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1.05.14 21:25

그냥

조회 수 174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복한 가정.png

 

 

  꿈에 어머니가 나타나셨다. 반가웠다. 그러다가 꿈속에서도 스스로 되뇌였다. ‘엄마는 돌아가셨는데번뜩 잠이 깬 내 귀에 창문을 두드리는 봄비 소리가 정겹게 들려왔다. 나는 평생 그분을 엄마라고 불렀다. 한번도 어머니라고 한 적이 없다. 그러면 진짜 엄마같질 않아서였을 것이다. 하관을 하는 시간에도 나는 엄마를 부르며 목놓아 울었다. 까다로운 장로 하나가 나중에 당회에서 문제를 걸었다. 채신머리 없이 성도들이 보는 앞에서 담임목사가 엄마라고 부르며 우는 모습이 좀 그랬다나! 아니 엄마를 엄마라고 하는데. 사람 참 종류가 다양하다.

 

  나는 2살 때 소아마비로 항상 걷는 것이 힘들었다. 그럴때면 엄마는 내게 등을 내어밀었다. 엄마 뿐이 아니다.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만큼 많은 사람들의 등에 업혀보았다. 결혼을 해서는 아내에게도 종종 업혔다. 많은 사람들의 등이 있었지만 엄마의 등처럼 포근하고 따뜻하지는 않았다. 엄마는 나를 등에 업고 노래를 불러주었고, 나도 화답하며 노래를 들려주었다. 그때마다 엄마는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엄마, 내가 좋아? 왜 좋아?” 엄마는 대답했다. “그냥그렇게 나는 어른이 되어갔다. 이미 고인이 된 엄마를 생각하면 가슴이 미어진다. 장애를 가진 아들의 모습을 보며 엄마는 평생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렸을까? 내게 약한 모습을 보이지 않으려 얼마나 애를 썼을까?

 

  꿈에서 깨면 아아 어머니는 돌아가셨지 그 사실이 얼마나 절실한지 마치 생살이 찢겨나가는 듯했다. 불효막심했던 나의 회한 불효막심의 형벌로써 이렇게 나를 사로잡아 놓아주지도 않고 꿈을 꾸게 하나 보다.” 박경리 님의 '어머니'라는 시이다. 아직도 어머니가 생존한 친구들을 보면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다. 20195. 장모님이 세상을 떠나셨다. 부랴부랴 비행기 표를 끊고 용인 장례식장으로 달려갔다. 국화 속에 웃고 계신 장모님을 보며 또다른 서러움이 밀려왔다. 어머니를 여의고 우울증에 시달리며 괴로워하는 아내를 보며 딸에게는 어머니의 존재가 남다름을 실감했다.

 

  얼마 전, 6학년 이슬 양(전북 부안군 우덕초등학교)이 쓴 세상에서 가장 받고 싶은 상은..”이란 시를 읽다가 한참을 울었다.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짜증 섞인 투정에도 어김없이 차려지는 당연하게 생각되는 그런 상(). 하루 세 번이나 받을 수 있는 상. 아침상 점심상 저녁상 그때는 왜 몰랐을까? 감사하다는 말 한마디 꺼내지 못했을까? 세상에서 가장 받고 싶은 엄마 상 이제 받을 수 없어요. 이제 다시 못 받을 세상에서 가장 받고 싶은 울 엄마 얼굴()” 이슬이가 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난 엄마를 그리워하면서 쓴 작품이다. 종이 위 연필로 꾹꾹 눌러 쓴 시 옆에는 푸짐한 밥상 곁에 엄마와 손을 꼭 잡고 서 있는 이슬 양 모습이 담겼다.

 

 아무 때나 만나도 투정부릴 수 있는 존재, 내 속마음을 모두 드러내어도 부끄럽지 않은 분. 떠난 후에야 그 커다란 빈자리를 뼈저리게 느끼게 하는 분. 아무데서나 불러도 눈물이 흐르게 하는 분. 누구나 그렇듯이 그분을 떠나보내고 나서 속에서 올라오는 것은 불효한 생각뿐이었다. 홀연히 엄마가 떠나가셨을 때 무엇하나 효도한 것이 없는 것만 같아 괴로웠다. 그래도 다시 만나면 엄마는 내게 말할 것 같다. “재철아, 난 네가 있어서 행복했단다. 그냥 좋았어

 

  가정을 한 글자로 표현하면 이다. 두 글자로 하면 사랑’, 세 글자는 안식처’, 네 글자는 땅의 천국’, 열 글자는 보시기에 심히 좋았더라아버지를 여섯 글자로 표현하면 속으로 우는 분’, 어머니는 정말 미안해요이다. 자녀를 네 글자로 하면 평생 원수’, 여섯 글자로 하면 그래도 내 사랑이 될 것이다. 교회학교에 다녀온 자녀가 질문을 한다. “오늘 교회학교에서 천국에 대해 배웠어요. 천국이 어떤 곳이에요?” 이때 부모가 얘야, 천국은 우리 집과 같은 곳이야. 우리 집은 예배와 사랑, 찬양이 있고 웃음이 넘치는 곳이잖니? 천국은 바로 우리 집과 같은 곳이란다.”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가정을 사모한다.

 

  세상에서 가장 먼저 배우는 말, 세상을 떠나면서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 엄마!”

 

 

 


  1. 괜찮아! 9/26/2014

    중학교 3학년 때의 일이다. 시골(양평)이어서 그랬는지 우리 학교에는 여자선생님들이 많은 편이었다. 그 중에서도 “한선희 선생님”은 절도 있는 태도에 실력파여서 아이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그렇게 미인은 아니었지만 수더분한 생김새에 지적...
    Views78234
    Read More
  2. 교복을 벗고 2/2/2014

    한국에 갔을 때에 일이다. 친구가 꽃게탕을 잘하는 집이 있다며 굳이 “마장역 앞에서 만나자.”는 연락을 해왔다. 사실 활어회는 몰라도 해물은 그리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친구의 성의가 고마워 택시에 올랐다. 가다보니 신답십리 쪽이었고 장...
    Views75949
    Read More
  3. 구름 9/7/2010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아름다운 것은 하늘과 땅, 바다가 조화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날마다 땅을 밟으며 우리는 인생 이야기를 엮어간다. 어쩌다가 만나는 지평선을 보며 저 땅 너머에 있는 세계를 그려본다. 그러다가 찾아가는 바다는 “지구의 ...
    Views79919
    Read More
  4. 구름을 품은 하늘

    처음 비행기를 탈 때에 앉고 싶은 좌석은 창문 쪽이었다. 날아오르는 비행기의 진동을 느끼며 저만치 멀어져 가는 땅과 이내 다가오는 하늘을 보고 싶어서였다. 하지만 그 작은 소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창 쪽에 앉은 사람을 부러워하며 목을 빼고 밖을 주...
    Views60137
    Read More
  5. No Image

    군밤

    모처럼 한국 친구 목사와 전화통화를 하다가 “친구야, 용인에서 먹던 <묵밥>이 먹고 싶다.” 외쳤더니 한참을 웃다가 “너는 기억력도 좋다. 언제든지 와 사줄게.”하는 대답이 정겹게 가슴을 파고든다. 30대였을거다. 추운 겨울날에 친...
    Views7857
    Read More
  6. 군불

    새벽녘에 잠이 깨었다. 무서운 꿈을 꾼 것도 아닌데 갑자기 단잠이 달아나 버렸다. 추적거리며 내리는 겨울비가 금방 잠이 깬 내 의식을 또렷하게 만들었다. 불현듯 고향 사랑방 아궁이가 화면처럼 다가왔다. 어린 시절, 나는 방학만 하면 고향으로 향했다. ...
    Views19189
    Read More
  7. 귀성 이별 10/7/2013

    우리나라 최대 명절인 “추석”이 지나갔다. 한국에 있었으면 고향에 가서 친척들을 만나고 끝없는 대화를 나누며 보름달의 장관을 감상했을 것이다. 성큼 커버린 조카들의 머리를 쓰다듬어주기도 하고 고향 곳곳을 거닐며 세월의 흐름 속에 퇴색되...
    Views67990
    Read More
  8. No Image

    그 강 건너편

    사람마다 살아가며 잊지 못할 인연이 있다. 내 생애에 꼽으라면 단연 천정웅 목사님이다. 나를 오늘의 나로 가꾸어 준 멘토이다. 그분은 정말 건강했다. 20대 초반, 교회 청년부에서 ‘아야진’(동해 휴전선 근처 마을)으로 하기수련회를 갔던 때였...
    Views7093
    Read More
  9. 그 만남이 내 수준이다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만남으로 생이 이어진다. 유유상종(類類相從)이라는 말이 있다. 같거나 비슷한 부류끼리 어울리는 것을 뜻한다. 학창시절이 생각난다. 어쩌면 그런그런 아이들끼리 그렇게 어우러지는 것을 보았다. 대화의 수준도 그랬다. 그래서 부모...
    Views17213
    Read More
  10. 그 분이 침묵 하실 때

    하이웨이에 차량들이 제 속도를 내며 원활하게 소통될 때 시원함을 느낀다. 누구와 하며 공감대를 느낄때에 통쾌함을 느낀다. 야구 경기의 흐름이 빨라지면 흥미진진함을 느낀다. 드라마를 볼 때도 스토리를 신속하게 풀어나가는 작가를 사람들은 좋아한다. ...
    Views51933
    Read More
  11. 그 소녀는 지금 어디에 4/24/15

    “소녀”(少女). 누구의 가슴에나 표현할 수 없는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단어이다. ‘여학생, 처녀, 어린 여자아이.’라는 단어도 있지만 “소녀”란 말은 자연스럽게 눈을 감게 만든다. 우연히 가수 최백호의 “낭만에 대...
    Views69944
    Read More
  12. 그 애와 나랑은

    갑자기 그 애가 생각났다. 아무것도 모른 채 무거운 책가방을 들고 진학의 꿈을 향해 달리던 그때, 그 애가 나타났다. 초등학교 6학년이 되면서 전근을 자주 다니던 아버지(경찰)는 4살 위 누이와 자취를 하게 했다. 그 시대는 중학교도 시험을 쳐서 들어가던...
    Views20846
    Read More
  13. No Image

    그 이름 그 사람

    사람은 누구에게나 이름이 있다. 사실 이름은 본인의 의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붙여지는 고유명사이다. 이름은 태어나서만 지어지는 것이 아니다. 모태에 잉태된 순간에 붙여지는 이름도 있다. 바로 ‘태명’(胎名)이다. 태명이 태명으로 끝나는 경...
    Views7095
    Read More
  14. 그 이름 그 사람  8/4/2011

    사람은 누구에게나 이름이 있다. 사실 이름은 본인의 의사와는 전혀 관계없이 붙여지는 고유명사이다. 이름은 태어나서만 지어지는 것이 아니다. 모태에 잉태된 순간에 붙여지는 이름도 있다. 바로 ‘태명’(胎名)이다. 태명이 태명으로 끝나는 경...
    Views73768
    Read More
  15. 그것만이 내 세상

    우리 밀알선교단에는 다수의 장애인들과 장애아동들이 있다.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것은 힘겨운 일이다. 아울러 가족 중에 장애인이 있는 것도 삶이 평탄하지 않음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18년 전, 밀알선교단 단장으로 부임하였을때에 전신마비 장애인이 ...
    Views20648
    Read More
  16. 그냥

    꿈에 어머니가 나타나셨다. 반가웠다. 그러다가 꿈속에서도 스스로 되뇌였다. ‘엄마는 돌아가셨는데…’ 번뜩 잠이 깬 내 귀에 창문을 두드리는 봄비 소리가 정겹게 들려왔다. 나는 평생 그분을 “엄마”라고 불렀다. 한번도 &lsq...
    Views17450
    Read More
  17. 그냥 그랬으면 좋겠어

    미국에 처음 와서 이민선배들(?)로부터 많은 말을 들었다. 어떤 말은 “맞아!”하며 맞장구가 쳐지지만 선뜻 이해가 안가는 말 중에 하나는 “누구나 자신이 이민을 온 그 시점에 한국이 멈춰져 있다.”는 말이었다. 여러 가지 사정으로 ...
    Views74194
    Read More
  18. 그대 곁에 있는 사람 3/11/2013

    가정은 모든 행복의 근원이 되는 곳이다. 사업을 잘하는 것도 중요하다. 꿈을 이루고 세상적인 지위를 높여가는 것도 인생에 있어서 놓쳐서는 안 되는 귀한 일일 수 있다. 하지만 가정은 놓치면 안 된다. 굉장한 일을 이루었다 할지라도 가정을 잃으면 모든 ...
    Views75189
    Read More
  19. 그들의 우정이 빛나는 이유

    한 여고 점심시간, 두 학생이 식당에 들어선다. 한 학생은 휠체어를 타고 있다. “의자 당겨서, 앉아있어.” 한 여학생이 식판 2개를 들고 배식을 받는다. 뇌병변 장애로 두 다리를 전혀 쓰지 못하는 친구 최주희 양을 위해 6년간 학교에서 최 양의...
    Views15847
    Read More
  20. 그때 그 소녀들의 함성 “밀알의 밤”

    밀알의 밤이 열네 번째 기적을 남기며 막을 내렸다. 스산한 가을기운을 헤치고 찾아온 수많은 동포들의 사랑을 가슴에 머금을 수 있었음이 행운이다. 가을은 결실의 계절이다. 갖가지 과일과 다양한 모양의 곡식이 저마다 풍성한 열매로 한해의 삶을 그려낸다...
    Views618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6 Next
/ 36

주소: 423 Derstine Ave. Lansdale., PA 19446
Tel: (215) 913-3008
e-mail: philamilal@hotmail.com

© k2s0o1d4e0s2i1g5n. All Rights Reserved