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2944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거절.png

 

 

  인생은 끊임없는 도전으로 이어진다. 반복되면 능숙해지기도 하련만 고비를 넘어서면 더 높은 능선이 길을 막는다. 그 과정을 거치며 때로는 성취감에 행복해하기도 하지만 실패의 아픔을 겪으며 뒹굴어야만 한다. 거절과 실패는 익숙해질 수 없는 끈질긴 친구이다. 우리 세대는 중 고등학교 입학시험을 치러야 하였다. 또한 중학교 진학도 못하고 멈추어야 하는 아이들이 너무도 많았다. 양평중학교를 졸업한 나는 이제 서울진학을 계획하는 단계로 접어든다. 하지만 경기도 출신이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것은 생각처럼 만만하지 않았다.

 

  합격자 발표가 나던 날, 아무리 눈을 비비고 찾아보아도 내 수험번호를 발견할 수 없었을 때 처음 한강이 보였다. 그냥 죽고 싶었다. 장애의 악조건을 무릎쓰고 공부에 전념했던 결과가 낙방으로 나타났을 때 생을 포기하고 싶었다. 내 자존심은 산산히 부서졌다. 큰 기대를 하던 친척들의 조롱섞인 말과 따가운 시선이 나를 힘들게 했고, 지인들의 위로는 나를 더욱 지치게 만들었다. 하지만 아버지는 커다란 손으로 내 오른 어깨를 움켜쥐며 남자 자식이 그 까짓 것 가지고 기가 죽냐?” 힘을 주셨다.

 

  중학교에 비해 고교생활은 공부보다는 다른 곳에 더 관심이 많았다. KSCF 서울연맹 회장으로 선출되며 견문을 넓혔고, 전국에 친구들이 생기는 행운을 안았다. 덕분에 고교시절 전국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하지만 대학입학은 좌절되었다. 대학입학에 실패한 후 나는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친구들처럼 군대도, 취업도, 재수도, 아르바이트도 내게는 먼 나라의 일이었다. 같은 셋방에 사는 딴따라 형을 따라 밤마다 노래를 부르러 다니는 것이 전부였다. 내 삶의 암흑기라고나 할까?

 

  사촌 형이 딱한 사정을 알아차리고 사당동 소금공장에 나를 소개시켜 주었다. 버스를 타고 찾아간 소금공장 마당을 한참이나 서성이다가 그냥 집으로 돌아왔다. 전에도 누군가의 소개로 취직을 해 보려 했지만 번번히 거절당한 일들이 나를 주눅 들게 했다. 그날도 도저히 공장문을 열고 들어갈 용기가 나질 않았다. 그림은 똑같았다. 사장을 만나 누구 소개로 왔다고 인사를 한다. 다리를 몹시 절며 들어선 나를 한번 훑어보고는 고개를 내젖는다. 그때 등뒤에서는 땀이 흐른다. 돌아서서 나가야 하는 나의 처지가 서럽다.

 

  인간사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 부탁과 거절인 것 같다. 일본인 소설가 소노 아야코는 <약간의 거리를 둔다>는 책을 통해 사람 관계는 지나치게 관계가 깊어져 서로에게 어느덧 끔찍할 정도로 무거워진 덕분에 문제가 생긴다. 사람이나 집이나 약간의 거리를 둬야 통풍이 될 공간이 생긴다라고 했다. 어린 시절부터 사랑을 많이 받고 의사 표현을 자유롭게 하며 산 아이는 거절을 당해도 그렇게 큰 상처를 받지 않는다. 하지만 부모에게, 형제들에게, 학창 시절에 왕따(따돌림)의 상처를 지닌 사람은 거절당하면 굉장히 힘들어한다. 그 충격을 버텨낼 에너지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은 교회나 단체, 직장에서 쉽게 상처를 받고 실족하게 된다. 아무리 익숙해지려해도 거절은 아픈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은 누가 뭐라하는 것도 아닌데 스스로 무너지는 경우가 많다. 그룹토의 시 누군가가 자기 말에 귀 기울이지 않는다든지, 이성교제를 하는 동안 상대가 자신을 소홀히 한다든지, 부부 사이에 조금 서운한 일이 생겨도 견디지 못한다. 따라서 상대가 기대만큼 반응을 하지 않을 때 오로지 자신의 느낌으로 사람을 물려내는 우를 범하기 십상이다.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항상 Top 위치에 서 있던 사람은 한번의 거절로 무너질 수도 있다. 모든 사람들이 나를 항상 지지해주고, 사랑하기를 바라는 것은 지나친 욕심이다. 아무리 익숙해 지려해도 거절은 아프다. 정말 아프다.

 

  사람은 거절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거절 이후에 나타난 반응이 삶을 규정한다. 시간이 지나고나면 그 거절이 나를 성숙하게 했음을 깨닫는 것-이것이 인생이다.

 

 

 


  1. No Image

    <2019년 첫 칼럼> 예쁜 마음, 그래서 고운 소녀

    새해가 밝았다. 2019년 서서히 항해를 시작한다. 짙은 안개 속에 감취어진 미지의 세계를 향해 인생의 노를 젓는다. 돌아보면 그 노를 저어 온지도 꽤나 오랜 세월이 지나간 것 같다. 어리디 어린 시절에는 속히 어른이 되고 싶었다. 그만큼 어른들은 할 수 ...
    Views48361
    Read More
  2. No Image

    '무’(無)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에 한 왕이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무’(無)라고도 하고 ‘영’(靈)이라도 했다. ‘그’라고 부르기는 하겠지만 그는 남자도 여자도 아니었다. 형체도 모양도 없었다. 실제는 그의 이름도 없었다. &ls...
    Views6573
    Read More
  3. '쉼'의 참다운 의미

    어느 무더운 여름, 한 목사님께서 하와이 소재 교포 교회에서 부흥회를 인도하는 중에 잠시 해변을 거닐게 되었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담임하는 교회에 노 장로님 부부를 그곳에서 마주치게 되었다. 목사님은 너무도 반가워 두 손을 잡았더니 장로님 부부...
    Views75802
    Read More
  4. 0시의 다이얼 6/19/2015

    나는 음악을 좋아한다. 아니 너무도 사랑한다. 집에 있을 때나 차를 운전할 때에도 항상 음악을 즐겨 들으며 산다. 목사라고 찬송이나 복음성가만 듣지 않는다.즐겨 듣는 음악의 장르는 다양하다. 클래식부터 발라드, 락(Rock)까지 비오는 날에는 7080 가요를...
    Views83615
    Read More
  5. 113Cm 엄지공주 “박찬미” 8/3/2014

    이 땅에는 “저신장증” 장애를 안고 살아가는 분들이 있다. 다른 말로 그 분들을 “난장이”라고 부른다. 사람들은 “신데렐라와 일곱난장이”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등의 동화에서 혹은 서커스 공연을 하...
    Views85086
    Read More
  6. 15분 늦게 들어선 영화관

    이미 영화가 시작된 극장에 들어서면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더듬거리며 자기가 예약한 자리를 찾아가는 것은 고역이다. 그런데 이미 극장 안에 앉아 있는 사람이 볼 때는 그런 사람의 모습이 ‘우스꽝’스럽기 그지없다. 환히 보이는 극장 안을 ...
    Views88155
    Read More
  7. 1회용

    바야흐로 1회용품이 상용화된 시대이다. 컵부터 시작하여 세면용품, 밴드, 도시락, 가운, 렌즈, 면도기, 카메라, 기저귀, 주사기, 다양한 모양의 그릇까지 요즘에는 일회용으로 만들지 않는 것이 없다. 실로 1회용품 홍수시대이다. 1회용품 중에는 한번 쓰고 ...
    Views22542
    Read More
  8. 2013년 첫 칼럼 새롭게 하소서! 1/10/2013

    새해가 밝았다. 그동안 친근하게 지내오던 2012년을 떠나보내니 신선한 새해가 목덜미를 내어민다. 새로운 것을 접촉하는 것은 행복한 경험이다. 어린 시절 설빔을 입고 온 동네를 뽐내며 걸어 다니던 경험들을 모두가 가지고 있다. 엄마가 장에서 사 오신 새...
    Views74430
    Read More
  9. 2014 첫 칼럼 행복을 이야기합시다! 1/4/2014

    새해가 밝았다. 처음 시작하는 시점은 사람들에게 뜻 모를 설레임을 준다. 해가 바뀌면 영어로 ‘Reset’하는 기분이 들어 좋다. ‘Reset’이 무엇인가? “장치의 일부 또는 시스템 전체를 미리 정해진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Views71774
    Read More
  10. 2015 첫 칼럼 (새해에는 예쁜 꿈 꾸세요!) 1/2/2015

    새해가 밝았다. 금년은 양띠 ‘을미년’이다. 이상하다. 띠를 무시하고 싶어도 그럴 수가 없는 것 같다. 그렇게 보아서 그런지 그래서 그런 것인지는 몰라도“띠”에 따라 성격이 나타나는 것을 본다. ‘양띠’들은 대개 온순...
    Views80009
    Read More
  11. 2016년 첫 칼럼 나를 찾는 여행

    새해가 밝았다. 2016년이 시작되는 날이다. 사람마다 저마다의 소망을 품고 그 꿈이 이루어질 것을 간절히 바라며 신년호에 올랐다. 사람들은 만나면 서로를 알기위해 애를 쓴다. 고향부터, 가족과 친구관계. 그리고 그 사람의 취향과 재능까지 속속들이 알아...
    Views70630
    Read More
  12. 2017년 첫 칼럼 "미지의 세계로"

    새해가 밝았다. 60년 만에 찾아온 ‘붉은 닭띠 해’라며 사람들은 호들갑을 떤다. “띠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통계학으로 보면 혈액형, 고향, 인종, 띠는 전혀 근거 없는 낭설은 아니다. ‘그런 유형...
    Views64932
    Read More
  13. 2018년/ 이제 다시 시작이다!

    대망의 새해가 밝았다. 세월의 흐름 속에 사연을 안고 새해의 품안에 안긴다. 처음에는 어색하지만 곧 익숙해 질 것이다. 우리는 당연한 마음으로 새해의 문턱에 들어서고 있지만 세상을 떠나간 사람들이 그토록 살고 싶어 했던 내년이 2018년이다. 영어로 선...
    Views58381
    Read More
  14. 2021년 첫칼럼 / 마라에서 엘림으로!

    새해가 밝았다. 듣도 보도 못한 역병이 창궐하며 지난해는 암흑으로 물들여졌었다. 사람들은 물론이요, 어느 장소, 물건을 가까이 할 수 없는 희한한 세월을 보냈다. 문제는 아직도 진행 중이라는 것이다. 언제 끝나게 될지 모를 절박한 상황이 새해라는 희망...
    Views21552
    Read More
  15. 2022년 새해 첫칼럼 / 인생열차

    ​ 2022호 인생열차가 다가왔다. 사명을 다한 2021호 기차를 손 흔들어 보내고 이제 막 당도한 기차에 오른다. 어떤 일들이 다가올지 알 수 없지만 오로지 기대감을 가지고 좌석을 찾아 앉는다. 교회에 나가 신년예배를 드림이 감격스러워 성찬을 받는 손길에 ...
    Views13824
    Read More
  16. 34살, 여자들의 사춘기 10/29/2012

    ‘30대’하면 20대의 어설픔을 넘어서서 완숙을 향해가는 아픔의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남성에게 30대는 군대를 다녀오고 갓 결혼을 하는 시기라 할 수 있지만 여성은 이미 아이 둘 정도는 키우면서 엄마와 아내라는 이름에 익숙해져 가는 때이다...
    Views82733
    Read More
  17. 35m 다리에 올라간 사나이 10/24/2011

    지난 달 19일. 밤 8시경 부산 영도구 봉래동에 위치한 부산대교 위에서 한 남성이 “집 나간 아내를 찾아오지 않으면 뛰어내리겠다.”며 투신자살 소동을 벌였다. 다행히 급히 출동한 119 구조대원의 설득 끝에 3시간 만에 스스로 내려와 큰 화는 ...
    Views76613
    Read More
  18. 36.5°12/23/2013

    사람의 정상 체온은 36.5°이다. 기분이 좋아지면 체온도 함께 올라가며 몸이 더워진다. 더운 여름날에는 체온이 최고조에 이른다. 몸은 살기위해 땀을 분비함으로 체온을 조절하려 애를 쓴다. 반면 날씨가 추워지면 온몸에 소름을 일으켜 최대한 체온이 ...
    Views74605
    Read More
  19. 3월의 산은 수다스럽다

    경칩을 지나며 봄기운이 서서히 동장군의 기세를 몰아내고 있다. 그렇게 사계절의 입김을 쐬이며 나이는 숫자를 더해간다. 봄이 무척이나 기다려지던 때가 있었다. 산천초목이 흰눈에 뒤덮여 세상이 움추러들기만 하다가 꽁꽁 얼어붙었던 시냇물이 서서히 드...
    Views12639
    Read More
  20. 45분 아빠

    최근 해외의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아빠의 마지막 45분'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사진 속에는 위독해 보이는 한 남성이 산소마스크를 낀 채 신생아를 안고 있다. 무슨 사연일까? 52세의 “Mark”라는 환자가 있었다. 생...
    Views6775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