?’ 고등학교 때부터 함께 뒹굴던 친구가 졸업하자마자 미국으로 떠나버린 날, 강주와 나는 자취방에서 ...
    Views20736
    Read More
  14. 기찻길

    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자란 동네에서 어릴 때부터 익숙하게 접하는 것이 있다. 바닷가 근처에 살았다면 푸른 바다와 그 위를 유유히 가르며 다니는 크고 작은 배들. 비행장 근처에 살았다면 헬리콥터로부터 갖가지 모양과 크기에 비행기를 보며 살게 된다. 나...
    Views27174
    Read More
  15. “안돼” 코로나가 만든 돌봄 감옥

    코로나 19-바이러스가 덮치면서 우리 밀알선교단은 물론이요, 장애학교, 특수기관까지 문을 열지 못함으로 장애아동을 둔 가정은 날마다 전쟁을 치르고 있다.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복지관과 보호센터가 문을 닫은 몇 달간 발달장애인 돌봄 공백이 생기면서 ...
    Views21367
    Read More
  16. 인생은 집 짓는 것

    어쩌다 한국에 가면 좋기는 한데 불안하고 마음이 안정되지 않는다. 정든 일가친척들이 살고 있는 곳, 그리운 친구와 지인들이 즐비한 곳, 내가 태어나고 자라나며 곳곳에 추억이 서려있는 고국이지만 일정을 감당하고 있을 뿐 편안하지는 않다. 왜일까? 내 ...
    Views22198
    Read More
  17. 그러려니하고 사시게

    대구에서 목회를 하고 있는 절친 목사에게 짧은 톡이 들어왔다. “그려려니하고 사시게”라는 글이었다.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대형교회를 목회하고 있다. 부친 목사님의 연세가 금년 98세이다. “혹 무슨 화들짝 놀랄만한 일이 생기더라도...
    Views21104
    Read More
  18. 부부는 『사는 나라』가 다르다

    사람들은 결혼식을 올리고 혼인 신고만 하면 부부인 줄 안다. 그것은 부부가 되기 위한 법적인 절차일 뿐이다. 오히려 결혼식 이후가 더 중요하다. 결혼식은 엄청나게 화려했는데 몇 년 살지 못해 이혼하는 부부들이 얼마나 많은가? 왜 그럴까? 남편과 아내는...
    Views21783
    Read More
  19. 다시 태어나도 어머니는 안 되고 싶다

    장애를 가지고 생(生)을 산다는 것은 참으로 힘겨운 일이다. 건강한 몸을 가지고 살아도 힘든데 장애를 안고 산다는 것이 얼마나 버거운지를 당사자가 아니면 짐작하지 못한다. 나는 장애인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말한다. “목사님은 장애도 아니지요? ...
    Views21102
    Read More
  20. 지금 뭘 먹고 싶으세요?

    갑자기 어떤 음식이 땡길 때가 있다. 치킨, 자장면, 장터국수, 얼큰한 육개장, 국밥등. 어린 시절 방학만 하면 포천 고향 큰댁으로 향했다. 나이 차이가 나는 사촌큰형은 군 복무 중 의무병 생활을 했다. 그래서인지 동네에서 응급환자가 생기면 큰댁으로 달...
    Views2149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